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인의 삶과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대사는 무엇이고 왜 배우는가?

2. 역사에서 큰 변화(혁명)

3. 고대인의 삶을`고달프긴 했지만 살만한 면도 전혀 없지는 않았다`는 관점에서 설명.

4. 신화와 고대의 정치사상의 상관성을 설명

5. 한국고대사를 `통합의 역사`로 볼 때, 그 통합의 과정을 5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의 특징 설명

6. 한국 고대사회의 Frame(구조, 틀)의 변천

7. 고조선의 건국 및 발전과정을 고고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설명해 보자.

8. 고조선과 중국왕조(연, 진, 한)와의 관계를 생각

9. 고구려의 발전과정과 중국 및 북방세력과의 관계

10. 백제의 건국 신화가 의미하는 바와 발전과정

본문내용

남진해 오던 선비족과 충돌(모용씨).
- 모용황의 침입 : 요동 점령(336년), 연왕 자칭, 고구려 침입하여 환도성 함락(342), 동황성에 피난 수도(고국원왕).
10. 백제의 건국 신화가 의미하는 바와 발전과정
1) 건국설화의 세가지 전승
① 온조 건국설 : 온조와 유리는 주몽의 친자. 온조가 하남위례성에 도읍.
② 비류 건국설 : 온조와 유리는 주몽의 의붓 자식 : 비류가 동생 온조와 미추홀에 도읍.
③ 동명의 후손 구태가 대방고지에 건국.
→ - 백제는 동명의 후손임을 표방하는 부여-고구려계가 건국.
- 온조세력집단+비류세력집단+구태세력집단.
2) 伯濟國에서 百濟로(십제에서 百濟로)
① 伯濟國(백제국)
-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나오는 마한 54국 중의 일국.
- 목지국왕(마한 소국연맹체의 맹주)의 용인 하에 동북 1백리의 땅에 안거.
- 목지국왕의 영도를 받음-상서물 진상.
② 백제
- 목지국의 영도에서 벗어나서 목지국과 대등한 소국연맹체의 맹주국으로
- 한강 중상류 유역.
3) 마한의 통합
① 통합 시기 : 온조왕 25년∼34년(7∼16년) → 3세기 후반
- 삼국지 위서동이전에 3세기 단계까지 목지국이 마한의 맹주국으로 있음.
- 책계왕 2년∼13년(287∼296) 사이의 기사 공백.
- 晋書(진서)에 마한의 견사 기록(276∼290년).
② 통합 과정
- 한군현과의 우호관계 : 책계왕 원년, 대방의 왕녀 보과를 취하여 부인을 삼음.
- 마한 병합 : 웅진책 설치, 마한 병탄의 결심, 마한 국읍 병합, 원산과 금현성 항복.
- 한군현의 견제 : 책계왕 전사, 분서왕 암살(304년).

키워드

한국,   고대,   역사,   한국사,   ,   문화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2.06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7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