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Ⅰ.브랜드
Ⅱ.국가브랜드
Ⅲ. 국가 브랜드 제고 방안
3. 결론
2. 본론
Ⅰ.브랜드
Ⅱ.국가브랜드
Ⅲ. 국가 브랜드 제고 방안
3. 결론
본문내용
기업여건의 일류화라는 실체적이고 실질적인 변화가 동반되지 않는 국가 브랜드 제고는 한낱 이벤트나 홍보전략으로 전락해 버릴 수밖에 없다. 게다가 국가 브랜드의 홍보나 광고 없이도 상품과 기업의 수준의 실질적 향상만으로도 국가 브랜드는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다. 1960년대부터 전사적 품질관리(TQM)로 혁신적 기술국가의 이미지를 심은 일본이나, 1990년 이후 정부가 R&D 지원, 첨단기업 투자유치를 통해 「제 2의 실리콘밸리」라는 이미지를 심은 이스라엘의 경우는 상품의 질과 기업 수준의 향상이 국가브랜드를 제고시킨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 김고현,"주요국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과 시사점", 한국 무역협회 무역 연구소, 2002, p.30
5. 기업의 노력
-국가는 무형의 존재로써 존재한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느끼는 국가의 실체는 그 나라 국민이나 기업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은 국가 브랜드 향상에 많은 중요성을 지닌다. 정부와 기업, 민간 중에 가장 많이 해외의 다른 국가들과 접촉하게 되는 것은 바로 기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 브랜드의 향상만으로도 국가브랜드의 향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항공사는 Smile Singapore Campaign, Clean Singapore Campaign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세계항공사 만족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싱가포르라는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 Sony는 완벽하고 좋은 제품으로, Toyota는 고장없는 자동차등으로 브랜드화 되어 일본이라는 국가 브랜드가 무결점·고품질의 이미지를 가지게 하였으며, 독일의 경우 Benz와 BMW가 세계최고급의 안전하고 튼튼한 자동차로 브랜드화 되어 독일이라는 국가브랜드가 기술이 뛰어나고 튼튼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하였다
) 1997년 광고 진흥 세미나에서 광고를 통한 국가 이미지 개선 방안에 대한 안보섭 교수의 발제후 토론 내용의 정리 요약본
. 특히, 이러한 각 기업의 노력을 통한 국가 브랜드 제고는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브랜드 제고의 방안 중에 가장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6. 개인의 노력
- 대다수의 국민은 국가브랜드와 자신은 서로 관계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브랜드라는 것은 유능한 특정 개인이 아닌, 그 브랜드와 관계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 의해서 구축된다. 따라서 국가 브랜드를 제고하는 데에는 전 국민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예를 들어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지의 기자 Grant Wahl을 통해 알려진 우리 시민들의 따뜻한 행동 -비를 맞으며 횡단 보도에서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고 잇는 외국기자에게 다가가 우산을 받쳐준 평범한 40대, 너무 지쳐 지하철 좌석에 털썩 주저앉은 외국인 여기자의 어깨를 주물러주며 귓가에 조용한 자장가까지 불러주었다는 어느 할머니
) 이관수, "브랜드 만들기", 미래와 경영, 2003, p.168
- 은 앞으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키는데 확실히 기여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해외여행을 하면서 호텔에서 고성방가를 한다든가, 사진을 찍으면 안 되는 곳에서 사진을 찍음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한국 여행객들의 모습은 국가 브랜드를 깎아내리는 큰 요인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 브랜드 향상을 위해 국민 한사람 한사람은 국가와 국가 브랜드를 대표하는 사람이라는 인식하에 바르게 행동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3. 결론
1896년 독일의 Earnest Williams가 상품에 「Made in Germany」 로고를 사용하여 국가브랜드를 해외마케팅에 처음으로 활용한 이래 국가 브랜드는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으로 작용하고 있다.
) 김고현,"주요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전략과 시사점", 한국 무역협회 무역 연구소, p.6
또한 최근에 와서는 신속한 기술 이전과 치열한 품질경쟁으로 제품자체의 기능과 품질격차가 줄어들고 있어 원산지에서 연상되는 국가 브랜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국가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 브랜드가 긍정적일 경우에는 상품에 프리미엄 가치(Premium Value)를 제공하겠지만 만약 부정적인 경우에는 제품이 제 값도 못 받도록 디스카운트 가치(Discount Value)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해외 선진 각 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이러한 국가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의 국가브랜드가 프리미엄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처럼 전략적으로 국가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출에 거의 대부분 경제력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브랜드 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게다가 글로벌 경제의 확산은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이전까지의 가격을 통한 경쟁이 중국 등 경쟁국의 급부상으로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1세기의 동북아 중심지를 목표로 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다국적 기업과 외국 자본의 유치를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의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의 국가 브랜드는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는 아직까지 대부분의 교역에서 디스카운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에겐 아직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킬 기회가 남아있다. 특히, 최근의 성공적인 월드컵 개최와 동아시아에 부는 한류 열풍 등은 우리에게 국가 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증대된 우리나라에 대한 관심을 좋은 이미지로 이끌어 나가서 높은 국가 브랜드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정책을 꾸려 나가야 하며, 기업은 높아진 국가 브랜드에 알맞은 향상된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그리고 개인은 자기 자신이 국가를 대표하는 민간 외교 사절단이라는 의식 하에 행동해야한다. 국가 브랜드의 향상은 결코 쉽지않은 일이다. 하지만 이렇듯 세 분야가 모두 한마음으로 잘 어울려 나아간다면 반드시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김고현,"주요국의 국가이미지 제고 전략과 시사점", 한국 무역협회 무역 연구소, 2002, p.30
5. 기업의 노력
-국가는 무형의 존재로써 존재한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느끼는 국가의 실체는 그 나라 국민이나 기업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업은 국가 브랜드 향상에 많은 중요성을 지닌다. 정부와 기업, 민간 중에 가장 많이 해외의 다른 국가들과 접촉하게 되는 것은 바로 기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 브랜드의 향상만으로도 국가브랜드의 향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 항공사는 Smile Singapore Campaign, Clean Singapore Campaign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세계항공사 만족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함과 동시에 싱가포르라는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 Sony는 완벽하고 좋은 제품으로, Toyota는 고장없는 자동차등으로 브랜드화 되어 일본이라는 국가 브랜드가 무결점·고품질의 이미지를 가지게 하였으며, 독일의 경우 Benz와 BMW가 세계최고급의 안전하고 튼튼한 자동차로 브랜드화 되어 독일이라는 국가브랜드가 기술이 뛰어나고 튼튼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하였다
) 1997년 광고 진흥 세미나에서 광고를 통한 국가 이미지 개선 방안에 대한 안보섭 교수의 발제후 토론 내용의 정리 요약본
. 특히, 이러한 각 기업의 노력을 통한 국가 브랜드 제고는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브랜드 제고의 방안 중에 가장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6. 개인의 노력
- 대다수의 국민은 국가브랜드와 자신은 서로 관계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브랜드라는 것은 유능한 특정 개인이 아닌, 그 브랜드와 관계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 의해서 구축된다. 따라서 국가 브랜드를 제고하는 데에는 전 국민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예를 들어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지의 기자 Grant Wahl을 통해 알려진 우리 시민들의 따뜻한 행동 -비를 맞으며 횡단 보도에서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고 잇는 외국기자에게 다가가 우산을 받쳐준 평범한 40대, 너무 지쳐 지하철 좌석에 털썩 주저앉은 외국인 여기자의 어깨를 주물러주며 귓가에 조용한 자장가까지 불러주었다는 어느 할머니
) 이관수, "브랜드 만들기", 미래와 경영, 2003, p.168
- 은 앞으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키는데 확실히 기여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해외여행을 하면서 호텔에서 고성방가를 한다든가, 사진을 찍으면 안 되는 곳에서 사진을 찍음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한국 여행객들의 모습은 국가 브랜드를 깎아내리는 큰 요인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 브랜드 향상을 위해 국민 한사람 한사람은 국가와 국가 브랜드를 대표하는 사람이라는 인식하에 바르게 행동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3. 결론
1896년 독일의 Earnest Williams가 상품에 「Made in Germany」 로고를 사용하여 국가브랜드를 해외마케팅에 처음으로 활용한 이래 국가 브랜드는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키는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으로 작용하고 있다.
) 김고현,"주요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전략과 시사점", 한국 무역협회 무역 연구소, p.6
또한 최근에 와서는 신속한 기술 이전과 치열한 품질경쟁으로 제품자체의 기능과 품질격차가 줄어들고 있어 원산지에서 연상되는 국가 브랜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기에 앞서 국가 브랜드를 중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 브랜드가 긍정적일 경우에는 상품에 프리미엄 가치(Premium Value)를 제공하겠지만 만약 부정적인 경우에는 제품이 제 값도 못 받도록 디스카운트 가치(Discount Value)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해외 선진 각 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이러한 국가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의 국가브랜드가 프리미엄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처럼 전략적으로 국가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출에 거의 대부분 경제력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브랜드 관리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게다가 글로벌 경제의 확산은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이전까지의 가격을 통한 경쟁이 중국 등 경쟁국의 급부상으로 한계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1세기의 동북아 중심지를 목표로 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다국적 기업과 외국 자본의 유치를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의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의 국가 브랜드는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는 아직까지 대부분의 교역에서 디스카운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에겐 아직 국가 브랜드를 향상시킬 기회가 남아있다. 특히, 최근의 성공적인 월드컵 개최와 동아시아에 부는 한류 열풍 등은 우리에게 국가 브랜드를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를 통해 증대된 우리나라에 대한 관심을 좋은 이미지로 이끌어 나가서 높은 국가 브랜드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정책을 꾸려 나가야 하며, 기업은 높아진 국가 브랜드에 알맞은 향상된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그리고 개인은 자기 자신이 국가를 대표하는 민간 외교 사절단이라는 의식 하에 행동해야한다. 국가 브랜드의 향상은 결코 쉽지않은 일이다. 하지만 이렇듯 세 분야가 모두 한마음으로 잘 어울려 나아간다면 반드시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사회투자국가론 분석 및 한국의 사회투자정책
[가치, 예절, 고인돌, 대각성운동]예절의 가치, 고인돌의 가치, 대각성운동의 가치, 거버넌스...
[동아시아국가 언어, 동아시아국가, 한국 언어, 러시아 언어, 중국 언어, 타이(태국) 언어]동...
[아시아국가 문화, 중국, 한국, 태국(타이), 베트남, 카자흐스탄]아시아국가 중국의 문화, 아...
[아시아국가 언어, 아시아국가 한국 언어, 아시아국가 중국 언어, 아시아국가 인도 언어, 몽...
[아시아국가]아시아국가 한국의 문화, 아시아국가 중국의 문화, 아시아국가 일본의 문화, 아...
[서양][서양 학교교육][서양 건축][인상주의]서양의 철학(사상), 서양의 가치관, 서양의 국가...
한국 문화의 세계화 전략 -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 세계에 전파 (한스 비빔밥 사례)
사회복지) 대한민국, 한국 복지국가로의 지향: OECD국가들과 비교하여 (A+)
[통일인사이드]한반도에서 분단시대가 종말을 고하고,통일인사이드,통일된 한국이등장한다면,...
한국사회복지정책과 미국사회복지정책을 비교해보고 다른 국가의 복지정책사례를 예로 들어 ...
복지국가의 가치 7가지에 대하여 알기 쉽게 설명하고 예를 들어 보시오 [복지국가의 가치]
한국에서의 개인, 민족, 국가 그리고 공동체
복지국가의 모형들(복지국가 유형화)을 각각 비교 설명하고 이중에서 에스핑 앤더슨의 복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