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1
1. 심장의 구조와 기능1
2. 협심증의 정의 및 종류2
3. 협심증의 병태생리3
4. 협심증의 원인4
5. 협심증의 증상4
6. 협심증의 진단검사4
7. 협심증의 치료5
8. 협심증의 간호6
Ⅱ. 사례보고서8
1. 간호정보조사지8
1) 일반정보8
2) 건강과 관련된 정보9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10
4) 진단검사 11
5) 임상검사13
6) 약물14
2. 간호과정17
1) 간호문제17
2) 간호진단목록17
3) 간호과정17
Ⅲ. 참고문헌23
1. 심장의 구조와 기능1
2. 협심증의 정의 및 종류2
3. 협심증의 병태생리3
4. 협심증의 원인4
5. 협심증의 증상4
6. 협심증의 진단검사4
7. 협심증의 치료5
8. 협심증의 간호6
Ⅱ. 사례보고서8
1. 간호정보조사지8
1) 일반정보8
2) 건강과 관련된 정보9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10
4) 진단검사 11
5) 임상검사13
6) 약물14
2. 간호과정17
1) 간호문제17
2) 간호진단목록17
3) 간호과정17
Ⅲ. 참고문헌23
본문내용
저림과 관련된 안위손상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다리가 쥐어짜는 듯하고 저려요”
“걷는데 너무 불편해요”
O : - 진단명: 뇌경색의 후유증 (sequelae of cerebral infarction)
- 과거력: 당뇨병(DM)
- 2018년 3월 LBP, Both leg numbness로 adm Tx
- 2020년 3월 both leg numbness로 adm Tx
- 2020년 4월 both leg numbness adm Tx
→ LBP. Both leg numbness 증상으로 수차례 본원, 타병원
adm Tx
- NRS: 양다리 3점으로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있음.
- 체위가 불안정해 보임.
- 보행 시 흔들리는 것이 관찰됨.
- 다리에 부종이 있는 것이 관찰됨.
- 불편감을 호소하며 얼굴을 찡그림.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지속적인 다리 저림과 관련된 안위손상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하루에 2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3. 통증사정척도(NRS)를 이용하여 매일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4. 처방된 약물을 제공하고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6.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한다.
7. 대상자에게 퇴원 후 자가간호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포함한 생리적 측정은 생명 기능의 생리적 상태를 평가하고 대상자의 기초자료를 제공받기 위함이다.
2. 혈당 수치를 파악하여 당뇨병을 감시하고 조절하며 식단, 운동 등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3.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여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이에 따른 중재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치료적 계획>
4. 약물을 통해 다리의 부종과 저림,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로 다리 저림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6. 편안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대상자의 불편감을 해소시키 것과 통증을 완화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7. 자가간호를 교육하여 대상자의 질병 재발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매일 6AM, 2PM, 8PM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V/S stable한 것을 확인함.
2. 하루에 2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했다.
매일 6AM, 3PM 마다 혈당을 측정함.
3. 통증사정척도(NRS)를 이용하여 매일 통증 정도를 사정했다.
시행일자
시간
위치
강도
양상
빈도
지속시간
10/26
11:00
양다리
3
쥐어짜는 듯하다
2시간 마다
15분-
2시간
10/27~
10/30
-
-
0
-
-
-
11/3
12:30
양다리
2
쥐어짜는 듯하다
2시간 마다
15분-
2시간
4. 처방된 약물을 제공하고 복용할 수 있도록 했다.
- 엔테론정 150mg 하루에 2번 PO로 제공함.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했다.
- 매일 3:30PM에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함.
6.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했다.
누워있을 시 다리를 올려 부종이 완화되도록 교육함.
7. 대상자에게 퇴원 후 자가간호관리에 대해 교육했다.
- 퇴원 후에도 운동을 실시해야함을 설명함.
당뇨병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꾸준히 식이와 운동으로 관리해야함을 설명함.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달성)
-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condition이 조금 나은 것 같다고 하여 목표 달성함.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달성)
10/27일부터 10/30일까지는 NRS가 0점으로 감소하였지만 11/3일에 다시 2점으로 오름.
하지만 NRS 2점 이하로 목표 달성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미확인)
-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아 목표달성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움.
10/27~10/30 NRS가 0점으로 통증이 완화되어 불편감이 없었으나 11/1~11/2의 부재로 11/3 다시 NRS 2점으로 통증이 발생함.
Ⅲ. 참고문헌
문헌고찰
[네이버 지식백과] 심장 구조 사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817&cid=63057&categoryId=63057
협심증 자료조사 https://www.cnubh.com/health/medicine/info.cs;WEB_JSESSIONID=4D97CB7491DFA5818EEAAEF2ABADC293?act=view&infoId=589&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협심증
http://naver.me/FiW5fmh4
[동아대학교병원] 관상동맥 중재 시술 사진
https://cvc.damc.or.kr/05/0106.php
6. [eMD medical news] 관상동맥 우회술 사진
https://www.mdon.co.kr/mobile/article.html?no=29166
7. [네이버 지식백과] 협심증 치료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6474&cid=59913&categoryId=59913
사례보고서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
2.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2판), p249~346, 현문사, 서울
3. 드럭인포 (의약품정보)
4. 약학정보원 (의약품정보)
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6.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다리가 쥐어짜는 듯하고 저려요”
“걷는데 너무 불편해요”
O : - 진단명: 뇌경색의 후유증 (sequelae of cerebral infarction)
- 과거력: 당뇨병(DM)
- 2018년 3월 LBP, Both leg numbness로 adm Tx
- 2020년 3월 both leg numbness로 adm Tx
- 2020년 4월 both leg numbness adm Tx
→ LBP. Both leg numbness 증상으로 수차례 본원, 타병원
adm Tx
- NRS: 양다리 3점으로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있음.
- 체위가 불안정해 보임.
- 보행 시 흔들리는 것이 관찰됨.
- 다리에 부종이 있는 것이 관찰됨.
- 불편감을 호소하며 얼굴을 찡그림.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2. 지속적인 다리 저림과 관련된 안위손상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하루에 2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3. 통증사정척도(NRS)를 이용하여 매일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4. 처방된 약물을 제공하고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한다.
<교육적 계획>
6.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한다.
7. 대상자에게 퇴원 후 자가간호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포함한 생리적 측정은 생명 기능의 생리적 상태를 평가하고 대상자의 기초자료를 제공받기 위함이다.
2. 혈당 수치를 파악하여 당뇨병을 감시하고 조절하며 식단, 운동 등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3. 통증의 정도를 사정하여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이에 따른 중재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치료적 계획>
4. 약물을 통해 다리의 부종과 저림,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로 다리 저림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6. 편안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대상자의 불편감을 해소시키 것과 통증을 완화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7. 자가간호를 교육하여 대상자의 질병 재발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8시간 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매일 6AM, 2PM, 8PM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함.
V/S stable한 것을 확인함.
2. 하루에 2번 BST를 하여 혈당을 측정했다.
매일 6AM, 3PM 마다 혈당을 측정함.
3. 통증사정척도(NRS)를 이용하여 매일 통증 정도를 사정했다.
시행일자
시간
위치
강도
양상
빈도
지속시간
10/26
11:00
양다리
3
쥐어짜는 듯하다
2시간 마다
15분-
2시간
10/27~
10/30
-
-
0
-
-
-
11/3
12:30
양다리
2
쥐어짜는 듯하다
2시간 마다
15분-
2시간
4. 처방된 약물을 제공하고 복용할 수 있도록 했다.
- 엔테론정 150mg 하루에 2번 PO로 제공함.
5.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했다.
- 매일 3:30PM에 운동치료와 전기치료를 실시함.
6.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교육했다.
누워있을 시 다리를 올려 부종이 완화되도록 교육함.
7. 대상자에게 퇴원 후 자가간호관리에 대해 교육했다.
- 퇴원 후에도 운동을 실시해야함을 설명함.
당뇨병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꾸준히 식이와 운동으로 관리해야함을 설명함.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달성)
-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어 condition이 조금 나은 것 같다고 하여 목표 달성함.
2. 대상자는 3일 이내 NRS 2점 이하로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달성)
10/27일부터 10/30일까지는 NRS가 0점으로 감소하였지만 11/3일에 다시 2점으로 오름.
하지만 NRS 2점 이하로 목표 달성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미확인)
-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아 목표달성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움.
10/27~10/30 NRS가 0점으로 통증이 완화되어 불편감이 없었으나 11/1~11/2의 부재로 11/3 다시 NRS 2점으로 통증이 발생함.
Ⅲ. 참고문헌
문헌고찰
[네이버 지식백과] 심장 구조 사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817&cid=63057&categoryId=63057
협심증 자료조사 https://www.cnubh.com/health/medicine/info.cs;WEB_JSESSIONID=4D97CB7491DFA5818EEAAEF2ABADC293?act=view&infoId=589&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협심증
http://naver.me/FiW5fmh4
[동아대학교병원] 관상동맥 중재 시술 사진
https://cvc.damc.or.kr/05/0106.php
6. [eMD medical news] 관상동맥 우회술 사진
https://www.mdon.co.kr/mobile/article.html?no=29166
7. [네이버 지식백과] 협심증 치료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6474&cid=59913&categoryId=59913
사례보고서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
2.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2판), p249~346, 현문사, 서울
3. 드럭인포 (의약품정보)
4. 약학정보원 (의약품정보)
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6.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os 척추협착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간호과정, 출처 등 기...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위염,급성간염 case (A+ 보장 간호진단 4개)
성인간호학실습 골관절염 case (A+ 보장 간호진단 4개)
A+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췌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협심증(Unstable angina),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근골격계]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Rib Fracture 늑골골절 CASESTUDY(케이스스터디)
A+ 보장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케이스
A+보장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사례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