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1) 성격구조
(1) 원초아
(2) 자아
(3) 초자아
2) 이론의 비판적 검토
2. 칼융의 분석심리이론
1) 성격구조
(1) 의식
(2) 개인적 무의식
(3) 집단적 무의식
2) 성격구조들의 상호작용
3. 평가
1) 성격구조
(1) 원초아
(2) 자아
(3) 초자아
2) 이론의 비판적 검토
2. 칼융의 분석심리이론
1) 성격구조
(1) 의식
(2) 개인적 무의식
(3) 집단적 무의식
2) 성격구조들의 상호작용
3. 평가
본문내용
사람에게 특정한 양의 정신에너지가 고착되거나 지나치게 투입될 수 있다고 본다. 대상이나 사람의 심리적 중요성이 크면 클수록 그것에 투입되는 정신에너지의 양은 많아진다. 프로이드 이론에서 사용되는 ‘정신’은 성적인 차원에서의 본능적인 에너지를 말하며 이를 리비도라 한다. 이 리비도가 집중적으로 모이는 곳을 성감대라고 하였다. 인간의 성격은 주로 과거의 사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신역동이론은 미시적수준의 사회복지실천에 영향을 주었으며 주요 인물과의 초기관계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이해하는 준거틀을 제시하였다.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개입방법을 제안하기도 했다. 사회복지사가 아닌 정신치료자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강한 비판을 받았다.
반면 융은 무의식의 목적론과 상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융은 리비도를 일반적인 생활에너지에 기반을 두었고 인간의 성격은 과거의 사건들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열망도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인류의 정신문화 발달에 초점을 두었다.
융의 심리학이 실증연구를 기초로 하기보다는 인상적 발견과 역사적 신화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비판과 융이 제시하는 방식이 모호하고 혼돈스럽고 무질서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신비주의와 종교에 관해서 너무나 많은 것을 논했기 때문이다. 서구사회에서 내향성, 현상학, 실존주의, 명상, 영성, 신비주의, 점성학, 의식의 확충, 개성화, 초월성, 통일성, 그리고 자기실현 등의 경향이 고조됨에 따라서 이 혁신운동의 지적, 정신적인 지도자로 인식 되어 갈 것이다.
반면 융은 무의식의 목적론과 상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융은 리비도를 일반적인 생활에너지에 기반을 두었고 인간의 성격은 과거의 사건들뿐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열망도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인류의 정신문화 발달에 초점을 두었다.
융의 심리학이 실증연구를 기초로 하기보다는 인상적 발견과 역사적 신화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비판과 융이 제시하는 방식이 모호하고 혼돈스럽고 무질서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신비주의와 종교에 관해서 너무나 많은 것을 논했기 때문이다. 서구사회에서 내향성, 현상학, 실존주의, 명상, 영성, 신비주의, 점성학, 의식의 확충, 개성화, 초월성, 통일성, 그리고 자기실현 등의 경향이 고조됨에 따라서 이 혁신운동의 지적, 정신적인 지도자로 인식 되어 갈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