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C 이론(제약이론)과 SCM - 생산관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OC 이론(제약이론)과 SCM - 생산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TOC와는 다른 JIT의 무한의 경쟁은 최종조립 Line을 고객으로 하는 어디까지나 생산Supply Chain이며 그 엄밀한 운용은 비교적 한정적으로 밖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Supply Chain의 제약조건은 시장에 있다.
TOC는 확실히 조달, 제조, 물류, 판매라는 물의 흐름의 관점에서 Supply Chain에 대한 전체최적화에 논리적인 Frame work을 부여하고 있으며, 또한 SCM제품은 수요예측에서 판매, 생산, 물류계획, 관리까지를 연동시켜 운용단계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예측제품의 산업은 "팔리는 물건을 만든다"를 위한 Supply Chain을 돌리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무엇이 팔리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것이 전제조건이 되고, 그것이 Trigger가 되어 수요예측, 계획입안에 기초한 물건흐름의 동기화가 요구되어진다.
그것에 의하면 Supply Chain에 있어 근원적인 제약조건은 이행이 쉬운 최종수요로 결국은 고객, 시장이다. Real Time Base로 실수요정보를 Supply Chain사이에서 공유하는 것이 불가결하며 그것에 따라 Business의 Speed도 효율도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여러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일이 Supply Chain에서는 조직의 벽이 저해 요인으로 이 공유화가 가능한 예가 오히려 적고, 이와 같은 공유화를 분단시켜 자신의 하나의 요구나 발주정보만에 대응하여 의사결정을 행하면, 최종 수요의 변동이 소비자(모회사)에 따라 곱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일용품점의 실例로, 실수요정보를 공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수요의 작은 변동이 Maker의 생산단계에서는 크게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과 함께 재고증가와 생산 Cost의 증대는 대단히 크며, 무엇보다 실수요정보의 시간적인 지연과 함께 SCM에 대한 Axcell, Break의 Timing을 잃어버릴 영향은 현저하게 커진다.
Throughput증대의 Goal은 어디까지나 한 개 기업의 Goal이며, 또한 수요예측으로부터 들어오는 SCM제품도 그 예측의 기초Data인 실수요정보가 없으면 현저하게 그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Supply Chain의 구성조직간의 그와 같은 정보를 공유 가능한 진정한 SCM, 즉 그림 'Inbound와 Outbound SCM'에 나타낸 Outbound SCM으로 진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SCM제품 관련 개발업체 및 Vendor들도 이에 대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Outbound SCM을 향한 문제점과 대응
이 Outbound SCM을 목표로 한 기업의 체제로서 80년대의 maker측면에서 판매회사를 계열화시키는 것을 통해 제조판매통합화, 그리고 90년에 들어서서는 일부 대형소매점과 Maker가 POS정보를 Give & Take의 관계로 공유화하는 제조판매동맹 등이 있다. 그러나 Maker에 있든, 소매점에 있든 각각에 1대 N의관계가 되어 그것들을 전부Cover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 21세기를 향해 정보기술을 전제로 한 실수요정보를 포함한 Business Data의 공유화가 표준화와 연동되어 업계Level과 국가Level로 진행되고 있다. 표준화된 EDI에 기초한 어패럴업계의 Q.R(Quick Response)과 가공식품업계의 ECR이라 불리는 것입니다. 또 통관으로 대표되는 수속절차의 간소화, 전산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문제보다도 조직상의 문제에 의해 지연되어서 진행되지 않는 것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은 정보공유화의 수단으로서 표준화의 문제이며, 현재 또 하나는 Supply Chain을 구성하는 조직간 신뢰관계의 문제이다.
전자의 문제에 대하여 EDI의 표준화에 대해서는 그것을 채택하는 조직이 어떤 Critical Mass에 도달할 때까지는 그 효과가 적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EDI로부터 이행 Cost가 발생하게 되고 그것이 Dead Lock이 되어 보급이 진행되지 않는다는 이유이며, Critical Mass를 초과하면 효과가 크게 되고, 그것이 참가자를 증가시켜 그것에 따라 더욱 효과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는 상승Cycle로 폭발적인 보급이 일어나며 문제는 그것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분야에서는 기술문제는 없기 때문에 Defact의 출현은 어렵습니다. 총합물류시책이 1년 전에 제정되어 국가차원의 규제완화가 Set되어 EDI의 표준 추진이 기대되고 있다.
또하나 신뢰관계에 대해서는 정보공유라고 해도 투명화하는 것으로 과거의 상관습에 기인하는 것은 논외로 하고 공유화해야 할 것과 그렇지 않은 것과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을 위해서 EDI표준화와 함께 Business의 수행방법 그 자체를 SCM에 맞추는 것이 혁신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어지는데 이것들은 Supply Chain Level에서의 Reengineering문제임을 알 수 있다.
그 흐름의 하나로서 SCM제품과의 연관이라고 말하면 Soft의 Open화, 부품화의 진전에 의해 80%의 Common Practice(범용소프트의 활용)화와 20%의 Best Practice(독자적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부분)화라는 것이 말해지고 있습니다. 차별화할 필요가 없는 80%의 부분을 공통 Platform화로 효율화, 투명화를 추구하여 나머지 20% 부분의 차별화, 경쟁을 행하려는 것이다. 지금까지 SCM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TOC(Theory Of Constraints)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TOC의 과학적, 논리적인 사고방식과 Forecasting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SCM의 2가지 목표는 Througput(매출-재료비)의 증대와 재공재고의 감축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Supply Chain을 구성하는 4가지 영역과 회사내의 Inbound와 회사를 떠나 Supplier를 포함하는 Outbound Supply Chain에 대한 개념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Supply Chain Management의 근간을 이루는 TOC이론 및 이 TOD를 기반으로 한 생산개선의 Step과 기존생산방식과 어떻게 융합을 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사항을 알아 보았다.

키워드

TOC,   SCM,   제약이론,   GOAL,   JIT,   병목자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3.27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