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 측정법) 동료 평정법, 지명법, 추인법, 사회적 거리 추정법, 사회도 작성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성 측정법) 동료 평정법, 지명법, 추인법, 사회적 거리 추정법, 사회도 작성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료 평정법

Ⅱ. 지명법

Ⅲ. 추인법

Ⅳ. 사회적 거리 추정법

Ⅴ. 사회도 작성법

본문내용

많은 아이들이 싫어하거나 또는 아무도 싫어도 좋아도 하지 않는 아이는 (고립아)라고 한다. 중심아동은 그 성원의 인기를 한 몸에 모으고 지지를 받고 주위에 영향이 큰 것에 비하여 고립아는 집단에서 냉답한 거부나 명백한 적의, 노골적인 증오가 기다리고 있다.
Moreno 이후 많은 사람들의 연구의 결과에 의해서 사회성 도표에는 다음과 같은 형이 포함되어있다. 첫째, 고립형 -- 이 형은 집단내의 누구에게도 우인으로서 선택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상호선택형 -- 이 형은 서로 좋아하는 우인으로서 소위 단짝이라고 하는 것이다.
셋째, star형 -- 이 형은 집단내에서 인기가 있으며 다수인에게서 호의를 얻은 선택된 사람이다.
넷째, 연쇄형 -- 이 형은 A는 B를, B는 C를, C는 D를 선택하는 형이다.
다섯째, 삼각형 -- 이 형은 막혀진 연쇄관게를 이어주는 것으로서 A는 B를, B는 C를, C는 A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
여기서 교사는 사회도를 바탕으로 해서 활발한 생활지도를 펼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립아 ④를 근접한 집단 ⑤,③과 가까이 지내도록 유도할 수 있고 ①, ②, ⑧와 같은 소집단을 보다 큰 일 반집단과 조화롭고 유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주선할 수도 있다. 또한 다시 한 번 사회성 측정법을 실시하여 다시금 사회도를 작성하면 이러한 생활지도에 의해 나타난 사회화의 효과를 측정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 때 교사는 집단내의 개인관계는 어릴수록 변하기 쉬우며 나이가 들수록 선택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어야만 한다.
여기서 교사는 사회도를 바탕으로 해서 활발한 생활지도를 펼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립아 ④룰 근접한 집단 ⑤, ③과 가까이 지내도록 할 수 있고, ①, ②, ⑧와 같은 소집단을 보다 큰 일반집단과 조화롭고 유기적인 관게를 갖도록 주선할 수 있다. 또한 다시 한 번 사회성 측정법을 실시하여 다시금 사회도를 작성하면 이러한 생활지도에 의해 나타난 사회화의 효과를 측정할 수도있는 것이다.
이때 교사는 집단 내의 개인관계는 어릴수록 변화기 쉬우며, 나이가 들수록 선택이 안정되고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만 한다.
참고문헌 ------------------------------------------------------
1. 최순영 지음, 인간의 사회 성격 심리 발달, 학지사, 2003.
2. 김명희 지음, 아동의 사회성 교육, 교육아카데미, 2004.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4.17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