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GSM)의 기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Ⅰ. 연구의 목적
Ⅱ.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제 2장 GSM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Ⅰ. GSM의 개념 정의
Ⅱ. GSM의 특징
Ⅲ. GSM의 역사

제 3장 GSM의 구조와 특성
Ⅰ. GSM의 구조
Ⅱ. GSM과 타방식과의 비교
Ⅲ. GSM의 망 구조

제 4장 GSM의 구현방법-로밍 서비스
Ⅰ. 로밍 서비스의 개요
Ⅱ. GSM-유럽의 로밍서비스
Ⅲ. 스펙트럼(Spectrum)확산 통신방식


제 5장 GSM의 국제적 동향
Ⅰ. 범유럽의 GSM방식
Ⅱ. 전 세계 셀룰러 및 GSM 가입자 수 및 전망

제 6장 GSM의 기업에서의 활용
Ⅰ. GSM 및 UMTS의 사업추진 계획
Ⅱ. Release 99와 Release 2000의 내용
Ⅲ. 위치확인 서비스
Ⅳ. GSM 규격 승인-주파수 채널 관련 표준화

제 7장 결론

본문내용

/s까지)이다.
DPRS는 스펙트럼 효율이 높은 고속데이터 전송기능을 제공한다: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 자원을 통계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DPRS 아키텍처는 모든 DPRS서비스와 일련의 "서비스 연동 부속품"과 동일한 하나의 중심 "핵(core)"으로 구성된다. 현재 DPRS는 4가지의 프레임릴레이 서비스에 하나의 특성지향 서비스를 제공(예, IEEE 802.3(Ethernet), IEEE 802.5(Token Ring), Internet Protocol(IP) 및 점-대-점 프로토콜 등의 특성지향 서비스로서 V.24(비동기)데이터를 추가)하며 신규 서비스도 쉽게 표준에 추가할 수 있다.
DPRS는 동일한 휴대 부품으로, 동일 시스템에서 복수의 데이터서비스 및 이용자에 따라 다른 가치나 등급(속도, 우선순위)의 서비스에 데이터서비스를 추가하여 음성을 동시에 운용하게 한다. DPRS 운용원칙은 상호운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말기가 준수해야 할 일련의 관리규칙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DPRS는 주로 고정부품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해 왔다; 이는 제조업자마다 다른 휴대부품으로 시스템능률을 해치지 않고 동일한 고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게다가 DPRS는 이동 및 보안 특징 등의 음성서비스(GAP:General Access Profile)용으로 모든 특징의 이식이 가능케 한다. 또한 DECT는 어떠한 추가 개발이 없이도 552kbit/s까지의 속도로 DPRS를 전송하는 IP WAP(Wireless Access Protocol)을 제공한다.
DECT 멀티미디어 접속 프로파일(DMAP:최초의 ASAP 과제)은 주거지/SOHO 응용기술로 개발되어 무선 LAN서비스 및 무선 V.24 서비스를 추가한 GAP으로서 음성서비스에 포함된 것이다. DMAP은 기존 GAP 휴대단말기와 그대로 호환된 채로 PSTN/ISDN을 거쳐 시내 데이터 상호연결 및 인터넷접속을 위해 염가의 국내장비로 만들 수 있다. 시작품 및 사전(事前) 표준판은 이미 시장에 나와 있다.
준비중인 ASAPs는 MRAP(Multimedia in Radio in the local loop(RLL) Access Profile)이 포함되는데 이는 RLL 응용을 위한 DPRS를 기반으로 능률적으로 인터넷접속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RAP(Radio in the local loop Access Profile)표준의 인터넷 annex로 간주할 수 있는 것이다.
DPRS 신판은 벌써 준비중이며 2000년 6월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주요 목표는 새로운 DECT 고수준변조옵션을 통합함으로서 DPRS의 최고운용속도가 2Mbit/s로 증대될 것이다. 추가 상호연동 annex가 USB(Universal Serial Bus) 및 플레임릴레이 Q 922 등으로 지원하는 응용기술 범위의 확장을 위해 추가될 것이다.
제 7장 결론
정보화사회의 진전에 따라 사회와 개인을 연결하는 매체로서 새로운 전파이용시스템의 도입이 요망되고, 특히 전파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무선통신 분야로는 우주영역의 활용을 지향한 우주통신, 장거리통신, 이동통신, 방송 등이 있다. 또, 사회생활 분야에서는 고도의 서비스를 충족시킬 만한 전파이용시스템으로는 고주파 이용설비, 의료설비 등의 산업, 과학 및 의료용 시스템과 고기능 이동통신 시스템, 광역 자동탐색 정보시스템, 가정내 통신제어 시스템, 자동차 전파응용 시스템 등이 있다.
과학기술의 고도화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과 우주의 역사ㆍ구조 등을 알아내기 위한 전파 관측장비 및 소위 별들의 전쟁에 이르기까지 전파의 이용은 확산되고 있으며, 실제 전파의 이용이 없이는 우주개발이 불가능하다. 이동통신의 중요성은 정보화사회에서도 증대될 것이며, 양적인 확대와 질적인 향상에 대한 욕구가 높아질 것이다. 이동통신은 전파의 이용없이는 불가능함으로 이에 대한 전파의 확보 및 이용기술의 개발 등에 중점을 두고 수요증대가 예상되는 서비스로서는 차량전화, 휴대용 전화, 항공기 전화, 열차전화, 선박전화, 코드없는 전화, 무선호출, 어업무선 및 각종 업무용 무선통신 등으로 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라 그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SM의 기술적 특성 중 TDMA관련 기본이론과 채널 사용법,망구조,스펙트럼 확산 방식.그리고 로밍 서비스에 대해서 주로 알아보았다. 특히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GSM에 이용되는 칩이나 단말기 공급업체가 발달하여 외국으로의 수출증대로 외화획득의 좋은 표본이 되고 있다. 앞으로 GSM기술발달로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단행본
한국통신학회(공) 전파연구소, IMT-2000 기술기준 및 시험방법 연구, 전파연구소, 2000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개인휴대통신의 보호기술에 대한 국제동향 분석 : 최종보고서,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1996
2. 논문
강윤구, 이동통신 서비스의 실태와 발전방향 : FPLMTS서비스의발전방안/ 성균관대 행정대학원, 1997
강석희, GSM 단말기의 위상 에러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 산업대학원, 1999
김경렬, IMT-2000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SIB 설계 및 구현 한남대 대학원, 1999
김보기, IMT-2000망의 무선자원과 이동성 관리를 위한 관리서비스 및 관리 기능 정의 인천대 대학원, 1999
박기환, 이동통신의 CDMA와 GSM음성신호 품질 및 비트 변조속도의 실증분석, 국민대 정보과학대학원, 1996
손영란, 이종 이동통신망에서 GSM으로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모듈의 설계, 서울대 대학원, 1997
이주호, GSM 및 IMT2000(WCDMA)이중 대역 응용을 위한 집적형 Si RF Mixer의 설계 및 구현, 한국과학기술원, 2000
이창수, 한국의 이동통신정책에 관한 연구 경남대 행정대학원, 1994
조성근, GSM 단말기의 TX 파워 조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 2000
최영문, GSM 900단말기용 저전압 저잡음 증폭기 구현에관한 연구 인하대 대학원, 1998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4.04.0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