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의 특징 및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숙아의 특징 및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미숙아의 정의

Ⅱ. 미숙아의 특징
▪ 전반적인 모습
▪ 자세
▪ 피부
▪ 얼굴
▪ 발바닥
▪ 여아 생식기
▪ 남아 생식기
▪ 스카프 징후
▪ heel-to-ear maneuver
▪ 잡는 반사

Ⅲ. 미숙아 간호
▪ 보육기 간호
▪ 영양(Feeding)
▪ 수유의 시작
▪ 수분공급
▪ 총정맥영양(TPN)
▪ 감염 예방
▪ 퇴원과 가정 간호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enteral Nutrition)
경구 영양이 장기간 불가능하게 되면 저출생 체중아의 성장을 유지하 기 위해서는 수분과 열량,전해질,아미노산,비타민을 정맥을 통하여 투 여해야 한다. 주입은 말초정맥이나 중심 정맥을 이용한다. 총정맥영양 의 목적은 섭취한 단백질의 대부분이 성장에 사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비단백질을 공급하는 것이다. 주입액은 합성 아미노산 2.5~3g/dl와 포 도당 10~25g/dl 그리고 전해질 미량 금속 원소와 비타민은 포함한다.
감염예방
신생아는 감염에 취약하므로 미숙아실의 종사원은 아기를 만지기 전과 만진 후에 반드시 손부터 팔꿈치까지 닦아야 한다. 접촉하는 모든 음식 과 사물의 오염,직간접적인 신생아들 간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감염이 있는 사람은 신생아실을 출입할 수 없다. 잠시 동안이라도 신생아실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간호를 하거나 안하던 간에 철저하게 손을 씻어j 야 하고 적절한 옷으로 갈아입거나 덧가운을 입어야 한다.
퇴원과 가정간호
퇴원할때까지 미숙아는 모든 영양을 nipple로 공급받아야 하며, 성장은 지속적인 증가가 이루어지고 실온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 다. 무호흡 발작이나 서맥이 없어야 하고 비경구 투약중이던 약물은 끊 거나 경구로 바꾸어야 한다. 모든 문제가 해결되고 접근이 용이하며 자 세한 추적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보건 기관이 있으면 체중이 1800~2100이 되었을때 퇴원할 수 있다. 아기가 병원에 있는 동안 부 모는 퇴원 후에 아기 다루는 법에 대하여 교육을 받아야 한다.
※ 참고문헌
소아과학(홍창의),대한교과서
아동간호학 총론,수문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4.05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