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성인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경막하출혈) 문헌고찰 포함 꼼꼼하게 작성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성인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경막하출혈) 문헌고찰 포함 꼼꼼하게 작성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뇌막의 구조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진단 및 검사
6. 치료
7. 간호
8. 저널리뷰

Ⅲ.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적인 사항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낙상, 통증 사정
4) 진단 검사
5) 신경계 사정
6) 진단검사
7) 약물
8) 수술
9) V/S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1.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2. 활동량 감소와 관련된 변비

Ⅳ. 결론 및 제헌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와 보호자에게 변비를 예방 및 완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02.23 변비 완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충분한 섬유질, 신선한 과일, 야채, 곡물이 포함된 균형 잡힌 식단 섭취
충분한 수분섭취의 중요성
규칙적인 운동과 활동, 배변 시간과 배변 보는 적당한 시간
평가(Evaluation)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대상자가 정상이라고 인식하는 빈도의 부드럽고 형 성된 배변 활동을 하게 된다. <미달성>
대상자는 퇴원 전날까지 변이 나오지 않아 관장을 원하는 모습이 관찰됨
<단기목표>
1. 대상자나 보호자는 1일 이내에 변비 예방 및 완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로 표현한다 <달성>
보호자는 대상자에게 적당한 수분을 권하고, 변의 가 있을 시 즉시 화장실을 데려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변비 예방을 위한 개인 습관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행 한다. <달성>
대상자는 배변 시 복부 마사지를 한다고 말하였고, 변의를 참지 않고 즉시 화장실에 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DAR 간호과정
#1.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DAR 방식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
D : 2/19-2/22
“걸음도 잘 안되고 발음도 안돼요.” 라고 말함
다리에 힘이 안들어가“ 라고 말함
GCS 점수 사정결과 12점 (02.15)
사지 허약 관찰됨
02.15 op(burr hole drainage) 후 EVD 적용함
수술 부위 통증 호소함 (NRS 3점)
대답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며 간간히 confuse한 모습이 관찰됨
A :
2/15~02/22 GCS, 의식수준 사정함
활력징후를 측정함
뇌압상승을 예방하는 약물을 투여함
- Keppra(발작 예방) 1T PO bid(08:00/18:00)
- Naloxone HCI(호흡촉진제) 2A IV qd(06:00)
- cereBRAIN 20ml(뇌기능장애 증상개선) 2V IV qd(06:00)
- cozaar 100mg(혈압약) 1T PO qd(08:00)
- Norvasc 5mg(혈압약) 1T PO qd(08:00)
- torsem 5mg(루프계 이뇨제) 1T qd(08:00)
- Mago500mg / Dulackan Easy pack 15ml(변비약) bid(08:00/18:00)
침상머리를 올리고 있도록 설명함
ICP를 상승 예방활동에 대해 설명함
R :
2/15 GCS 12점 의식수준: drowsy함
침상머리를 올리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관찰됨
2.20 (14:00) 170/70 66 18 37.3 측정됨
2.22 (05:00) 174/84 68 18 36.7 측정됨
#2. 변비
DAR 방식
변비
D : 2/19-2/22
“원래 이런적이 없는 사람인데 요즘 변을 못봐” 라고 말함(보호자)
- `“머리 아픈건 괜찮은데 화장실을 못가서 더 힘들어” 라고 말함
수술 후 주로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83세 고령 대상자임
수술 후 보행에 어려움이 있음(워커 사용 중)
관장 후 화장실에 장시간(30분 이상) 앉아있었지만 일을 보지 못한 것을 관찰함
A :
배변양상 및 식이에 대해 사정함
대상자의 활동 수준을 사정함
-> 화장실 갈 때 이외에 주로 침상에서 생활함, 보행시 워커나 보호자의 도움 필요
변비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함
섬유질 식이, 수분섭취, 규칙적인 운동, 변의 참지 않기, 장 마사지 법
처방에 따라 Mago / Dulackhan easy pack 투여함
처방에 따라 관장 실시함 (2/20, 2/23)
R :
빵을 주로 섭취하고 물을 잘 먹지 않는 모습이 관찰됨
장 마사지 하는 모습이 보임
관장 후에도 변을 보지 못함
변의가 느껴지면 즉시 화장실을 가는 모습이 관찰됨
Ⅳ. 결론 및 제언
환자들이 많이 없는 상태에서도 가장 눈에 띄었던 진단명이 경막하 출혈이였다. 경막하 출혈에 대해 찾아보니 뇌 신경에 문제가 생겨 보행에 문제가 생기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었고 노인 환자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거 할아버지께서 뇌출혈을 겪으셨었는데 왜 그 이후에 보행이 힘들어지셨는지 이제야 이해할 수 있었다. 경막하 출혈은 산업이 발전하면서 그에 비례에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이와 같은 환자들에게 있어 출혈 뿐 아니라 추후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후에 경막하 출혈 뿐만 아니라 모든 뇌졸중 환자들에게 있어 높은 관심과 이로 인한 질 높은 치료와 간호가 수행되길 기대한다.
Ⅴ.참고문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421-423 p452-459, 현문사, 서울
[서울대학교병원] 만성 경막하 출혈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45
3. [서울대학교병원] 급성 경막하 출혈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37
4. 질병관리청[외상성 경막하출혈]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64
5. 유혜정, 필통 2022대비 간호학 핵심요약집(성인간호학2), p.313-319 에듀팩토리
6. 아산병원(외상성 경막하출혈)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2
7. 이현석, 버-홀 천두폐쇄배액술로 치료한편측 경막하출혈 환자의 임상적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임상의학(신경외과), 2023.02, 8-27
8. 이은희 외(2022),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12, 37, 고문사
9.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P377~410, 현문사
10. 김순옥 외 4명(2022), 노인간호학, 149~150, 신광
11. 병원 간호사회(변비)
http://www.khna.or.kr/homecare_new/06_diges/gastro07.php
  • 가격3,5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