목차
1. 민족주의의 개념과 역사
2. 민족주의(Nationalism) 개념의 변천
1) 민족주의 형성과정
2) 유럽의 민족주의
3. 민족주의 표출양식
4. 민족주의의 일반적 의미와 의의
5. 민족주의의 기능
1) 긍정적 기능
2) 부정적 기능
6. 민족주의의 장래 전망
2. 민족주의(Nationalism) 개념의 변천
1) 민족주의 형성과정
2) 유럽의 민족주의
3. 민족주의 표출양식
4. 민족주의의 일반적 의미와 의의
5. 민족주의의 기능
1) 긍정적 기능
2) 부정적 기능
6. 민족주의의 장래 전망
본문내용
신장 욕구 : 하나의 민족집단이 독립된 주권국가를 이루고 외부 집단에 대하여 국가의 이익을 수호, 신장, 확대하려는 사상과 행동으로 나타남.
(2)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의 욕구 :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민족의 독자적인 존재 가치를 드러내고 세계에 자랑할 만한 문화를 창조하려는 욕구로 나타난다.
(3) 인류 문화의 발달과 세계 평화에의 기여 - 한 민족의 독특한 존재이유와 존재 가치를 선양하여 인류문화의 발달과 세계 평화에 기여하려는 욕구로 나타난다.
4. 民族主義의 一般的 意味와 意義
1) 의미 - 어떤 단위보다 앞서 민족을 으뜸으로 생각하는 정치이념이며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사상.
2) 발전과 전개 - 다양하고 보편적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거대한 역사적 動力으로 작용함. (자유 민주주의와 결합, 전체주의와 야합, 사회주의의 수용) - '耳於鈴 鼻於鈴'의 民族主義
5. 민족주의의 기능
"내셔널리즘이란 감정은 두 면을 가지고 있다.
대내적으로 그것은 네이션 안의 모든 동료성원과의 생생한 공감을 자아낸다. 그리고 대외적으로 그것은 네이션의 범위 밖에 있는 동료인간들에 대한 무관심이나 불신, 증오로 표현된다.
그리하여 내셔널리즘이 대외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우리말로 민족주의가 되고, 대내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국민주의가 된다. 민족주의가 대외적으로 자·타를 엄격히 구별하는 측면을 강하게 표시한다면, 국민주의는 대내적으로 성원간의 통합을 강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시민적 기반이 약한 나라에서 내셔널리즘이 국가의 권능에 너무 기댈 때 국가주의로 된다."(차기벽, 『민족주의원론』, 한길사, 1990, 66쪽)
1) 긍정적 기능
가. 서구 선진국의 경우 : 민족 국가 형성의 이념적 기반 제공
나. 후진 국가의 경우 : 1차 대전이후 강대국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자주 독립국가를 건설하는데 정신적 밑거름이 되었다.
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역점을 두는 개.도.국의 경우 가장 유력한 정치이데올로기 기능을 가짐
-> 국가의 발전과 세계 평화에 기여, 역사 발전의 동력
2) 부정적 기능
가. 민족주체성과 애국애족의 정신, 국가에 대한 봉사와 희생 강조할 경우 : 민주주의와 사회 복지 정책의 성장 저해
나. 종족의 우월성과 전통 문화의 우수성 과정 : 국수주의와 우월주의에 빠짐.
다. 배타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보호한 결과 - 팽창주의, 침략주의, 식민주의 추구
-> 편협한 민족 이익을 강조하는 배타적 민족주의의 가능성, 반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화의 가능성
따라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민족주의는: 평화 지향적, 국제 협조 지향적, 개방적. 도덕적 민족주의
6. 민족주의의 장래 전망
1. 퇴조 예상 근거 -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국민 국가의 위상 약화
2. 존속 예상 근거 - 고유한 문화와 전통, 국가 주권에 대한 국민들의 집착
참고문헌 ----------------------------------------------
1. 차기벽, 『민족주의원론』, 한길사, 1990.
(2)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의 욕구 :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민족의 독자적인 존재 가치를 드러내고 세계에 자랑할 만한 문화를 창조하려는 욕구로 나타난다.
(3) 인류 문화의 발달과 세계 평화에의 기여 - 한 민족의 독특한 존재이유와 존재 가치를 선양하여 인류문화의 발달과 세계 평화에 기여하려는 욕구로 나타난다.
4. 民族主義의 一般的 意味와 意義
1) 의미 - 어떤 단위보다 앞서 민족을 으뜸으로 생각하는 정치이념이며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사상.
2) 발전과 전개 - 다양하고 보편적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거대한 역사적 動力으로 작용함. (자유 민주주의와 결합, 전체주의와 야합, 사회주의의 수용) - '耳於鈴 鼻於鈴'의 民族主義
5. 민족주의의 기능
"내셔널리즘이란 감정은 두 면을 가지고 있다.
대내적으로 그것은 네이션 안의 모든 동료성원과의 생생한 공감을 자아낸다. 그리고 대외적으로 그것은 네이션의 범위 밖에 있는 동료인간들에 대한 무관심이나 불신, 증오로 표현된다.
그리하여 내셔널리즘이 대외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우리말로 민족주의가 되고, 대내적으로 나타날 때에는 국민주의가 된다. 민족주의가 대외적으로 자·타를 엄격히 구별하는 측면을 강하게 표시한다면, 국민주의는 대내적으로 성원간의 통합을 강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시민적 기반이 약한 나라에서 내셔널리즘이 국가의 권능에 너무 기댈 때 국가주의로 된다."(차기벽, 『민족주의원론』, 한길사, 1990, 66쪽)
1) 긍정적 기능
가. 서구 선진국의 경우 : 민족 국가 형성의 이념적 기반 제공
나. 후진 국가의 경우 : 1차 대전이후 강대국의 식민지배로부터 벗어나 자주 독립국가를 건설하는데 정신적 밑거름이 되었다.
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역점을 두는 개.도.국의 경우 가장 유력한 정치이데올로기 기능을 가짐
-> 국가의 발전과 세계 평화에 기여, 역사 발전의 동력
2) 부정적 기능
가. 민족주체성과 애국애족의 정신, 국가에 대한 봉사와 희생 강조할 경우 : 민주주의와 사회 복지 정책의 성장 저해
나. 종족의 우월성과 전통 문화의 우수성 과정 : 국수주의와 우월주의에 빠짐.
다. 배타적으로 자국의 이익을 보호한 결과 - 팽창주의, 침략주의, 식민주의 추구
-> 편협한 민족 이익을 강조하는 배타적 민족주의의 가능성, 반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화의 가능성
따라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민족주의는: 평화 지향적, 국제 협조 지향적, 개방적. 도덕적 민족주의
6. 민족주의의 장래 전망
1. 퇴조 예상 근거 -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국민 국가의 위상 약화
2. 존속 예상 근거 - 고유한 문화와 전통, 국가 주권에 대한 국민들의 집착
참고문헌 ----------------------------------------------
1. 차기벽, 『민족주의원론』, 한길사, 1990.
추천자료
민족주의적 스포츠에 관한 재조명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민족주의와 민족국가발전 (손문선생의 민족국가 발전사상)
민족주의
민족주의 비판론
아랍민족주의
[동학][동학사상][이상국가]동학과 동학사상 및 이상국가(동학의 형성, 동학의 사상과 인내천...
[한국인][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한국인의 정서][한국인의 성향][한국인의 국민성][한국인...
민족주의와 국가 및 애국심의 보편적 이성에 관한 고찰
민족주의와 진보에 관한 고찰
민족주의의 정치생태학에 관한 고찰
민족주의 사상적 이념
[종교][종교의 본질][종교의 배타성][종교의 문화][종교의 현황][세속적 종교][민족주의]종교...
A민족주의, 민족문화의 현재의 모습과 향후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