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층과 사회이동의 개념과 각각의 사례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계층과 사회이동의 개념과 각각의 사례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사회계층이란 무엇인가? - 사회계층의 개념
1.1 사회계층의 영향으로 불평등을 받은 사례
1) 성별에 따른 불평등 사례
2) 학력에 따른 불평등 사례
3) 인종에 따른 불평등 사례 (국내의 경우)
4) 지역에 따른 불평등 사례
5) 출신 배경에 따른 불평등 사례
2. 사회이동이란 무엇인가? - 사회이동의 개념
2.1 사회계층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사례, 특징
1) 정주영
2) 박은수 (변호사)
3) 김송자 (전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
4) 이행웅 (태권도)
5) 김순권 (옥수수박사)
6) 오문환 (경주 코오롱 호텔 사장)
7) 김재규 (영동대학교 총장)
2.2 요약정리

Ⅲ. 결 론

본문내용

수포로 돌아가고, 훗날 경북대 농대에 진학하여 법대생으로 오인 받을 정도로 열 심히 공부g했지만 서울대학원 시험에 낙방한다. 3번의 쓴 고배를 마시고 선택한 직장이 바로 '농촌진흥청'이었고 그 곳에서도 가장 인기 없는 옥수수 과에 배정 받게 되었지만 불굴의 투지로 성공하게 된다.
6) 오문환 (경주 코오롱 호텔 사장)
호텔업을 천시하던 62년, 당당하게 '왕보이'가 된 사람으로 경주 코오롱 호텔의 사장이 되기까지 벨맨 에서부터 호텔과 관련된 일은 안 해본 일이 없다. 그는 손님이 부르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새벽 2시라도, 어떤 손님이 불러주면 무슨 일이 있더라도 달려가는 철저한 호텔맨인 그는 무난한 성격, 무난한 외모의 소유자이지만 서비스 정신만은 무난하지 않은 사람이다. 관광객을 경주로, 관광객을 코오롱호텔로... 사생결단조를 만들어 불황을 겪는 호텔을 살리기 위해 온몸을 던졌던 호텔 경영자에서, 현재는 호텔업계의 미래를 짊어진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는 경주대 관광학부 호텔경영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ⅰ. 남이 하지 않는 일에 도전
1862년 당시 호텔업은 천한 직업, 생소한 직업이었기 때문에 대학졸업생이 호텔업계에 입문하게 되면, 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 그렇지만 호텔업에 매력을 느낀 그는 험한 일들을 해나가면서 총지배인이 되겠다는 꿈을 키워나간다. 남들보다 부지런히 노력하고 남들보다 많이 알기 위해서 끊임없이 공부한 그는 마침내 로얄호텔 총지배인 나아가 호텔의 사장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다.
ⅱ. 한가지 것에 대한 탐구
경주 코오롱 호텔의 총지배인이 된 그는 고객유치를 위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에 매 달린다. 너무 일에 열중한 나머지 우울증에 걸리기도 했었지만 10, 26사건, 오일쇼크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호텔을 살리기 위해 다시 일어선다. 사생결단 조를 조직하여 신혼부부를 유치하고, 온천개발에 온 힘을 쏟아 호텔 업계의 발전에 이바지한다.
ⅲ. 두 장의 카드
스마일 카드와 +1카드, 이 두 장의 카드에 '영원한 호텔맨'으로서의 그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항상 미소를 잃지 않기 위해서 [스마일카드]를 가지고 다니면서 자기 최면을 하며 경주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현재의 모습을 [+1카드]로 보여주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끝없이 노력하는 그의 성실한 면모를 볼 수 있다.
7) 김재규 (영동대학교 총장)
경남 합천의 동네 말썽꾸러기가 평범한 시골 농부로 성장하여 1948년 고입검정고시를 합격하고 1952년 초, 중, 고 준교사 자격고시를 합격하는 등 끊임없는 노력과 도전 끝에 뜻 깊은 결실을 이뤄낸 한 대학 총장이다.
ⅰ. 끊임없는 도전
20년의 수험 생활에서 그의 첫 번째 도전은 교사 자격 시험이었으나 그 결과는 전 과목 의 실패로 돌아왔다. 훗날 몇 년의 도전 끝에 초등학교 교사의 꿈을 이루고 실력 없는 교사란 말이 싫어 열성적으로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아이들을 가르쳤다. 또한 중학교 교 사 시험과 뒤이어 고등학교시험에서 보통고시, 고등고시를 합격한다. 안정될 만 하면 새로운 도전 길에 나서는 그는 거기에도 만족하지 못해 대학교수 시험에도 합격하게 되었다.
ⅱ. 돌아간다고 늦는 것은 아니다.
초등학교 졸업 학력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시작으로 나라의 수재들이 모인 서울대, 연, 고대 학생들까지 가르치고 결국은 대학 총장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된 그에게 가장 어려웠던 시험은 운전 면허시험이었다. 쉽게 학원에서 배울 수 있었던 것을 독학으로 연습해 4번만에 합격했으며 오히려 한 번에 된 시험은 재미없다고 말하는 그는 학력위주 사회에서 가장 낮은 학력으로 가장 높은 학교의 수장이 된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ⅲ. 언행일치
2.2 요약정리
위에서 살펴본 사회계층을 이동하는 사람들의 사례와 특징을 잘 살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대사회에서 불평등을 느끼게 하는 조건인 학력, 소득, 출신, 성별, 인종·민족 등의 것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그들이 가진 능력과 의욕, 이념 등으로써 본래 사회계층에서 더 높은 사회계층으로의 성공적인 이동을 누릴 수 있었다.
Ⅲ. 결 론
사회계층에 따른 생활 기회의 차이는 보편적이지도 않고 절대적인 것도 아니다. 또한, 이 차이는 인격의 차이와는 별개의 것이므로 이런 사고 방식은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 그것은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하는 사회에서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사실로서 이해하여야 하며 그러한 객관적 사실을 줄여나가야 하는 사회적 과제로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역사적인 경험에 비추어 보아 사회계층 현상은 거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불평등 체계에 대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는 것인가? 완전한 평등사회의 실현은 불가능할지는 모르나 보다 평등한 사회를 위한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 보다 개방적인 계층구조를 실현하려는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수직적 사회이동의 가능성을 확대하고, 가정의 배경이나 권력보다는 능력과 노력이 사회이동의 주요 요소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들은 과학기술을 더욱 발달시키고 조세제도를 개혁하며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등 일련의 국가 정책적인 변화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다시 정치 사회적인 지도층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요건으로 하며 무엇보다도 이것에 대한 국민 전체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도 중요한 조건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
1.「교육사회학의 이해」차경수, 양서원, 2002.
2.「현대 한국사회의 계층구조」 양춘, 집문당. 2001.
3.「일본의 사회계층 : 풍요 속의 불평등」원순보, 한울아카데미, 2002.
4.「사회 불평등: 이론과 전망」Grabb, Edward G. 나남, 1994.
5.「한국의 사회신분과 사회계층」한국사회사연구회, 문학과 지성사, 1990.
6. MBC 성공시대 http://www.imbc.com/sisa_docu/success/
7.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8.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4.05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