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활력증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의 활력증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생아의 활력증후
ⅰ호흡
ⅱ맥박
ⅲ체온
ⅳ혈압

2.신생아의 활력증후
◎ 수유의 자세 - ⅰ 요람에 누인 자세
ⅱ 풋볼 자세
ⅲ 팔을 교차해서 안는 자세
ⅳ 누운 자세

◎ 젖을 아기에게 꼭 맞게 물리는 방법
ⅰ 자세
ⅱ 젖을 아기에게 갖다대는 요령
ⅲ 꼭 맞게 물리는 요령
◎ 모유수유시의 적절한 자세와 나쁜 자세
◎ 수유시의 주의사항

3. 선천성 대사장애
ⅰ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 증상
치료
ⅱ 페닐케톤뇨증 - 증상
진단
치료
ⅲ 갈락토즈혈증 - 원인
임상증상
진단
치료
ⅳ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 원인
증상
치료
ⅴ호모시스틴뇨증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ⅵ 단풍당뇨증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4. 인공수유의 단점
*EMB?
*M.E?

본문내용

다.(특정 아미노산의 혈중 증가율은 질환의 심각성이나 단백질 섭취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너무 일찍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위음성을, 반대로 정상 신생아에서 출생 직후 TSH surge가 있으므로 48 시간 이전에 채취한 검체에서는 갑상선 저하증에 대한 위양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입원 기간이 연장되는 미숙아 등에서는 생후 7일 정도에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 좋으며, 입원일이 14일을 초과하는 경우는 퇴원 시, 1개월 이상일 경우는 1개월 째 재검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검체 채취 요령
다음은 신생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 방법으로, 신생아 발뒤꿈치의 모세
혈관에서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요령이다.
1. 장갑을 착용한다.
2. 발에 혈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환아의 다리를 심장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3. 발뒤꿈치를 따뜻하게 한다.(3 분 정도 따뜻한 물수건으로 뒤꿈치를 감싸므로 써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4.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동안 filter paper에 그려진 원을 손으로 절대로 만져서는 안 된다. 또한 filter paper가 물이나 알코올, 방부제, 로션, 파우더 등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채혈 부위를 70% isopropanol로 닦는다. 남아있는 알코올을 마른 dry sterile gauze로 닦아낸 후 마르도록 기다린다.
6. 채혈은 아래 그림에 회색으로 표시한 부위에서 실시한다.
7. 신생아의 발뒤꿈치 바닥에 소독한 일회용 lancet(2.4 mm point 이하)을 이용하여 재빨리 깨끗한 puncture를 한다.
8. 소독된 gauze pad로 처음 나온 혈액 한 방울을 닦아낸 후 커다란 방울이 되도록 한다.
9. Filter paper를 커다란 혈액 방울에 대어서 충분한 양의 혈액이 한번에 filter paper에 그려진 원을 채워 흡수되도록 한다. Paper를 채혈부위에 대고 눌러서는 안 되며, 채혈부위를 쥐어짜서도 안 된다. 혈액을 filter paper의 한쪽 면에만 묻히도록 한다. 계속해서 나오는 혈액 방울을 동일한 원 안에 다시 묻혀서는 안되며, 혈류가 감소하여 원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았으면 새로운 원에 채혈을 다시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filter paper에 있는 네 개의 원을 완전히 채우도록 한다. Capillary tubes를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10. 채혈 후 발을 몸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피가 멈출 때까지 채혈 부위를 소독한 거즈나 솜으로 꼭 눌러준다.
선별 검사 방법의 종류
* Guthrie법
그 동안 가장 널리 쓰였던 방법이다. 특정 대사물에 대한 대사장애를 가진 미생물 균주를 이용하여 검체 내 특정 대사산물이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함으로 선별검사를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장 먼저 개발되어 가격이 저렴하고, 방법이 단순한 장점이 있으나, 모든 과정이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검체 수의 증가에 따라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기록에 의한 오차가 항상 문제로 발생되며, 검사 수행 시간이 오래 걸리며 균주의 성장 상태에 따른 결과판독의 주의를 해야 하는 등 단점이 있다.
*Microplate법
이 방법을 쓸 경우 환자 검체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고, Guthrie법보다 상대적으로 자동화를 이룰 수 있으며, 환자 검체의 분석결과를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이 점차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microplate 분석장비는 대개의 검사실에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측정하면 어렵지 않게 신생아 선별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종목에 따라 항체 등이 필요하고, 킷트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게 되므로 검사 수행비용이 다른 방법에 비해 비싼 점이다.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이 방법은 microplate법보다는 검체 처리 능력은 떨어지나, 일단 수행이 되면 검체당 검사비용이 저렴하고, 여러 검사를 하나의 검사 방법을 통하여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검체 조작 및 운송시 주의점
1. 채혈지를 적어도 4시간 이상 실온에서 건조시키며, 수평상태에서 건조시킨다.
2. 검체가 채취된 채혈지를 열이나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시켜서는 안 되며, 건조시 채혈지의 표면 에 다른 물질이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채혈지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는 봉투 속에 넣지 않도록 한다.
4. 환자 정보가 완전히, 빠짐없이 기재되었는지 확인하여 한다.(17-OHP의 경우 반드시 출생시 체중을 기입한다.)
5. 검체가 완전히 마른 후 모아놓거나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한 채취 후 24시간 안에 검사실에 보낸다
◎ 현재 과거 검사 결과상 발병이 가장 많았던 페닐케톤뇨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하여 무료로 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3. 인공수유의 단점
- 엄마 젖은 각종면역체와 여러 가지 영양분이 골고루 들어있는 살아있는 아기음식이나 인공분유는 엄마 젖과 똑같은 성분으로 만들려고 해도 똑같아질 수가 없으며 모유보다 소화흡수율이 떨어진다.
- 인공수유를 하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 모유슈유를 하면 자연피임이되나 인공 수유시에는 출산직후부터 피임을 하여야한다.
- 모유는 아기가 먹고싶을 때마다 젖을 물리면 되지만 인공수유는 젖병을 씻어야하고 물을 끓여야하고 적정하게 분유를 타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동시에 젖병, 분유, 물을 들고 다녀야하는 불편감이 있다.
- 모유수유는 산욕기대사를 도와 산후회복이 빠르나 인공수유는 산후회복이 늦다..
- 모유 수유시 보다 밀착된 접촉을 할 수 없다.
- 영아가 자는 동안 우유를 흡인 할 수 있다.
- 중이염이 올 수 있다. 영아를 반듯이 눕히고 먹이게 되면, 인두에 차있던 우유가 세균번식에 적합한 배지가 될 수 있다. 이때 이관으로 세균이 들어오게 되면 중이염이 일어나게 된다.
- 입안에 계속해서 우유가 고이게 되어 결국 이가 날 무렵에는 젖병충치(bottle caries)가 올 수 있다.
◎ EBM
Expressed Breast Milk : 짜낸 모유
◎ ME
Mistaken entry : 잘못된 기입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4.0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0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