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준비물품
3. 순서
4. 주의사항
2. 준비물품
3. 순서
4. 주의사항
본문내용
배 길이(약 36cm)정도가 적당하다.
③ 대상자를 복위 또는 앙와위를 취하게 하여 무릎을 약간 구부리게 한다.
④ cuff를 무릎뒤에 있는 슬와동맥 윗부분의 대퇴에 알맞게 감는다.
⑤ 측정절차는 상완동맥에서와 같으며 슬와동맥에서 촉진법 또는 청진법으로 측정한다.
⑥ 상완혈압 측정의 절차 ⑮~ 와 같으며 수축기압이 팔에서보다 10~40mmHg높게 측정되며 이완기압은 팔과 동일하다.
♧ 주의사항 ♧
Ⅰ. 체온측정
· 구강체온은 음식묵 섭취 흡연을 한 후 적어도 30분 이내는 측정하지 않는다. 직장체온 은 직장수술로 인해 직장에 이상이 있거나 출혈경향이 있는 대상자, 신생아, 영아는 사 용하지 않는다.
· 액와 체온은 측정하는 동안 바른 위치에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 하루중 같은 시간에 측정한 체온을 비교한다.
· 해열제 투여시는 30분 후에 측정하기 시작하여 매 4시간마다 안정될 때까지 잰다.
Ⅱ. 맥박측정
· 맥박이 불규칙할때는 맥박결손을 사정하고 두사람이 심첨맥박과 요골맥박을 동시에 사 정한다.
· 많은수의 PVC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처치로 요골동맥을 잴 수 없는 경우나 요골동맥이 불규칙한 경우는 심첨맥박을 사용한 다. 심장에 문제가 있는 대상자도 심첨맥박으로 잰다.
· 맥박을 촉지하기 어려운 사람은 도플러나 초음파 청진기를 사용하여 잰다.
· 요골-심첨맥박 측정시 간호사 2인은 시계의 초침이 두사람이 동시에 보이는 곳에 두고 동시에 잰다.
· 연령에 따른 맥박의 정상수치와 비교한다.
Ⅲ. 호흡측정
· 심부전증, 복수등 호흡이 곤란한 대상자는 아주 편안한 자세에서 측정해야 한다.
· 호흡이 분당 12회 이하이거나 20회 이상시, 얕고 느린호흡시는 좀 더 세밀한 사정과 즉 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kussmaul호흡, 비정성적으로 깊고 규칙적인 호흡은 당뇨성 케토상증의 증상으로 즉각적 인 중재가 필요하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에게는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을 저하시킬 수 있다.
Ⅳ. 혈압측정
· cuff를 오래 감아두면 혈액흐름의 감소로 팔이 무감각하거나 저릴 수 있다.
· 체위성 저혈압이 예상되는 대상자는 앉은 자세로 혈압을 측정한다.
· 혈압은 조금 휴식을 취한 후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팔에서 같은 자세로 재도록 한다.
♧ 참고 문헌 ♧
내용: 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정담미디어>
그림: 제 6판 기본간호학上 "활력징후" 186p~ 213p <현문사>
③ 대상자를 복위 또는 앙와위를 취하게 하여 무릎을 약간 구부리게 한다.
④ cuff를 무릎뒤에 있는 슬와동맥 윗부분의 대퇴에 알맞게 감는다.
⑤ 측정절차는 상완동맥에서와 같으며 슬와동맥에서 촉진법 또는 청진법으로 측정한다.
⑥ 상완혈압 측정의 절차 ⑮~ 와 같으며 수축기압이 팔에서보다 10~40mmHg높게 측정되며 이완기압은 팔과 동일하다.
♧ 주의사항 ♧
Ⅰ. 체온측정
· 구강체온은 음식묵 섭취 흡연을 한 후 적어도 30분 이내는 측정하지 않는다. 직장체온 은 직장수술로 인해 직장에 이상이 있거나 출혈경향이 있는 대상자, 신생아, 영아는 사 용하지 않는다.
· 액와 체온은 측정하는 동안 바른 위치에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 하루중 같은 시간에 측정한 체온을 비교한다.
· 해열제 투여시는 30분 후에 측정하기 시작하여 매 4시간마다 안정될 때까지 잰다.
Ⅱ. 맥박측정
· 맥박이 불규칙할때는 맥박결손을 사정하고 두사람이 심첨맥박과 요골맥박을 동시에 사 정한다.
· 많은수의 PVC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의사에게 보고한다.
· 처치로 요골동맥을 잴 수 없는 경우나 요골동맥이 불규칙한 경우는 심첨맥박을 사용한 다. 심장에 문제가 있는 대상자도 심첨맥박으로 잰다.
· 맥박을 촉지하기 어려운 사람은 도플러나 초음파 청진기를 사용하여 잰다.
· 요골-심첨맥박 측정시 간호사 2인은 시계의 초침이 두사람이 동시에 보이는 곳에 두고 동시에 잰다.
· 연령에 따른 맥박의 정상수치와 비교한다.
Ⅲ. 호흡측정
· 심부전증, 복수등 호흡이 곤란한 대상자는 아주 편안한 자세에서 측정해야 한다.
· 호흡이 분당 12회 이하이거나 20회 이상시, 얕고 느린호흡시는 좀 더 세밀한 사정과 즉 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kussmaul호흡, 비정성적으로 깊고 규칙적인 호흡은 당뇨성 케토상증의 증상으로 즉각적 인 중재가 필요하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에게는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을 저하시킬 수 있다.
Ⅳ. 혈압측정
· cuff를 오래 감아두면 혈액흐름의 감소로 팔이 무감각하거나 저릴 수 있다.
· 체위성 저혈압이 예상되는 대상자는 앉은 자세로 혈압을 측정한다.
· 혈압은 조금 휴식을 취한 후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팔에서 같은 자세로 재도록 한다.
♧ 참고 문헌 ♧
내용: 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정담미디어>
그림: 제 6판 기본간호학上 "활력징후" 186p~ 213p <현문사>
추천자료
학교보건실습 case study(사례연구)
아동간호 소아과 실습일지 (실습관찰&수행내용, 공부한내용)
신생아 신체사정
간호학- 실습 지침서
실습때 필요한 기본간호
(중환자간호) 신경계 환자 간호 및 중환자간호
[간호] 뇌 동맥류 (cerebral aneurysm) 케이스
시나리오 case study(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신부전, 우울, 불안)
응급환자관리학 책정리
아동간호에서 단어간단하게..ㅋ
경추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HERNIATED CERVICAL DISC) case study.pptx
ER CASE, 응급실 케이스,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수술 후 간호 (병동, 퇴원간호)
간호윤리와 법 <법적 사례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