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교육사회학의 기초 주제
Ⅰ. 교육과 문화
Ⅱ. 교육과 사회계급
Ⅲ. 교육과 사회이동
Ⅳ. 교육사회학과 패러다임
* 참고문헌
Ⅰ. 교육과 문화
Ⅱ. 교육과 사회계급
Ⅲ. 교육과 사회이동
Ⅳ. 교육사회학과 패러다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비록 이론이 세상을 이해하는 참고 지표지만, 기존 이론에 대한 이해는
필요한 것이다. 이론은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방식과 인식의 안경을 끊임
없이 닦을 수 있는 사고의 기반을 제공해 주므로, 이론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론은 무수히 많으므로, 모든 이론을 세밀하고 자세히
이해할 수는 없다.
이론을 이해하는 것도 힘든 일이지만, 이론을 분류하는 방법도 용이하지
는 않다. 이론을 분류하는 방법 역시 특정 관점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 방
법은 학자마다 다르다. 물론 분류 방법은 학문적 타당성이 있지만, 너무 다
양하여 매로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비슷한 분
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론의 분류 틀은 이론을 이해하는 지도와 같으며,
이론적 흐름과 맥락에 대한 심층적 혜안을 준다.
이론의 분류에 앞서, 패러다임(paradigm)이란 개념을 알아야 한다. 패러
다임은 이론분류의 틀로서 이용되는 용어기 때문에, 패러다임에 관한 인
식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패러다임은 1962년 과학철학자 쿤(T. Kuhn)이
"과학혁명의 구조"라는 그의 저서에서 과학의 발전사를 효과적으로 설명하
기 위해 만들어 낸 신조어다. 그에 의하면 과학의 발전은 점진적이며 개선
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비약적이며 도약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국가가 공인하는 특정의 정상과학이 패러다임 I로 정착되고, 어떤 과학
문제도 이 패러다임 I이라는 과학적 인식 틀에서 해결하려고 하였다. 심지
어 패러다임 I로 해결하지 못하는 과학 문제는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 여겼
으며, 다른 과학적 인식 틀은 인정하지 않았다. 때문에 기존의 과학은 패러
다임 I이라는 과학적 인식의 울타리에 갇혀서 진전을 볼 수가 없었다. 그러
다가 우연히 패러다임 II라는 새로운 과학적 인식 틀이 대두되면서 과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예컨대, 평평한 지구에서 등근 지구라는 인식
의 대전환은 과학적으로 논리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갈
릴레오에 의해서 급격하게 발전된 것이었다.
뉴튼(I. Newton)은 시간과 공간을 엄격히 분리하기 위해 절대시간과 절
대공간을 제시하였으며 , 이것은 오랫동안 과학계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
으로 군림하였다. 당시의 상황에서 뉴튼의 과학관에 도전한다는 것은 곧
진리에 도전하는 것처럼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A.
Einstein)이 출현하면서 뉴튼과 근본적으로 학문체계가 다른 전혀 새로운
사고 틀이 제시되었다. 그는 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시간과 공간은 분
리된 것이 아니고 위치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르고 공간도 중력에 의해
취어져 있으며 표준적인 시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런 생각은
과학적 인식의 대전환을 이루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지만 이것을 인정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것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하며, 이
를 다음과 나타낼 수 있다.
패러다임 I -> 정상과학 -> 비정상적인 것들
-> 위기 -> 혁명 -> 패러다임 II
정상과학으로 인정받는 패러다임 I은 자신의 과학적 인식의 울타리를 조
금도 벗어나지 않으려고 하여, 비정상적인 것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도전을
받는다. 그러다가 패러다임 I이 위기를 맞음과 더불어 패러다임 i떠는 새
로운 과학적 인식 틀이 대두되면서 과학은 혁명적 발전을 이루고 정상과학
으로 정착된다. 이처럼 과학은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발전을 하는 것이 아
니라, 개념이 전혀 다른 과학적 인식 틀의 대두에 의해 혁명적인 발전을 한
다. 비록 패러다임이 과학적 인식 틀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패
러다임이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사회과학에서 패러다임은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에 대
한 인식 틀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규범적 패러다임(nor-
mative paradigm)과 해석적 패러다임(interpretive paradigm)으로, 또는 기
능주의적 패러다임과 갈등주의적 패러다임 등으로 구분하여 쓴다. 교육사
회학에서도 패러다임은 이론적 관점을 구분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다. 여기
서는 세 개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여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산맥에 대한 이
해를 높이고자 한다.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대해 카라벨과 할시
(J. Karabel & A. H. Halsey)의 분류, 풀스톤(R. G. Paulston)의 분류, 블랙
키지와 헌트(D. Blackage & B. Hunt)의 분류 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분류체계
카라벨과 할시의 분류
풀스톤의 분류
블랙키지와 헌트의 분류
· 기능주의적 교육이론
· 진화론
· 기능주의 교육이론
· 경제적 인간자본론
· 신진화론
· 방법론적 경험주의
· 구조기능이론
· 체제이론
· 갈등주의 교육이론
- 신베버학파
- 신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시즘과 네오마르크시즘
· 갈등주의 교육이론
· 문화재건이론
· 무정부적 이상론
· 신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은 외형상 학자마다 매우 다르지만, 자세
히 살펴보면 상당히 비슷한 분류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큰 틀에서 보면
그것들은 대부분 블랙키지와 헌트의 분류 방법에 속해 있다. 다만 학자가
위치한 시대적 관점의 차이와 중요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
서 분류 방법은 학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어떤 분류 방법을 택하느냐에 설
명력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제2부에서는
비교적 단순하게 분류한 블랙키지와 헌트의 방법을 따르고자 한다. 단순한
분류 방법이지만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
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김신일(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학(1992). 사회구조와 행위. 서울: 나남
- 목영해(1995). 후 현대주의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일(2000). 교육의 미래: 시장화에서 민주화로. 서울: 문음사
- 신현석(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 이종각(1984). 문화와 교육. 서울: 배영사
- 정우현 편(1990). 교육사회학학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비록 이론이 세상을 이해하는 참고 지표지만, 기존 이론에 대한 이해는
필요한 것이다. 이론은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방식과 인식의 안경을 끊임
없이 닦을 수 있는 사고의 기반을 제공해 주므로, 이론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론은 무수히 많으므로, 모든 이론을 세밀하고 자세히
이해할 수는 없다.
이론을 이해하는 것도 힘든 일이지만, 이론을 분류하는 방법도 용이하지
는 않다. 이론을 분류하는 방법 역시 특정 관점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 방
법은 학자마다 다르다. 물론 분류 방법은 학문적 타당성이 있지만, 너무 다
양하여 매로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비슷한 분
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론의 분류 틀은 이론을 이해하는 지도와 같으며,
이론적 흐름과 맥락에 대한 심층적 혜안을 준다.
이론의 분류에 앞서, 패러다임(paradigm)이란 개념을 알아야 한다. 패러
다임은 이론분류의 틀로서 이용되는 용어기 때문에, 패러다임에 관한 인
식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패러다임은 1962년 과학철학자 쿤(T. Kuhn)이
"과학혁명의 구조"라는 그의 저서에서 과학의 발전사를 효과적으로 설명하
기 위해 만들어 낸 신조어다. 그에 의하면 과학의 발전은 점진적이며 개선
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비약적이며 도약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국가가 공인하는 특정의 정상과학이 패러다임 I로 정착되고, 어떤 과학
문제도 이 패러다임 I이라는 과학적 인식 틀에서 해결하려고 하였다. 심지
어 패러다임 I로 해결하지 못하는 과학 문제는 개인의 능력 부족으로 여겼
으며, 다른 과학적 인식 틀은 인정하지 않았다. 때문에 기존의 과학은 패러
다임 I이라는 과학적 인식의 울타리에 갇혀서 진전을 볼 수가 없었다. 그러
다가 우연히 패러다임 II라는 새로운 과학적 인식 틀이 대두되면서 과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예컨대, 평평한 지구에서 등근 지구라는 인식
의 대전환은 과학적으로 논리적이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갈
릴레오에 의해서 급격하게 발전된 것이었다.
뉴튼(I. Newton)은 시간과 공간을 엄격히 분리하기 위해 절대시간과 절
대공간을 제시하였으며 , 이것은 오랫동안 과학계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
으로 군림하였다. 당시의 상황에서 뉴튼의 과학관에 도전한다는 것은 곧
진리에 도전하는 것처럼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A.
Einstein)이 출현하면서 뉴튼과 근본적으로 학문체계가 다른 전혀 새로운
사고 틀이 제시되었다. 그는 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시간과 공간은 분
리된 것이 아니고 위치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르고 공간도 중력에 의해
취어져 있으며 표준적인 시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런 생각은
과학적 인식의 대전환을 이루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지만 이것을 인정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것을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하며, 이
를 다음과 나타낼 수 있다.
패러다임 I -> 정상과학 -> 비정상적인 것들
-> 위기 -> 혁명 -> 패러다임 II
정상과학으로 인정받는 패러다임 I은 자신의 과학적 인식의 울타리를 조
금도 벗어나지 않으려고 하여, 비정상적인 것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도전을
받는다. 그러다가 패러다임 I이 위기를 맞음과 더불어 패러다임 i떠는 새
로운 과학적 인식 틀이 대두되면서 과학은 혁명적 발전을 이루고 정상과학
으로 정착된다. 이처럼 과학은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발전을 하는 것이 아
니라, 개념이 전혀 다른 과학적 인식 틀의 대두에 의해 혁명적인 발전을 한
다. 비록 패러다임이 과학적 인식 틀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패
러다임이라는 용어는 학문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사회과학에서 패러다임은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에 대
한 인식 틀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규범적 패러다임(nor-
mative paradigm)과 해석적 패러다임(interpretive paradigm)으로, 또는 기
능주의적 패러다임과 갈등주의적 패러다임 등으로 구분하여 쓴다. 교육사
회학에서도 패러다임은 이론적 관점을 구분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다. 여기
서는 세 개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여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산맥에 대한 이
해를 높이고자 한다.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대해 카라벨과 할시
(J. Karabel & A. H. Halsey)의 분류, 풀스톤(R. G. Paulston)의 분류, 블랙
키지와 헌트(D. Blackage & B. Hunt)의 분류 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분류체계
카라벨과 할시의 분류
풀스톤의 분류
블랙키지와 헌트의 분류
· 기능주의적 교육이론
· 진화론
· 기능주의 교육이론
· 경제적 인간자본론
· 신진화론
· 방법론적 경험주의
· 구조기능이론
· 체제이론
· 갈등주의 교육이론
- 신베버학파
- 신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시즘과 네오마르크시즘
· 갈등주의 교육이론
· 문화재건이론
· 무정부적 이상론
· 신교육사회학
· 신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은 외형상 학자마다 매우 다르지만, 자세
히 살펴보면 상당히 비슷한 분류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큰 틀에서 보면
그것들은 대부분 블랙키지와 헌트의 분류 방법에 속해 있다. 다만 학자가
위치한 시대적 관점의 차이와 중요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
서 분류 방법은 학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어떤 분류 방법을 택하느냐에 설
명력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제2부에서는
비교적 단순하게 분류한 블랙키지와 헌트의 방법을 따르고자 한다. 단순한
분류 방법이지만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
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김신일(200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학(1992). 사회구조와 행위. 서울: 나남
- 목영해(1995). 후 현대주의의 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 김용일(2000). 교육의 미래: 시장화에서 민주화로. 서울: 문음사
- 신현석(2005).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 서울: 학지사
- 이종각(1984). 문화와 교육. 서울: 배영사
- 정우현 편(1990). 교육사회학학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와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청소년 수련시설의 개요, 필요성, 기본원리,...
(한국사회문제C형)홍익대 청소노동자와 같은 파견노동자의 노동현실 개선방안모색-파견노동자...
[사회복지개론] 노인 문제의 개념과 현황 및 대응 방안(고령화의 진입은 여러가지 노인문제를...
[공연문화][공연문화 대상][공연문화 장소][공연문화 현황][공연문화 문제점][공연문화 활성...
[은행수수료, 은행, 수수료, 은행수수료 구조, 은행수수료 체계, 은행수수료 수익현황, 은행...
방과후학교의 개요, 현황, 방과후학교의 개선방안 - 방과후학교의 개념, 추진배경, 목표, 특...
우리나라 아동복지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아동시설의 현황과...
아동복지 실천 대상자별 중 한 분야를 선택해서 개념,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정리하시오 ...
교원 행정업무 부담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연구방법,교원 행정업...
지역사회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파악과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 청...
노인여가(老人餘暇)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노인여가의 특성과 현황 및 문제점, ...
[감정노동자 실태와 문제점 해결방안] 감정노동자 - 감정노동자의 특징, 감정노동자 원인, 감...
[도시숲 조성사례] 도시숲의 중요성, 현황, 조성사례, 도시숲 보전방안 - 도시숲 중요성, 현...
[청년실업] 청년실업 현황, 해외 사례, 청년실업 해결방안 - 청션실업 현황, 해외 사례,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