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에 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혈압의 정의

Ⅱ. 혈압의 생리
-혈압의 유지를 위한 다섯가지 요인

Ⅲ. 혈압의 정상 범위

Ⅳ. 혈압에 미치는 요인

Ⅴ. 혈압 관련 질병
1. 고혈압
2. 저혈압

Ⅵ. 혈압 측정
1. 부위
2. 기구
3. 방법
4. 주의사항

Ⅶ. 간호과정
1. 사정
2. 진단
3. 계획
4. 수행
5. 평가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줄인다. 앙아위는 심장 위치와 같게 놓여지나 앉거나 선자세의 경우 팔을 흉골에서 네 번째 늑골간에 수평되게 놓는다. 혈압을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요인들은 불안, 공포, 정서상태, 식사, 담배, 방광 팽만, 신체활동, 환경온도의 심한 변화, 통증 등이다. 혈압은 이러한 요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30분 정도 경과된 후에 측정하는 것이 좋다.
(2)슬와동맥 혈압측정
대상자의 상완동맥을 사용할 수 없을 때, 간호사는 다리의 슬와동맥(popliteal artery)을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부위에서는 수축기압이 상완동맥 보다 10~40mmHg 정도가 높게 측정된다. 또 이 부위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에는 적절한 크기의 커프를 사용해야 한다. 대상자는 엎드리는 자세를 취하거나, 똑바로 눕는 경우는 무릎을 약간 구부려야 한다. 측정 기술은 팔에서 혈압을 측정할 때와 같다.
5) 혈압측정시 다른 방법들
(1) 촉진법(Paplation method)
촉진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때로는 감각 측정법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단지 혈압계만을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커프는 맥박촉진이 소실된 지점에서부터 30mmHg 이상 높게 공기를 주입시킨다. 커프의 공기를 빼면서 간호사는 맥박이 다시 촉진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 방법에서는 일단 동맥이 압박부위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 뒤에는 계속해서 맥박이 촉진되기 대문에 이완기압을 측정할 수가 없다. 가정간호 대상자 중에는 이 방법으로 자신의 혈압을 측정하는 대상자가 있기도 하다. 이 방법으로 측정한 혈압은 청진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혈압과 매우 비슷하다.
(2) 도플러 초음파의 사용
혈압은 초음파나 소리를 증폭시키는 도플러를 사용하여서도 측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소리가 불확실하거나, 일반 청진기로는 들을 수 없을 경우 특히 유용하다. 대개 수축기압만 측정된다. 도플러를 사용할 때 간호사는 탐침에다 먼저 윤활제를 바르고 맥박위에 탐침을 댄 뒤에 혈압을 측정한다.
(3) 전자식 간접 혈압측정
전자식 간접 혈압측정은 동맥벽내의 떨림을 감지하여 혈압을 측정한 뒤, 이것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기구는 스스로 혈압을 측정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기구다. 또한 이 기구는 코로트코프 음을 들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청각 장애자에게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청진기가 필요없다. 그러나 이 기구는 매우 예민한 기구이므로 대상자의 정상 패턴과 아주 다르게 나오면 다시 재조정해야 한다. 가정에서 이 기구를 사용하는 대상자는 건강한 사람이 정기적으로 이 기구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함으로써 이 기구를 평가해 보아야 한다.
(4) 직접 혈압측정 방법
앞에서 언급한 혈압측정 방법들은 간접측정 방법들이다. 직접측정 방법은 주요한 동맥에 혈압 감각도관을 넣어 측정할 수 있으며 이 도관이 전자장치에 연결되어 측정치를 보여둔다. 이 방법은 대부분 위기의 대상자에게 적용되며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오류
원인
오류
원인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청력의 결함
·시끄러운 환경
·눈금을 내려다 봄
·너무 넓은 커프 사용
·청진기의 귀꽂이를 잘못 꽂음
·혈압계의 관이 새거나 비틀어 짐
·밸브를 너무 빨리 풀음
·잘못된 부위에 청진기를 댐
·맥박이 소실된 곳에서부터 20~30mmHg이상 커프에 공기 를 주입하지 못했을 경우
·팔을 심장 위치보다 높게 놓을 때
실제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0이 표시되지 않은 혈압계 사 용
·운동 직후에 혈압측정
·눈금을 올려다 봄
·너무 좁은 커프 사용
·커프를 너무 느슨하게 맬 때
·밸브를 너무 느리게 풀음
·혈압을 재는 동안 다시 공기를 주입
<혈압사정시의 오류와 그 원인>
2. 진단
1) 활동의 지속성 장애
2) 조직관류 변화
3) 가스교환 손상
4) 비효율적인 기도 청결
5) 비효율적인 호흡 형태
3. 계획
1) 기대되는 결과
·혈압이 대상자의 정상 범위 내에 잇다. ( 심맥관 상태가 안정되었다.)
2) 혈압측정 30분전에 운동과 흡연은 피하도록 한다. ( 흡연과 운동은 혈압을 상승시킨다.)
3) 따뜻하고 조용하며 이완된 상태에서 앉거나 누운 상태로 잰다. ( 측정하는 동안 편하게 하며,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혈압에 영향이 온다.)
4) 측정 전 적어도 5분은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측정시 말을 하지 않도록 한다. ( 불안을 감소시키며, 측정시 말을 하면 10~40%까지 올라갈 수 있다.)
5) 목적
·혈압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함이다.
·대상자의 상태변화 및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다.
·다양한 치료와 질병상태에 대한 혈압역학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4. 수행
1)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한다. ( 설명은 대상자에게 협조를 구할 수도 있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2) 물품을 준비한다. ( 일을 조직적으로 하게 한다.)
3) 만약 필요하다면 청진기를 귀꽂이와 판막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닦는다.
( 청진기를 알코올 솜으로 닦는 것은 세균전파를 감소시킨다.)
4) 손을 씻는다.( 손씻기는 세균전파를 막는다)
5) 상박혈압 혹은 대퇴 혈압을 측정한다.
6) 환의를 정리하고 간호기록지에 측정한 혈압을 기록한다.
7)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5. 평가
1) 정상 범위내 혈압으로 기준을 정한다.
다음 측정시 비교에 쓰인다.
2) 기대치 않는 결과는
혈압이 정상 범위보다 높거나 낮다.
혈압을 잘 들을 수 없고, 측정이 힘들다.
양팔간의 혈압 차이가 10mmHg 이상 차이가 있다.
1∼2분 후에 재측정한다. 측정부위와 방법을 달리하여 재시도한다.
말초혈관 구조에 잠재적인 변화를 나타낸다.
Ⅷ. 참고 문헌
-기본간호학 ,수문사, 2000
-최신기본간호학 ,현문사, 김영자, 2002
-기본간호의 실제, 현문사, 송정애, 2002
-기본간호과학, 은하출판사, 이해주, 2000
-http://www.dongmyung.hs.kr/psh8566/4page.htm
-http://my.dreamwiz.com/luckzone/life14-1.htm
-http://www.medidoctor.net
-http://thewhat.com.ne.kr
-http://mydoctor.snu.ac.kr
-네이버 이미지 검색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4.1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