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사례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보장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사례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기능과 구조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수술
8.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진단검사
4. 임상검사
5. 투약
6. 간호문제
7..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1. 부적절한 기도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2) #2. 침습적 처치 및 각종 튜브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범위
4/17
4/20
WBC
4.0-10.0
10^3/uL
13.90▲
12.87▲
CRP
0~0.3
mg/dL
0.5▲
0.9▲
입원시 활력징후
BP: 147/93mmHg
T: 38.0℃▲
P: 79회/분
R: 18회/분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2 침습 적 처치 및 각종 튜브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간호진단
(Nursing goals)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전신의 추가적인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매일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치료적 계획>
3. 대상자 접촉 전·후 내과적 손 씻기를 한다.
4.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5. 침습적 처치 부위의 감염징후를 사정한다.
6.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7. 경장 영양 시 침상 머리를 상승시킨다.
8. L-tube를 세척한다.
<교육적 계획>
9. 대상자에게 손을 깨끗이 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1. 활력 징후는 대상자의 사정 방법의 하나로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를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2. 혈액검사는 여러 가지 신체장애를 사정하는 데 사용된다.
7. 흡인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조건에는 기침, 비위관 흡인, 인공기도, 의식저하, 앙와위 등이 포함되며, 영양액의 높은 포도당 함량은 감염을 촉진하는 박테리아의 성장 배지가 된다.
3. 의료인의 오염된 손은 교차 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킨다. 간호 처지 전·후 손 씻기는 감염을 최소화 하고, 미생물 전파를 방지한다.
4. 항생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거나 죽이는 물질이다.
5. 침습적 처치 및 각종 튜브 삽입은 감염의 위험성을 높인다.
6. 비위관을 가진 대상자는 흔히 입으로 호흡 하기 때문에
구강 간호를 실시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7. 흡인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조건에는 기침, 비위관 흡인, 인공기도, 의식저하, 앙와위 등이 포함되며, 영양액의 높은 포도당 함량은 감염을 촉진하는 박테리아의 성장 배지가 된다.
8. 세척은 관에 여러 약물이 섞여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9. 손 씻기는 감염을 예방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매일 4시간 마다 V/S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날짜
시간
BP
T
P
R
SPO2
23.04.26
08:00
100/60
38.0
80
20
99
12:00
131/93
38.1
82
33
100
16:00
120/70
37.6
72
26
96
20:00
100/70
36.9
81
20
100
2. 4월 17일과 20일의 혈액검사 결과를 EMR을 통해 확인하고 비교함.
검사명
정상범위
4/17
4/20
WBC
4.0-10.0
10^3/uL
13.90▲
12.87▲
CRP
0~0.3
mg/dL
0.5▲
0.9▲
·
3-1. V/S 측정 전·후에 간호사실에서 내과적 손 씻기를 시행하였다.
3-2. 대상자에게 간호 시행 전·후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3-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강조하였다.
4.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함.
5-1. 매 근무번 마다 침습적 처치부위의 압통, 발적, 부종, 수액의 주입속도와 개방성을 관찰하고 기록함
5-2. L-tube 삽입 피부 주위 피부손상을 관찰하였다.
6-1. 반좌위를 취하고 고개를 간호사 쪽으로 돌리게 한다.
6-2. 거즈로 감은 설압자를 부드럽게 집어넣는다.
6-3. .칫솔에 치약을 묻혀 부드럽고 주의깊게 치아를 닦는다. 의치가 있으면 의치를 제거하고 닦는다. 입을 헹구거나 주사기로 물을 뽑아 구강의 각 면에 부드럽게 투입한다.
세척액 모두가 입에서 곡반으로 흘러나왔는지 주의 깊게 관찰한다. 만약 입안에 용액이 남아 있으면 흡인해야 한다.
7. 경장 영양 시 침상 머리를 45도 상승시켰다.
8-1. 약물투여 전, 약물투여 사이, 약물투여 후 세척 하였다.
8-2. 관을 분리할 때 비위관 튜브를 비틀어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한다. 비위관 튜브의 끝에 주사기 입구를 삽입하고, 비틀어진 비위관 튜브를 풀어서 세척 용액을 서서히 주입한다.
8-3. 물이 점적 주입되었을 때, 주사기를 제거하였다. (불충분한 세척은 수분 부족을 가져올 수 있고, 과다 세척은 수분 과다를 일으킬 수 있다)
9. 대상자에게 올바른 손 씻기 방법과 손 씻기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했다.
평가
(Evaluation)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 체온 범위를 유지하였다. (달성)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전신의 추가적인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달성)
#2. 침습 적 처치 및 각종 튜브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Ⅲ. 결론
본 환자는 흡인성 폐렴 환자였다. 간호진단은 부적절한 기도 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침습 적 처치 및 각종 튜브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이었다.
연세가 있는 환자이며 질병과 동반한 합병증을 가지고 있어 다른 환자보다 세심한 간호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간호진단을 내려 간호중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간호수행 결과 염증수치, WBC 수치가 정상범위로 호전되어가고 있고 호흡양상도 좋아져 기존에 계셨던 요양병원으로 다시 가셨다.
적합한 간호를 위해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질환에 대해 공부하였고 폐렴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서 폐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길 바라며 이 보고서를 통해서 질 높은 간호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Ⅳ. 참고문헌
1. 황옥남 외 8명(2018), 성인간호학(상), p549~553, 현문사
2. 성미혜 외(2015). 간호과정의 적용. 서울 : 수문사 p. 249~321
3. 양선희 외(2018). 핵심기본수기(2판). 서울 : 현문사. p264~271
4.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Ⅱ(3판). 서울 : 현문사. p146~159
5.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aver
6.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