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spinal stenosis)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추관협착증 (spinal steno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연구목적
`연구방법

2.본론
`문헌고찰
(척추관협착증
- 원인
- 증상
- 예방
- 치료
- 간호
`검사결과
`수술자료
`약물
`간호과정

3.결론

*교육자료
- 척추에좋은 음식
- 수술후 관리

본문내용

와 척추의 신경계질환을 다루는 병동이었다. 이전 외과 중환자실을 실습한 경험이 있었는데 실습을 하기는 했으나 신경계 part와 근골격계part를 아직 배우지 않아서 case를 관찰하면서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고 suction, position change, urine I&O, L-tube feeding등등 간호수행을 함에 있어서도 수행의 목적,방법들을 정확히 숙지하지 않아 머릿속과 손감각에서만 맴 돌 뿐이었다. 이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번 실습에서는 신경계 질환에대해 명확히 이해도 하고, 간호수행에 있어서도 확신을 가지고 능숙하게 하겠다는 결심을 했었다. 하나하나의 질환과 그에따른 간호수행을 - \'이러한 증상에는 이런 약물을 사용하고 ~~한 간호를 한다\' 라는 분석을 하며 실습을 하니 재미도 있었고 더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 병동의 입원 환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TA환자였는데, 온전한 사람이 사고로 인해 하루아침에 mental과 motor영역이 심하게 떨어져 입원을한것과 그 대장자를 보는 가족들의 마음은 얼마나 쓰릴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신경외과 GCS check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았고, 또한 GCS를 직접 해 봄으로써 진정으로 익힐 수 있었다. 머리수술과 뇌 수술후 간호의 차이를 파악했으며 미미한 환경의 변화에도 V/S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보며 정확한 V/s check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역시나 바쁜 병원환경에서, 선생님들 께서는 실습생들에게 신경쓸 겨를도 없어 보였지만 질문을 하였을때 작은 것 하나라도 차근차근 설명 해 주시고 처치 할 수 있는 기회도 주신 몇 선생님들 덕분에 실습에 더욱 기운을 얻을 수 있었다. 또 **CU에서의 하루라는 짧은 시간동안이지만, 그곳에서 CIC를 포함한 간호수행을 반복해서 할 기회가 주어져 나에게 많은 경험을 쌓는 큰 도움이 되었다.
내 case대상자분이 하루빨리 완쾌하시길 바라며 이번 실습을 통해 얻은 많은 경홈과 실력을 나중에 간호활동을 할때 적용해야 겠다^^
*교육자료첨부 (아래)
【척추건강에좋은 음식과 식습관】
칼슘이 많은칼슘이 많은 음식
유제품 : 우유, 치즈, 요구르트
해산물 : 멸치, 미역, 파래, 김, 새우, 굴, 미꾸라지
육- 류 : 쇠고기, 사골(사골국)
채소류 : 푸른잎 채소, 검은콩, 두부
비타민 D가 많은 음식
표고버섯, 일광 욕
식물성 단백질
염분이나 단백질의 지나친 섭취 - 칼슘을 빠져나가게 하므로
적당량만 섭취하고 동물성 단백질보다 두부 콩 등의 식물성으로
단백질을 섭취한다.
식사습관
1.밥을 빨리 먹는 습관 - 갑자기 많은 양이 들어가면 소화기계
장기들이 늘어나 척추전만을 악화시킴
2.과다한 칼로리 섭취- 살이 찌면 배가 나와 허리가 과신전되고
몸이 무거워 허리에 부담이 가므로 허리가 아픔
3.탄산음료 및 커피중독 - 칼슘을 빠져나가게 하는 원인을 제공
하여 퇴행성을 촉진시켜 퇴행성 디스크를 유발한다.
4.과다한 음주 - 칼슘을 빠져나가게 하고 근육이 풀려 디스크나
인대, 근육 등이 손상 받기 쉬운 상태가 된다.
5.흡연 - 일산화탄소가 혈관을 손상시켜 척추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변성시키고, 뼈의 칼슘과 무기질이
감소되어 척추의 퇴행성을 촉진한다.
! 척추수술후 주의사항 !
1. 일상생활
*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골고루 드세요.
* 술, 담배는 수술 후 한 달 동안은 되도록 삼가주세요.
* 목욕은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시 1개월 후 조심스레 샤워가 가능하고
3개월이 지나서 목욕을 할 수 있습니다.
* 일반 침대 사용은 가능합니다 (온돌에서는 요를 사용하세요)
* 사회생활이나 직장생활의 복귀는 가벼운 일의 직장생활이나 학생들의 등교는 한달 후에 하는 것이 좋고 힘든 일을 하는 경우는 3개월 뒤가 좋습니다.
(척추 고정술의 경우 좀 더 연장 될 수 있습니다.)
2. 보조기
* 보조기 착용은
디스크 수술 후 : 2개월 정도
척추 고정 수술 후 : 3개월 정도
* 외래 방문시 보조기를 풀 수 있는 시기를 말씀해 드립니다.
* 척추고정술을 하신 분은 수술 후 3개월 동안 보조기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3. 운동범위
* 물리치료는 퇴원 후 증상에 따라 더 받을 수는 있으나 꼭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 여성의 가사 일의 범위는 수술 한달 후 부엌일은 가능하고,
같은 자세로 오랫동안 일하지 마시고, 자주 자세를 바꾸어 주며,
부드러운 허리운동을 곁들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 수술 후 운동은 수술 후 다음 날부터 걸을 수 있으며(기구 고정술은 5일후),
수술 후 한달 후 부터 가벼운 유연성 운동을해야 하고,
수술 후 두달 뒤부터 수영, 조깅, 등산, 자전거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이 느껴서 힘들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합니다.
* 축구와 같이 심한 운동은 3개월 후에 하십시오.
수술 후 운동 범위
디스크 수술 후
기구 고정 수술 후
수 영
2개월 후
3개월 후(물놀이 정도)
운 전
1개월 후(가까운 거리)
3개월 후(가까운 거리)
등 산
1~2개월 사이 : 산책
1~2개월 사이 : 산책
조 깅
2개월 후
3개월 후(가볍게)
자 전 거
2개월 후(가볍게)
3개월 후(가볍게)
축 구
3개월 후
6개월 후
* 수술 후 정상인처럼 행동할 수 있는 시기는
디스크 수술 : 3개월 후
기구 고정술 : 6개월
4.증상
*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저림,당김,시림)은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1~3개월이 지나면 서서히 없어집니다.
* 첫 한달 : 수술 후 피부의 상처는 실밥을 뽑은 후 곧 아물지만 근육은
1개월이 지나야 아물게 되며, 그 기간 근육의 긴장때는 허리 근육의 긴장을 풀어 줌으로써 완화됩니다.(성격이 예민한 사람들에게 올 수 있습니다.)
* 둘째달 : 수술 후 약 2개월이 지나서 디스크가 아물게 되는데 이때까지 허리 속의우리한 통증은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로 이러한 증상들도 대부분 3개월이 지나면 없어집니다.
* 그 후 : 척추에 기구고정술을 시행한 경우는 골반의 뼈를 이식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골반부위가 오랫동안 우리하게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3~6개월이 지나면 서서히 없어집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02.29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3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