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Ⅱ 울혈성 심부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Ⅱ 울혈성 심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료수집

2. 문헌고찰(정의, 신기능 손상도 분류, 원인, 증상, 진단검사, 간호)

3. 자료수집

4. 간호과정

5. 소감문

본문내용

6℃. 사지 말단 냉감 지속되나 피부색 변화 없음. 심음 청진 시 S3 경미하게 들림.
지속적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리듬 변화를 관찰하였다.
-> 3/25 오전 심전도상 PVC 간헐적 출현 관찰됨. HR 79~130회/분 범위 내에서 변동 있었으며, NSVT 발생은 없음. 간헐적 QTc 간격 연장 확인됨.
(치료적 수행)
처방에 따라 항부정맥제(amiodarone), 이뇨제(라식스), 베타차단제(딜라트렌)를 정해진 용량에 맞춰 투여하고 투약 반응을 관찰하였다.
-> 투약 30분 후 V/S 안정, HR 78회/분으로 유지. 대상자는 \"심장이 좀 덜 뛰는 느낌이다\"고 표현함. 부정맥 악화 없이 안정된 리듬 유지되었음.
침상 안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고, 상체를 45도 올려 반좌위(Fowler’s position)로 체위를 조정하였다.
-> 체위 변경 15분 후 대상자 “숨쉬기 훨씬 낫다”고 표현함. SpO₂ 98% 유지되고, 호흡수 18회/분으로 안정적임.
(교육적 수행)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심박출량 감소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가슴 답답함, 어지러움, 저혈압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상 소견 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1) 심박출량 감소 시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인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저혈압, 창백한 피부색, 손발의 냉감 등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자세히 설명함.
(2) 특히 갑작스러운 어지러움이나 쓰러질 듯한 느낌, 앉거나 일어날 때 어두워 보임, 숨이 차거나 가슴이 조이는 증상은 심박출량 저하의 경고 신호일 수 있으므로, 즉시 호출벨을 눌러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강조함.
(3) 보호자에게도 대상자의 안색, 반응, 활력 변화 등을 관찰할 것을 권장하였고, 이상 소견 발견 시 즉각 의료진에게 보고해야 함을 교육함.교육 내용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는 적극적으로 경청하였고, 설명한 증상들을 다시 말해보며 정확히 이해했음을 확인함.
-> 대상자는 “심장 두근거리거나 어지러우면 바로 말씀드릴게요”라고 반응하며 이해도를 보임.
심부전 및 부정맥 질환 관리, ICD 삽입 이후 주의사항(전자기기, 충격 회피 등)에 대해 교육하였고, 정기 추적 진료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 대상자는 “기계가 심장 대신 작동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되냐”고 질문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고, 주의사항 메모 요청함.
평가
장기목표 평가
①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 없이 안정된 활력징후(BP, HR, SpO₂ 등)를 유지한다.
→ 대상자는 현재 BP 106/58mmHg, HR 83회/분, SpO₂ 97%로 안정적인 활력징후를 보이고 있음. 그러나 아직 퇴원 전이며, 심정지 후 회복 초기 상태로 장기적 안정 여부는 계속 관찰 필요함. (부분 달성, 경과 관찰 중)
②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심전도상 부정맥이 조절되고, EF 수치가 현재 상태에서 더 이상 저하되지 않는다.
→ 3/24 심초음파 EF 31.1%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심박수 불규칙성은 있으나 NSVT 등 악화는 없음. ICD 삽입 후 PVC, Af 등 조절되고 있으나 완전한 안정은 미확인 상태. (부분 달성,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단기목표 평가
① 대상자는 72시간 이내 심박수와 혈압이 안정범위 내(BP ≥ 90/60mmHg, HR 60~100회/분)에서 유지된다.
→ 최근 3일간 활력징후 BP 100~129/5668mmHg, HR 67~83회/분으로 안정 범위 내 유지됨. (달성)
② 대상자는 3일 이내 “가슴이 답답하다” 혹은 심정지 전 호소했던 주관적 증상을 더 이상 표현하지 않는다.
→ “숨 쉬기 편하다”, “괜찮다”는 반응 보였으며, 3일간 가슴 통증이나 답답함 호소 없었음. (달성)
소감문
중환자실(ICU) 실습을 통해 평소 강의 시간에 배우던 내용을 실제 임상에서 마주하며 간호학을 더욱 현실감 있게 받아들일 수 있었습니다. 실습 첫날은 낯선 환경과 수많은 기계들, 그리고 중증 환자분들의 모습을 보며 많이 긴장되었고, 내가 과연 이 공간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막막함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간호사 선생님들의 업무를 보조하고, 대상자의 활력징후나 V/S를 확인하며 조금씩 실무에 참여하게 되면서, 그동안 배워온 지식이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몸소 느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위급상황에서 간호사 선생님들께서 침착하게 판단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면서 ‘간호사’라는 직업의 무게와 책임감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울혈성 심부전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통해, 질환에 대한 간호뿐 아니라 심리적인 지지와 공감도 간호의 중요한 부분임을 느낄 수 있었고, 대상자의 작은 반응 하나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며 케어하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모습을 보며 많은 것을 배우고 존경심이 들었습니다.
실습을 통해 간호는 단순한 업무 수행이 아니라,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전문적인 분야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앞으로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노력해서 대상자에게 신뢰받는 간호사가 되고 싶다는 다짐을 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실습을 계기로 간호학에 대한 흥미와 책임감이 더 커졌고, 임상에서 일하게 될 미래의 제 모습을 더 또렷이 그려볼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참고문헌
1) 아산병원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2) 서울아산병원 - 의료정보 - 의약품정보
| 의약품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3) 약학정보원 - 약학정보원 (health.kr)
4)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5)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상권 (제8판). 현문사.
6) 송경애 외. (2021).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7) 송경애 외. (2021).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8)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9)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7
  • 가격4,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25.04.10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6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