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따돌림과 왕따에 관한 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 따돌림과 왕따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집단 따돌림과 ‘왕따’

2. 왕따의 피해자와 가해자

3. 왕따의 원인

4. 소외 결과 생기는 특징

5. 해결방안

6. 이지메

7. 이지메와 왕따의 차이점

본문내용

는 점에서 근본원인에의 차이가 있다. "이지메가 전혀 없는 집단은 일본에 거의 없다. 이지메가 없이는 집단이 성립되지 못하는 것이 일본사회이다" - 모기 유따까. 1996
둘째, 집단따돌림의 대상측면에서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일본 집단따돌림의 대상은 집단에서 두드러지는 인물이다. 예를 들면 외국인이라든가 어떤 면에서건 집단에서 튀는 인물은 어김없이 따돌림의 대상이 되고 만다. 그러나 앞에서도 밝힌바와 같이 한국의 왕따는 설문조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이유가 있다고 여겨지는 인물이다. 예를 들자면 고자질을 잘 한다거나 잘난 척 하는 아이, 또는 이유 없이 거짓말하는 아이 등이 왕따의 대상이 된다. 요즘은 일본에서처럼 신체적으로 허약한 아이나 장애가 있는 아이가 되어서 문제가 되곤 한다.
셋째, 따돌림의 방법이다. 요즘 수법이 점점 악랄해져 문제시 되고 있지만 아직은 한국의 왕따는 일본의 이지메처럼 악랄한 방법으로 따돌림 당하지는 않는다.
넷째, 따돌림의 유형이다. 일본 이지메의 경우 반 전체가 따돌림을 행하지만 한국의 왕따는 적어도 한 반에 친구 한명은 가지고 있다. 집단주의에 근거해서 발생한 일본의 이지메와 개인주의화에 따라 발생한 한국의 왕따의 분명한 차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
1. 권건일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문사, 2003.
2. 김신일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
3. 송준수 외 지음,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98.
4. 최충옥 외, 교육사회학의 이해, 양서원, 2003.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4.1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