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몸말
항쟁의 배경
항쟁의 전개
광주항쟁에 관한 시각들
항쟁 원인에 대한 견해
광주항쟁의 운동사적 의의
3.맺음말
2. 몸말
항쟁의 배경
항쟁의 전개
광주항쟁에 관한 시각들
항쟁 원인에 대한 견해
광주항쟁의 운동사적 의의
3.맺음말
본문내용
다. 70년대의 낭만적이고 모호한 민중 개념은 광주 노동자 계급의 자발적인 혁명적 진출로 인해 다시 평가받게 된다. 물론 이는 80년대 초반 반성의 지점으로부터 근거한 것이었다. 이후 민중론의 과학화를 둘러싸고 많은 논쟁이 진행 된 것도 80년 광주가 남긴 점이다.
3. 맺음말
창피하게도 글을 통해 광주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으면서 남의 이야기들만 옮기게 되었다. 대강이나마 광주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는 다소 게으른 내용으로 잡아갔을 때 솔직히 양심이 찔렸다. 이는 광주에 대해 어찌 감히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반성이었는데, 한편으론 오히려 "광주"를 지나치게 신화화 하는 우리 마음속의 고정관념은 이젠 버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제는 오히려 80년 광주의 세례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우리들이야 말로 광주라는 어께의 짐을 내려놓고 한번 더 생각 해보는 힘을 가지고 현실을 꽤뚫어 나아가야 하지는 않을까 생각한다. 그것이 살아남은 자로서 우리세대의 임무이자 우리세대가 가진 강점이 아닐까?
주
1) 70년대 중반의 석유위기나 세계공황에 대해서는 김수행, 『청년을 위한 경제학 강의 』,한겨레출판사 중에서 1장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밖에도 공황니아 불황에 대해 쉽게 설명되어있다.
2) 이상 세가지 관점에 대해서는 박현채.조희연 편,『한국사회구성체논쟁4』죽산, 중에서 김창진, 「'광주폭동사태'로부터 '광주민중무장봉기'까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3) 고정희,「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의 역할」. 전남대 518 연구소 홈페이지(http://altair.chonnam.ac.kr/~cnu518/)에서 전문을 볼 수 있다.
4) 이러한 주장의 대표적이면서도 가장 급진적인 견해로 이정로, 「광주무장봉기에 대한 혁명적 시간전환」, 『노동해방문학 89년 5월』, 노동문학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견해는 광주.전남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운동 경험의 문제에 주목하는 견해와 이정로씨의 글처럼 노동자계급의 주도와 기층 민중의 계급적 진출에 주목하는 견해로 나뉜다.
5) 김창진.이광일, 「광주민중항쟁」,『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 소나무. 참고
6) 그러나 이를 통해서 70년대의 운동이 친미적 자유주의라는 판단은 섣부르다. 70년대 운동주체들이 주로 보는 책들이 쿠바혁명을 다룬 "들어라 양키들아"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전환시대의 논리"들이었음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미국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3. 맺음말
창피하게도 글을 통해 광주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으면서 남의 이야기들만 옮기게 되었다. 대강이나마 광주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는 다소 게으른 내용으로 잡아갔을 때 솔직히 양심이 찔렸다. 이는 광주에 대해 어찌 감히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할 수 있는가 에 대한 반성이었는데, 한편으론 오히려 "광주"를 지나치게 신화화 하는 우리 마음속의 고정관념은 이젠 버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제는 오히려 80년 광주의 세례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우리들이야 말로 광주라는 어께의 짐을 내려놓고 한번 더 생각 해보는 힘을 가지고 현실을 꽤뚫어 나아가야 하지는 않을까 생각한다. 그것이 살아남은 자로서 우리세대의 임무이자 우리세대가 가진 강점이 아닐까?
주
1) 70년대 중반의 석유위기나 세계공황에 대해서는 김수행, 『청년을 위한 경제학 강의 』,한겨레출판사 중에서 1장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밖에도 공황니아 불황에 대해 쉽게 설명되어있다.
2) 이상 세가지 관점에 대해서는 박현채.조희연 편,『한국사회구성체논쟁4』죽산, 중에서 김창진, 「'광주폭동사태'로부터 '광주민중무장봉기'까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3) 고정희,「광주민중항쟁과 여성의 역할」. 전남대 518 연구소 홈페이지(http://altair.chonnam.ac.kr/~cnu518/)에서 전문을 볼 수 있다.
4) 이러한 주장의 대표적이면서도 가장 급진적인 견해로 이정로, 「광주무장봉기에 대한 혁명적 시간전환」, 『노동해방문학 89년 5월』, 노동문학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견해는 광주.전남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운동 경험의 문제에 주목하는 견해와 이정로씨의 글처럼 노동자계급의 주도와 기층 민중의 계급적 진출에 주목하는 견해로 나뉜다.
5) 김창진.이광일, 「광주민중항쟁」,『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 소나무. 참고
6) 그러나 이를 통해서 70년대의 운동이 친미적 자유주의라는 판단은 섣부르다. 70년대 운동주체들이 주로 보는 책들이 쿠바혁명을 다룬 "들어라 양키들아"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전환시대의 논리"들이었음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미국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