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요의 가격탄력성 정의
2.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사이의 관계
3.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 탄력성
4. 가격탄력성, 총지출 및 가격소비곡선
◇ 수요의 가격탄력성(e)
그림 A . 수요는 단위 탄력적이다.
그림 B. 수요는 비 탄력적이다.
그림 C. 수요는 탄력적이다.
5.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
6. 수요의 가격탄력성 공식
7.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8. 수요의 가격탄력성 예
2.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사이의 관계
3.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 탄력성
4. 가격탄력성, 총지출 및 가격소비곡선
◇ 수요의 가격탄력성(e)
그림 A . 수요는 단위 탄력적이다.
그림 B. 수요는 비 탄력적이다.
그림 C. 수요는 탄력적이다.
5. 수요의 가격탄력성 크기
6. 수요의 가격탄력성 공식
7.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8. 수요의 가격탄력성 예
본문내용
므로.. dP/dQ = -4Q^(-2) = -4/Q 가 되는 것이죠..그래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dQ/dP는 dP/dQ 를 역으로 놓은 - (Q /4)이 되는 것이고요..
: ++ 그리고 굳이 dQ/dP를 Q 에 대한 함수로 바꿔서.. Q = 4/(P-8) 에서 풀겠다면..쪼금 복잡하지만.. 공식이 있습니다..^^
: 두 함수 f(x), g(x)의 몫 Z = f(x)/g(x)를 x로 미분한 값은..
(dZ/dx) = {[df(x)/dx]g(x) - f(x)[dg(x)/dx]} / [g(x)] 입니다...
(아..복잡하다..-.-;;)
위 문제에서 주어진 수요함수 Q = 4/(P-8)을 위의 미분 공식에 대응시켜 보면..
Z = Q, f(x) = 4, g(x) = P - 8 이라고 할 수 있고..df(x)/dx = 0, dg(x)/dx = 1 이므로.
(dQ/dP) = [0*(P-8) -(4*1)] / (P - 8) = -4/(P - 8) 이 됩니다...
이것을 탄력도 공식에 대입해서 풀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즉 P = 10 이니까..이것을 대입하면 (dQ/dP) = -4/2 = -1 이 되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7.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첫째, 어떤 상품에 대체재가 많으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고, 대체재가 적으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다.
둘째, 어떤 상품의 보급상태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다르다.
ex) 냉장고의 가격이 인하하더라도 그 수요량은 대폭적으로 늘어나지 않지만, 신형컴퓨터나 고화질 텔레비전의 가격이 인하하면 그 수요량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셋째, 가계소득에서 상품의 구입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ex) 주택자동차컬러TV 등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반면에 휴지연필잉크 등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매우 작다.
넷째, 생활필수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고, 상대적으로 사치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다섯째, 어떤 상품의 용도가 다양하면 할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매우 탄력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대부분의 상품들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가 탄력성이 커진다. 이는 가격의 변화에 대하여 소비자들도 대비책을 강구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길어지면 대체재가 등장될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8. 수요의 가격탄력성 예
: 가격을 올려야 매출액이 증가할지 인하해야 증가할지 알수있게 해줍니다.
예를들어서 지금 제가 과자를 파는데 한봉에 백원일때 백개가 팔렸다고 칩시다.
이때의 매출액은 만원이겠죠.
: 만약 제가 과자값을 200원으로 올렸따...그랬을때 과연 수요가 얼마나 줄어들것인가가
바로 수요의 가격탄력성개념입니다.
만약 200원으로 가격이올랐는데 수요가 1개밖에 안줄어서99개가 됐다..(가격탄력성이낮은경우)
이경우 가격인상결과 매출액이 만원에서 만구천팔백원으로 늘겠지요.
근데 200원으로 가격인상시 수요가 99개나 줄어서 1개밖에 못팔았다(가격탄력성이 높은 경우) 이경우 매출액이 만원에서 이백원으로 줄겠죠.
: ++ 그리고 굳이 dQ/dP를 Q 에 대한 함수로 바꿔서.. Q = 4/(P-8) 에서 풀겠다면..쪼금 복잡하지만.. 공식이 있습니다..^^
: 두 함수 f(x), g(x)의 몫 Z = f(x)/g(x)를 x로 미분한 값은..
(dZ/dx) = {[df(x)/dx]g(x) - f(x)[dg(x)/dx]} / [g(x)] 입니다...
(아..복잡하다..-.-;;)
위 문제에서 주어진 수요함수 Q = 4/(P-8)을 위의 미분 공식에 대응시켜 보면..
Z = Q, f(x) = 4, g(x) = P - 8 이라고 할 수 있고..df(x)/dx = 0, dg(x)/dx = 1 이므로.
(dQ/dP) = [0*(P-8) -(4*1)] / (P - 8) = -4/(P - 8) 이 됩니다...
이것을 탄력도 공식에 대입해서 풀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즉 P = 10 이니까..이것을 대입하면 (dQ/dP) = -4/2 = -1 이 되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7.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들
첫째, 어떤 상품에 대체재가 많으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고, 대체재가 적으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다.
둘째, 어떤 상품의 보급상태가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다르다.
ex) 냉장고의 가격이 인하하더라도 그 수요량은 대폭적으로 늘어나지 않지만, 신형컴퓨터나 고화질 텔레비전의 가격이 인하하면 그 수요량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셋째, 가계소득에서 상품의 구입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ex) 주택자동차컬러TV 등은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큰 반면에 휴지연필잉크 등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매우 작다.
넷째, 생활필수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작고, 상대적으로 사치품에 대한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크다.
다섯째, 어떤 상품의 용도가 다양하면 할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매우 탄력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대부분의 상품들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요가 탄력성이 커진다. 이는 가격의 변화에 대하여 소비자들도 대비책을 강구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길어지면 대체재가 등장될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8. 수요의 가격탄력성 예
: 가격을 올려야 매출액이 증가할지 인하해야 증가할지 알수있게 해줍니다.
예를들어서 지금 제가 과자를 파는데 한봉에 백원일때 백개가 팔렸다고 칩시다.
이때의 매출액은 만원이겠죠.
: 만약 제가 과자값을 200원으로 올렸따...그랬을때 과연 수요가 얼마나 줄어들것인가가
바로 수요의 가격탄력성개념입니다.
만약 200원으로 가격이올랐는데 수요가 1개밖에 안줄어서99개가 됐다..(가격탄력성이낮은경우)
이경우 가격인상결과 매출액이 만원에서 만구천팔백원으로 늘겠지요.
근데 200원으로 가격인상시 수요가 99개나 줄어서 1개밖에 못팔았다(가격탄력성이 높은 경우) 이경우 매출액이 만원에서 이백원으로 줄겠죠.
추천자료
물가억제를 위한 총수요조절정책
물가억제를 위한 총수요관리정책
한계대우의 법칙과 굴절수요곡선
양키농기구 수요예측 사례발표자료(A+레포트)
쇠고기의 수요함수 측
총공급과 총수요 그리고 일반균형
제품의 수요특성에 따른 공급체인 유형 구축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해 설명하시오
에너지 수요관리와 절약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
엔트리 수요층을 위한 중소형자동차 프로모션
경제학의 공급과 수요
[유가환율과 관광수요]유가 변화와 변화 요인,환율 변화와 변화 요인,관광객 입출국 변화 추...
중국 성장방향- 수요와 생산,부자중국 가난한중국인,중국경제 중국시장,중국의 3대 개혁,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