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를 읽고 나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기> 삼국유사의 고전으로서의 가치 인식

1. 작자-일연

2. 작자의 역사인식

3. 삼국유사의 구성

4. 찬술의도

5. 삼국사기의 비교

6. 삼국유사의 사학적 가치

<끝맺기>

본문내용

편에 집중적으로 실려 있는데 서민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내용이 많다.
삼국유사는 우리 전래의 고문서나 민간 기록 또는 전설을 중국에서 편찬된 정사류 기록보다 더 비중 있는 전거로 삼았다. 그리고 찬술 형태도 여러 자료를 그 출전을 명시하여 자신의 주관적인 논단을 배제하려고 노력하였다. 일연이 각고 끝에 수집한 자료를 소박한 표현으로 전거를 명시하며 제시하고 자신이 직접 답사하는 등의 용의주도한 노력으로 고증한 수많은 서목들은 다양함이나 치밀함에서 삼국사기보다 훨씬 뛰어나며, 원 사료의 본모습을 더 많이 전해 주어 그만큼 사료적 가치도 높다. 객관적 서술 태도를 가지고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찬슐 태도에서 채록된 많은 민간 전승 자료들이 고대 문화의 원형에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줌에서 일연이 차지하는 사학사적 의의는 대단히 크다.
<끝맺기>
위를 통해서 <삼국유사>의 여러 가지 면모를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사하고 확인하여 보았다. 이는 많은 이들이 행하는 방법이며 쉽게 인식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문학적 가치나 사회사적 가치가 오늘의 사회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미 있게 다가설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는 우리의 고전이 작금의 현실 속에서 여타의 다른 학문적 가치만큼이나 역량 있는가 하는 원론적인 문제이기도 하나 본 감상문을 적으면서 내가 강하게 느낀 것은 문학이 갖는 가치의 영구성이다.
<삼국유사>의 문학사적 가치 중에서 향가 14수의 기록을 가치있게 평가한다. 향가는 신라시대의 애창되었던 우리 문학양식의 하나이지만 지금은 그 장르가 소멸되고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교육과정 속에서나 접하는 사라진 장르에 대한 학습은 비단 시험을 치르고 이후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고 잊어도 되는 그러한 속성의 것은 결코 아니다. 사람에게 지각되고 인식된 모든 것은 그 사람 두뇌에 영구히 남아 암암리에 영향을 주고 가치관을 형성하고 행동양식에 작용한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연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속에는 수로부인을 향한 소를 몰던 한 노인의 감정이 담겨있고 망자에 대한 서글픔 속에서 우리는 '제망매가'를 지을 때의 월명사의 그 감정을 느낀다. 사람의 감정은 사람으로 하여금 문학을 형성하게 하고 문학은 전 시대에 걸쳐 감동을 주는 가치적 도구이다. 우리 문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고전이 고전으로서 인식되게 하는 그러한 매개자로의 책임을 느끼며 감상을 마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4.06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