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 상담/치료 기법
1) 자유연상법
2) 해 석
3) 꿈의 분석
4) 저항의 분석과 해석
5) 전이의 분석과 해석
2. 방어기제
1) 자유연상법
2) 해 석
3) 꿈의 분석
4) 저항의 분석과 해석
5) 전이의 분석과 해석
2. 방어기제
본문내용
주입이 있는데, 남을 보호하고자 하는 가치나 기여를 내면화하거나 남을 치료해 주려는 그런 가치들을 수용하는 것이 그것이다(이 경우 이런 가치들을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님)
(9) 동일시
동일시 또는 동일화는 주로 부모, 형, 윗사람, 주위의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으로 불안을 없애기 위해서 불안의 원인이 되는 그 대상이나 사람과 같이 되려는 것을 말한다.
(10) 보상
보상이란 자신이 인식한 약점을 위장하거나 자신의 한계를 보상하기 위해 어떤 긍정적인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긍정적인 주의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아동들은 최소한 부정적인 관심이라도 끌기 위해 어떤 부정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지적으로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은 과도하게 자신의 신체를 가꾸기도 한다. 이 기제는 직접적이고 적절한 가치를 가지며 사람들로 하여금"내가 열등하다는 것을 보지 말고 나의 과업성취를 통해 나를 보자"는 시도를 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작은 고추가 맵다" 는 속담도 그 좋은 예이다.
(11) 의식화와 과잉행동
때로 사람들은 죄의식을 느낄 때 과잉행동으로 정교하게 의식화한다. 과잉행동은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이나 행동을 부정하려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부당한 것을 정당화시키거나 죄의식을 쫓거나 또는 잘못했다는 느낌을 쫓음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킨다. 가령 늘 거절을 잘 하는 부친이 아이에게 물질적인 선물을 많이 줌으로써 자신의 죄의식을 감해보려고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또한 그는 이런 행위를 통해 그가 자식을 사랑한다는 보호의식을 보여 주려고 할 것이다.
(12)취소
자신의 성적 혹은 공격적인 욕망이나 충동 또는 행동으로 인하여 대상에게 피해를 주었다고 생각하여 무의식적으로 죄책감을 떨쳐버리기 위해서 대상이 입은 피해를원상복구 시키려는 행위를 말한다. 순간적으로 화가 난 엄마가 아이를 때리고는 곧 " 엄마가 잘못했다 아팠지? 미안해....." 하며 쓰다듬어 주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13)상환
무의식의 죄책감을 씻기 위해서 사서 고생을 하는 경우나 잃어버린 대상을 그리워하면서 불행하게 지내는 경우 등이며 그 예로 자신은 가난하고 불행하게 살면서 모든 수입을 자선사업에 바치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이 외에 진치, 대리형성, 상징화, 유리, 지성화, 해리, 저항, 전이, 합축, 투사적 동일시, 증상형성, 꿈의 작업, 이타주의, 유머, 외재화, 신체화, 성화, 행동화, 차단, 왜곡 등이 있다.
(9) 동일시
동일시 또는 동일화는 주로 부모, 형, 윗사람, 주위의 중요한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으로 불안을 없애기 위해서 불안의 원인이 되는 그 대상이나 사람과 같이 되려는 것을 말한다.
(10) 보상
보상이란 자신이 인식한 약점을 위장하거나 자신의 한계를 보상하기 위해 어떤 긍정적인 특성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긍정적인 주의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아동들은 최소한 부정적인 관심이라도 끌기 위해 어떤 부정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 지적으로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은 과도하게 자신의 신체를 가꾸기도 한다. 이 기제는 직접적이고 적절한 가치를 가지며 사람들로 하여금"내가 열등하다는 것을 보지 말고 나의 과업성취를 통해 나를 보자"는 시도를 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작은 고추가 맵다" 는 속담도 그 좋은 예이다.
(11) 의식화와 과잉행동
때로 사람들은 죄의식을 느낄 때 과잉행동으로 정교하게 의식화한다. 과잉행동은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이나 행동을 부정하려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부당한 것을 정당화시키거나 죄의식을 쫓거나 또는 잘못했다는 느낌을 쫓음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킨다. 가령 늘 거절을 잘 하는 부친이 아이에게 물질적인 선물을 많이 줌으로써 자신의 죄의식을 감해보려고 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또한 그는 이런 행위를 통해 그가 자식을 사랑한다는 보호의식을 보여 주려고 할 것이다.
(12)취소
자신의 성적 혹은 공격적인 욕망이나 충동 또는 행동으로 인하여 대상에게 피해를 주었다고 생각하여 무의식적으로 죄책감을 떨쳐버리기 위해서 대상이 입은 피해를원상복구 시키려는 행위를 말한다. 순간적으로 화가 난 엄마가 아이를 때리고는 곧 " 엄마가 잘못했다 아팠지? 미안해....." 하며 쓰다듬어 주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13)상환
무의식의 죄책감을 씻기 위해서 사서 고생을 하는 경우나 잃어버린 대상을 그리워하면서 불행하게 지내는 경우 등이며 그 예로 자신은 가난하고 불행하게 살면서 모든 수입을 자선사업에 바치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이 외에 진치, 대리형성, 상징화, 유리, 지성화, 해리, 저항, 전이, 합축, 투사적 동일시, 증상형성, 꿈의 작업, 이타주의, 유머, 외재화, 신체화, 성화, 행동화, 차단, 왜곡 등이 있다.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적 이론
상담심리학-교류분석
[사회복지]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이론비교 (정신분석,자아심리,분석심리 이론)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으로 본 주변인물 심리분석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이론의 비교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칼융의 분석심리이론의 주요내용과 차이점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으로 본 주변인물 심리분석
정신분석적성격이론(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파워포인트 PPT 프리젠테이션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특징을 설명하고 융의 성...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의 개념과 전반적 ...
2013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C형(프로이트정신분석,융의 분석심리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 E)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
[성격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융의 분석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머레이의 욕구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