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소양교육을 활용한 연간 계획 수립 - 컴퓨터 및 실과 교과서 분석과 재구성 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소양교육을 활용한 연간 계획 수립 - 컴퓨터 및 실과 교과서 분석과 재구성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문제 이해 및 분석
1. 문제 이해
2. 문제 정의 및 분석
3. 문제해결 절차
4. 역할 분담

II. 이론적 배경
1. 정보소양교육(ISSS)
2.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이해
3.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과 컴퓨터과 교육
4. 부르너의 교수 이론과 컴퓨터과 교육

III. 컴퓨터 및 실과 교과서 분석과 재구성 방향
1. 학생의 ICT 활용 능력 기준
2. 컴퓨터 교과서 분석
3. 실과 교과서 분석
4. 교과서 선정 이유 및 재구성 방향

IV. 연간 주별 계획
1. 일년간의 지도계획(34주)
2. 차시별 지도계획

V. 회의록

VI. 저널

본문내용

분이었다.
34주 교육과정을 짜는 과제가 주어졌을 때에는 정말 막막하기만 했는데 솔빛 미디어와 중앙교육의 6학년 교과서를 분석하면서 6학년 컴퓨터 교과 교육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게 되었고 서서히 틀을 잡아 갈 수 있었다. 3학년 때 교과서 분석하는 과제를 많이 해 보았지만 그저 삽화, 지문이 잘못된 것을 지적하거나 내용이 이상하다는 것을 지적하는 등 미시적인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하는데 그쳤는데 이번 과제에서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교과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부분보다는 전체를 봄으로써 1년 동안의 교육과정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교과서를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이렇게 보는 시야가 넓어졌기 때문에 자신 있게 우리 조만의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컴퓨터 교과에서 기능을 익혀 컴퓨터를 다루고 문서나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요즘 학생들은 수업 시간 이외에도 인터넷 웹 서핑이나 게임, 메신저 등 컴퓨터를 많이 다루기 때문에 정보 윤리(사이버 윤리)와 통신 예절을 중요하게 지도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에도 이점을 중시했는데 학생들이 모든 정보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스스로 건전한 정보와 불건전한 정보를 구별하고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그저 '이상한 것은 보지 마라, 함부로 사이트에 가입하지 말아라'라고 이야기로 하는 것보다는 불건전한 정보를 접했을 때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인식 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통신 예절은 메신저나 게임 대화 창, 웹사이트의 게시판 등에 욕설을 사용하거나, 남을 비방하는 말, 또한 올바르지 않은 통신 언어-소위 외계어라고 불리는 것들-를 사용하지 않고 건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하는데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6학년에서는 파워포인트나 엑셀, 홈페이지 저작도구들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데 이것도 단순히 기능을 익히고 한 번 해 보는데 방법이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어떤 상황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지, 여러 도구들을 유창하게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배운다면 흥미도 생기고 목표의식도 생기는 동기유발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 마지막 과제만을 앞두고 있다. 좀더 신중히 고민하여 아이들의 입장에서 또 교사의 입장에서 최선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찾아 마지막 과제에 그것을 담아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4
첫 번째, 두 번째 과제를 하고 두 과제를 활용해서 세 번째 과제를 마쳤다.
첫 번째, 두 번째 과제를 할 때는 아무것도 모르고 문제 해결을 했다. 하드웨어도 잘 몰라서 이곳 저곳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면서 자료 수집을 하였고, 두 번째 과제 또한 소프트웨어를 잘 몰라서 친구에게 물어도 보고, 사이트들도 둘러보고 해서 겨우 완성하고도 잘못된 부분들이 많이 보였었다.
세 번째 과제를 잘했다는 것이 아니다. 세 번째 과제 또한 부족한 점이 많지만 첫 번째, 두 번째 과제 보다 더 낳은 문서가 되어 가는 것 같았다. 과제를 할 때마다 한글 문서 편집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게 되고 수정을 많이 할 수 있게 되었다. 과제 하나 하나를 할 때마다 나에 한글 문서 편집 기능이 높아지는 것을 몸소 느끼고 있다.
세 번째 과제에서는 전체적인 컴퓨터 수업 방식에 대한 느낌이 컸다. 내가 현장에 나갔을 때 컴퓨터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하게 해주었다. 컴퓨터 수업 시간에는 무엇을 공부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이 들었고, 그 생각들을 적용할 수 있었다. 나중에 현장에 나가게 되면 이렇게 정리한 나에 생각들을 그대로 적용해 보고 싶은 생각이 가득하다.
이번 과제에서는 첫 번째, 두 번째 과제에 비해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다. 3학년 때 실습을 갔을 때 지도서와 교과서 분석을 많이 해 보아서 컴퓨터 교과서도 연간 계획을 짤 때 어려운 점은 없었다. 하지만 컴퓨터 교과의 특이성 때문에 교수-학습 방법이 많이 시범-실습법이 사용되고 있어 그에 맞는 수업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과제 해결을 하면서 느낀 점이 한달 후에 있을 실습에서 특별활동이나 ICT 활용 교육을 할 때 적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했다. 작년 실습 때에는 담임 선생님에 도움을 받아 ICT 활용 교육을 했었는데 이번 실습에 나가서는 내가 직접 수업 방법을 결정하고 수업을 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또 이번 과제를 하면서 정보 소양 교육(ISSS)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웠다. 학생 정보 소양 교육을 공부해서 초등학생들이 할 수 있는 능력을 고려해서 수업 방법을 적용하고 수업 내용을 적용할 수 있었다. 정보 소양 교육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배운 것뿐만 아니라, 정보 소양 교육에 대해서 확실히 알고 현장에 나갈 때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또 교사가 되기 위한 하나의 지식을 얻어 보람이 있었다.
세 번째 과제를 마치고 네 번째 과제가 남았는데 네 번째 과제 또한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믿고 최선을 다 할 수 있도록 마지막 과제 시에 같은 조원들과 합심하여 문제 해결을 할 것이다.
VI. 참고문헌
이론적 배경
정보소양교육
·http://www.moe.go.kr
·http://eduict.com.ne.kr/ict-main3.htm
컴퓨터 교과의 이해
·컴퓨터와 생활(교사용 지도서)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컴퓨터 교육학 , 전국교육대학 컴퓨터교육연구회 편저, 삼양미디어 2003
·희소 신경향 교육학
·http://www.knky.kyongnam.kr/cw/courseware/009/r11_13.htm
·http://raehan.comtoi.org/lecture/comtext/6.htm
부르너의 교수이론
·컴퓨터 교육학 , 전국교육대학 컴퓨터교육연구회 편저 / 삼양미디어 2003
·http://www.chohwasup.pe.kr
교과서 분석
·컴퓨터와 생활 - 6중앙교육진흥연구소
·컴퓨터 생활 6 - (주)솔빛미디어 -
·실과 6학년 지도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04.03.15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4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