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도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에베네저 하워드(Ebenezer Howard:1850 ~ 1928. 영국)의 생애

2. Ebenezer Howard 전원도시 출현

3. 실현된 유토피아 레치워스(Letchworth)와 웰윈(Welwyn)

본문내용

축가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도 진열되어 있어 전세계에 널리 퍼진 전원도시의 종주국임을 뽐내고 있다.
<현재의 레치워스(Letchworth) 거리>
2)
Welwyn Garden City Site Plan (1927)
전원도시 확산의 계기가 된 웰윈(Welwyn)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웰윈(Welwyn)전원도시는 역시 런던에서 북쪽으로 약 30km의 거리에 건설되었으며 하워드는 1920년 직접 웰윈으로 이사하여 1928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거주하면서 직접 전원도시 건설에 참여하였다. 이번에는 루이 드 스와송(Louis de Soissons)이 설계에 참여하였는데 레치워스와 마찬가지로 도심 한복판의 광장과 여기에서 외곽으로 뻗은 녹지축의 개념은 그대로 도입되었다.
웰윈 전원도시에서는 레치워스보다 한층 더 성숙된 전원도시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레치워스에서 적용되었던 보차분리개념이 웰윈에서는 쿨데삭(cul-de-sac)이라고 하는 다양한 형태의 막다른 골목으로 적용되는데, 막다른 골목에는 꽤 넓은 잔디밭이 있고 그 주변을 따라 원형으로 도로가 나 있으며 그 바깥으로 주택이 배치되어 있다. 사람들은 간선도로에서 이 쿨데삭으로 접어들어 주차를 한 후 걸어서 집으로 들어간다. 마치 포도송이처럼 큰가지에서 잔가지 그리고 포도알에 이르기까지 교통에서의 위계질서가 확고하기 때문에 간선도로 주변에 차량을 주차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불법주차로 인한 교통체증이라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교외의 단독주택 지역은 숲에 둘러 싸여 마치 산 속의 저택을 연상케 한다.
모도시(母都市)에의 의존성을 줄이고 자체 고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입된 웰윈의 공업지역은 아직도 나대지가 일부 남아 있어 전원도시의 면모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급적 공해산업을 피하고 무공해 첨단산업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래서인지 컴퓨터 관련 공장과 사무실들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Welwyn Garden City before 1939
Welwyn Garden City after 1946
Welwyn Garden City: Campus &Parkway
자료출저
1. Ebenezer Howard "Garden Cities of To-morrow" 1902
2. http://www.rickmansworthherts.freeserve.co.uk/howard1.htm
3. http://arch.hannam.ac.kr/~kih/week2-1.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3.2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