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2.EXPERIMENTAL
3.RESULTS & DISCUSSION
3-1. Raw data
3-2. 결과 처리
3-3. Discussion
4.REFERENCES
2.EXPERIMENTAL
3.RESULTS & DISCUSSION
3-1. Raw data
3-2. 결과 처리
3-3. Discussion
4.REFERENCES
본문내용
over { Nicotine`dipicrate`Mw }
= 0.0105 *
{ 162 } over { 620 }
= 0.0027 g
= 2.7 mg
3-3. Discussion
- 이번 실험을 하면서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담배 안의 성분 중 하나인 니코틴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담배의 유해성에 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니코틴이 맹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어느 정도 양이 들어있는지 직 접 눈으로는 본 적이 없었다. 니코틴은 니코틴만으로는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없지만 Picric acid와 결합하여 노란색 침전물이 형성되면서 쉽게 니코틴의 양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사용한 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에는 훨씬 못 미치는 수득율을 얻었는데 그 오차의 원인은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첫째로 처음 담배 잎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오차 가 발생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저울을 이용해서 정확히 측정했다고는 하지만 측정된 담배잎 을 옮기는 과정에서 소실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둘째, Buchner 깔때기를 이용해 서 담배 잎과 섞인 염기 용액을 얻어야 했지만 우리는 손을 사용해서 염기용액을 수득했으 므로 정확한 양이 나왔을리 만무하다. 미처 다 얻지 못한 염기 용액 안에도 니코틴 성분이 녹아 있을 것이라 사려되기 때문이다. 셋째, 분액 깔때기를 사용하여 ether용액을 얻을 때 순수한 ether용액이 아니라 우리가 주의해서 얻었다하지만 계속 되서 emulsion이 생겼기 때 문에 순수한 ether를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정확한 담배 안의 함유된 니코틴의 양을 얻을 수 없었다. 실험을 할 때 열심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수득률을 얻지 못해서 아쉬웠다.
4. References
1) Daum 사전 백과사전
2)http://search.daum.net/cgi-bin/nsp/search.cgi?to=&w=tot&q=%B4%CF%C4%DA%C6%BE
Abstract
공업화학실험1의 첫 번째 실험은 담배로부터의 니코틴 추출이라는 제목을 가진 실험이었다. 실제 사람들이 많이 피는 담배 속에 들어있는 독극물인 니코틴의 함유량을 알아봄으로써 인체에 미칠 영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이론 수업을 할 때 설명을 들은 대로 역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손이 많이 가는 실험임을 쉽게 느낄 수 있었다. 니코틴 추출을 위해서 분쇄된 cigar 담배에 NaOH 수용액을 비커에 넣고 저어준 다음 깔때기에 거름종이를 깔고 여과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여과시킨 용액을 50ml의 에테르로 추출하여 여기에 picric acid로 포화된 메탄올10㎖를 가하면 노란색의 nicotine dipicrate가 침전된다. 여과지로 감압여과 시키고 고체생성물을 공기건조 하여 무게를 재어 니코틴의 함량을 구하였다. 실험을 하면서 우리는 끓는 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고 반응이 빨리 일어나는 ether를 사용하였는데 분압깔때기를 이용할 때 압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자주 cock를 열어주어야 했다. 또 ether층을 분리할 때 emulsion이 함께 딸려나와서 실험의 정확한 결과 값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층이 분리되어있다고 하지만 emulsion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많이 생기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분리를 해도 분리해 놓은 ether층에서 emulsion이 생기곤 하였다.
우리는 담배 갑 표면에 표기된 니코틴의 함량보다 적은 양의 니코틴을 추출하였는데 담배 잎의 무게를 측정할 때 이동하면서 소실된 잎의 미소한 무게와 ether층을 분리할 때 emulsion이 적은 양이지만 섞인 것이 원인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
TABLE OF CONTENTS --------------------------------Ⅱ
1.INTRODUCTION ················ 1
2.EXPERIMENTAL ················ 5
3.RESULTS & DISCUSSION ······ 6
3-1. Raw data ···························· 6
3-2. 결과 처리 · ··························· 6
3-3. Discussion ···························· 6
4.REFERENCES ················ 17
= 0.0105 *
{ 162 } over { 620 }
= 0.0027 g
= 2.7 mg
3-3. Discussion
- 이번 실험을 하면서 담배의 유해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담배 안의 성분 중 하나인 니코틴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담배의 유해성에 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니코틴이 맹독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어느 정도 양이 들어있는지 직 접 눈으로는 본 적이 없었다. 니코틴은 니코틴만으로는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없지만 Picric acid와 결합하여 노란색 침전물이 형성되면서 쉽게 니코틴의 양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사용한 담배의 니코틴 함유량에는 훨씬 못 미치는 수득율을 얻었는데 그 오차의 원인은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첫째로 처음 담배 잎의 무게를 측정하는데 오차 가 발생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저울을 이용해서 정확히 측정했다고는 하지만 측정된 담배잎 을 옮기는 과정에서 소실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둘째, Buchner 깔때기를 이용해 서 담배 잎과 섞인 염기 용액을 얻어야 했지만 우리는 손을 사용해서 염기용액을 수득했으 므로 정확한 양이 나왔을리 만무하다. 미처 다 얻지 못한 염기 용액 안에도 니코틴 성분이 녹아 있을 것이라 사려되기 때문이다. 셋째, 분액 깔때기를 사용하여 ether용액을 얻을 때 순수한 ether용액이 아니라 우리가 주의해서 얻었다하지만 계속 되서 emulsion이 생겼기 때 문에 순수한 ether를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정확한 담배 안의 함유된 니코틴의 양을 얻을 수 없었다. 실험을 할 때 열심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수득률을 얻지 못해서 아쉬웠다.
4. References
1) Daum 사전 백과사전
2)http://search.daum.net/cgi-bin/nsp/search.cgi?to=&w=tot&q=%B4%CF%C4%DA%C6%BE
Abstract
공업화학실험1의 첫 번째 실험은 담배로부터의 니코틴 추출이라는 제목을 가진 실험이었다. 실제 사람들이 많이 피는 담배 속에 들어있는 독극물인 니코틴의 함유량을 알아봄으로써 인체에 미칠 영향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이론 수업을 할 때 설명을 들은 대로 역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손이 많이 가는 실험임을 쉽게 느낄 수 있었다. 니코틴 추출을 위해서 분쇄된 cigar 담배에 NaOH 수용액을 비커에 넣고 저어준 다음 깔때기에 거름종이를 깔고 여과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여과시킨 용액을 50ml의 에테르로 추출하여 여기에 picric acid로 포화된 메탄올10㎖를 가하면 노란색의 nicotine dipicrate가 침전된다. 여과지로 감압여과 시키고 고체생성물을 공기건조 하여 무게를 재어 니코틴의 함량을 구하였다. 실험을 하면서 우리는 끓는 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고 반응이 빨리 일어나는 ether를 사용하였는데 분압깔때기를 이용할 때 압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자주 cock를 열어주어야 했다. 또 ether층을 분리할 때 emulsion이 함께 딸려나와서 실험의 정확한 결과 값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층이 분리되어있다고 하지만 emulsion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많이 생기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분리를 해도 분리해 놓은 ether층에서 emulsion이 생기곤 하였다.
우리는 담배 갑 표면에 표기된 니코틴의 함량보다 적은 양의 니코틴을 추출하였는데 담배 잎의 무게를 측정할 때 이동하면서 소실된 잎의 미소한 무게와 ether층을 분리할 때 emulsion이 적은 양이지만 섞인 것이 원인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
TABLE OF CONTENTS --------------------------------Ⅱ
1.INTRODUCTION ················ 1
2.EXPERIMENTAL ················ 5
3.RESULTS & DISCUSSION ······ 6
3-1. Raw data ···························· 6
3-2. 결과 처리 · ··························· 6
3-3. Discussion ···························· 6
4.REFERENCES ················ 17
추천자료
금연에 이르는 길(금연)
여성흡연문제
흡연과 인체 생리
흡연과 금연에 관한 보고서
흡연과 금연
금연 교육
여성흡연의 폐해
흡연과 금연(흡연의 피해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흡연통계 등 사진과 자료설명)
[금연][금연의 약물치료][금연의 방법][금연의 효과][금연정책][금연의 전략]금연의 요인, 금...
[청소년흡연][연계교육][광고][청소년흡연의 근절방안]청소년흡연의 현황, 청소년흡연의 동기...
[금연][금연 장점][금연 보조제][금연과 체중][금연과 식품][금연 방법][금연 전략][금연 정...
[흡연][흡연으로 인한 피해][흡연 관련 시사점]흡연의 요인, 흡연의 습관, 흡연의 실태, 흡연...
흡연이 구강에 미친는 영향 PPT
현대사회의 흡연문화에 대해 정리하고 개선방향을 논하시오 [흡연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