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높임말에 관한 교과서 분석과 높임말 지도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높임말에 관한 교과서 분석과 높임말 지도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높임말 사용에 대한 교재 분석의 방법

3. 교재 분석 결과
●첫째 마당. 이야기를 꾸며요.
●둘째 마당. 할 말이 있어요
●셋째 마당. 이야기가 재미있어요
●넷째 마당. 이제 알았어요
●다섯째 마당. 어깨동무를 해요

4. 높임말 지도방법

5. 마무리

본문내용

있어서 그렇게 많은 높임말이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아동에게 친근한 합쇼체와 해요체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뒷 단원으로 올수록 높임말의 빈도 수가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높임말 지도는 저학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높임말을 제시하고 단순히 고쳐 보게 하거나 외우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과 함께 제시하여 맥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 저학년의 경우는 높임말의 의미를 알게 하고 웃어른을 나타내는 말 끝에 '님'을 붙인다는 것과 웃어른에게만 쓰는 특수한 높임말이 있다는 것이 지도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대방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낮추는 것도 지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높임말은 상대방의 존대의식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아동이 생활 속에서 예의와 예절을 익혀 도덕적인 인격체가 될 수 있도록 인성교육을 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높임말이 도덕과의 가정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높임말은 주입식으로 지도할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이 그말들을 실제로 운영해 보는 가운데 체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정도 어린이들의 주체적인 언어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시간을 통해 틈틈이 지도하도록 한다. 또한 교사는 아동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의 말씨가 아동의 학습에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교사는 올바른 언어사용 습관과 태도를 가져야 한다. 언어사용이란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높임말 지도 역시 높임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한 다음 오랜 시간을 거쳐가며 내면화 될 때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높임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지도되어야 하겠다
참고문헌 ----------------------------------------------
1. 허 웅. 국어학. 샘문화사, 1983.
2. 이익섭·남기심. 국어 문법론. 한국 방송 통신 대학 출판부, 1988
3. 이익섭·임홍빈. 국어 문법론. 학연사, 1983
4. 김화성, "국어 높임법의 지도방안". 우리말 교육. 우리말 연구회,1993
5. 김종훈외. 국어 경어법 연구. 집문당, 1984
6. 김영주. "높임말 사용의 지도". 초등국어교육제4호 서울 교육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94
7. 교육인적자원부. 읽기 1-2.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2.05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