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골수 / 혈액의 구조와 기능
2. 범혈구감소증의 정의
3. 범혈구감소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4. 범혈구감소증의 증상
5. 당뇨병의 진단검사
6. 당뇨병의 치료와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4) 진단검사
5) 임상검사
6)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3. 전신 쇠약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Ⅲ. 참고문헌
1. 골수 / 혈액의 구조와 기능
2. 범혈구감소증의 정의
3. 범혈구감소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4. 범혈구감소증의 증상
5. 당뇨병의 진단검사
6. 당뇨병의 치료와 간호
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정보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낙상, 욕창, 통증 사정
4) 진단검사
5) 임상검사
6)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과정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
#3. 전신 쇠약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리 사정함으로써 낙상 발생을 예방하고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수립에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하지의 허약감, 골다공증과 같은 근골격계 문제는 낙상 발생률의 증가뿐 아니라 낙상 발생 시 심각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골밀독 검사는 낙상사고시 골절의 위험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한다.
낙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안전을 증진 시키고 낙상을 막기 위해서 행동을 수행할 책임이 있고 낙상에 대한 대처와 예방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손에 닿는 위치에서 벗어난 침대머리맡의 탁자에서 물건을 가져오려는 행동은 대상자의 균형을 방해하고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침대를 낮게 유지하는 것과 침상 난간을 올리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고 매트릭스를 바닥에 두는 것은 낙상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야간등은 야간의 가시성을 증사시켜주고 낯선 환경에서의 이동에 도움을 준다.
화장실의 젖은 표면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가로대는 움직일 때 지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낙상은 고정이 쉬운 위험물에 의해 자주 발생하고 위험 요소를 교육함으로써 낙상 예방에 도움을 준다.
낙상 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낙상은 고정이 쉬운 위험물에 의해 빈번하게 일어난다.
낙상 발생 후 빠른 판단과 조치는 빠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사정했다. (낙상 경험, 나이, 신체 상태, 감각, 질병의 증상, 주변 환경, 등)
70세의 노인으로 전신이 쇠약한 상태고, 낙상경험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침상 주변 환경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2. 근골격계 문제가 있는지 사정했다.
전신이 쇠약하고, 왼쪽 다리 통증을 호소함(NRS 2점)
X-ray 결과 OS적 문제는 발견되지 않음
3. 낙상위험 사정 도구를 이용해 낙상 위험성을 사정했다.
-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60점으로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임.
4. 대상자의 침상, 입원 팔찌 등에 낙상 위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했다.
대상자의 입원 팔찌, 침상, 침상머리 벽, 폴대에 낙상 위험 표지판을 걸어둠
5. 대상자가 많이 사용하는 물건(간호사 호출기, 물, 전화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호출기, 물, 전화 등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가까운 곳에 위치시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가까이 두도록 설명함
6. 침대를 가능한 낮게 위치하고 침상 난간을 올려준다.
침대를 최대한 낮게 유지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려두도록 설명함.
7. 야간에 적절한 방의 밝기를 유지한다.
야간에 야간등을 유지함
8. 화장실에 가로대를 설치하고 물기를 제거한다.
화장실에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함
청소 시 물기를 제거함
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교육한다.
미끄러운 바닥, 바닥에 물건들, 어두운 환경 등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설명함
10. 대상자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 요소와 낙상 예방법을 교육했다..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의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온다.
침상안전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있는다.
1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이 발생 후 취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교육한다.
낙상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부상(출혈, 골절, 두부 손상 등)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함
평가(Evaluation)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후 집에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을 실천한다. <달성>
대상자는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가까이 두는 모습이 관찰됨
<단기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 보행의 도움, 체위 변경이 필요할 때 간호사에게 알린다.
<달성>
대상자는 체위 변경 등 도움이 필요할 때 콜벨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임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침상 난간을 올리고 안정을 취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달성>
대상자는 침상 안정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쉬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III. 참고문헌
문헌고찰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88~89, 62-76, 현문사, 서울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130~138, 에듀팩토리
3. 서울아산병원 ‘범혈구감소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045&tabIndex=0
4.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5. 범혈구감소증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honginsuranc/223014903696
6. 네이버 지식백과(골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799&cid=51006&categoryId=51006&anchorTarget=TA
https://blog.naver.com/bys112002/223119172862
7. 네이버 지식백과(혈액의 구성과 기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3189&categor&cid=58598&categoryId=59158
사례보고서
1.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88~89, 62-76, 현문사, 서울
2..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 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130~138, 에듀팩토리
3.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p.52~79 80~99, 현문사
4. 이은희 외(2020),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20, 34, 105, 고문사
하지의 허약감, 골다공증과 같은 근골격계 문제는 낙상 발생률의 증가뿐 아니라 낙상 발생 시 심각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골밀독 검사는 낙상사고시 골절의 위험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적, 외적 요소를 포함하는 표준 낙상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낙상 위험수준과 차후 낙상 예정조치를 결정한다.
낙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안전을 증진 시키고 낙상을 막기 위해서 행동을 수행할 책임이 있고 낙상에 대한 대처와 예방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손에 닿는 위치에서 벗어난 침대머리맡의 탁자에서 물건을 가져오려는 행동은 대상자의 균형을 방해하고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침대를 낮게 유지하는 것과 침상 난간을 올리는 것은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고 매트릭스를 바닥에 두는 것은 낙상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야간등은 야간의 가시성을 증사시켜주고 낯선 환경에서의 이동에 도움을 준다.
화장실의 젖은 표면은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가로대는 움직일 때 지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낙상은 고정이 쉬운 위험물에 의해 자주 발생하고 위험 요소를 교육함으로써 낙상 예방에 도움을 준다.
낙상 예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낙상은 고정이 쉬운 위험물에 의해 빈번하게 일어난다.
낙상 발생 후 빠른 판단과 조치는 빠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사정했다. (낙상 경험, 나이, 신체 상태, 감각, 질병의 증상, 주변 환경, 등)
70세의 노인으로 전신이 쇠약한 상태고, 낙상경험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침상 주변 환경은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2. 근골격계 문제가 있는지 사정했다.
전신이 쇠약하고, 왼쪽 다리 통증을 호소함(NRS 2점)
X-ray 결과 OS적 문제는 발견되지 않음
3. 낙상위험 사정 도구를 이용해 낙상 위험성을 사정했다.
- Morse Fall Scale 사정 결과 60점으로 낙상 고위험군 대상자임.
4. 대상자의 침상, 입원 팔찌 등에 낙상 위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했다.
대상자의 입원 팔찌, 침상, 침상머리 벽, 폴대에 낙상 위험 표지판을 걸어둠
5. 대상자가 많이 사용하는 물건(간호사 호출기, 물, 전화 등)을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호출기, 물, 전화 등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가까운 곳에 위치시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가까이 두도록 설명함
6. 침대를 가능한 낮게 위치하고 침상 난간을 올려준다.
침대를 최대한 낮게 유지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려두도록 설명함.
7. 야간에 적절한 방의 밝기를 유지한다.
야간에 야간등을 유지함
8. 화장실에 가로대를 설치하고 물기를 제거한다.
화장실에 가로대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함
청소 시 물기를 제거함
9.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교육한다.
미끄러운 바닥, 바닥에 물건들, 어두운 환경 등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해 설명함
10. 대상자에게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위험 요소와 낙상 예방법을 교육했다..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의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온다.
침상안전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있는다.
1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이 발생 후 취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교육한다.
낙상으로 인해 대상자에게 부상(출혈, 골절, 두부 손상 등)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함
평가(Evaluation)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후 집에서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을 실천한다. <달성>
대상자는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가까이 두는 모습이 관찰됨
<단기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 보행의 도움, 체위 변경이 필요할 때 간호사에게 알린다.
<달성>
대상자는 체위 변경 등 도움이 필요할 때 콜벨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임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침상 난간을 올리고 안정을 취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달성>
대상자는 침상 안정 시 침상 난간을 올리고 쉬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III. 참고문헌
문헌고찰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88~89, 62-76, 현문사, 서울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130~138, 에듀팩토리
3. 서울아산병원 ‘범혈구감소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045&tabIndex=0
4.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5. 범혈구감소증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honginsuranc/223014903696
6. 네이버 지식백과(골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799&cid=51006&categoryId=51006&anchorTarget=TA
https://blog.naver.com/bys112002/223119172862
7. 네이버 지식백과(혈액의 구성과 기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3189&categor&cid=58598&categoryId=59158
사례보고서
1.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88~89, 62-76, 현문사, 서울
2..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 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130~138, 에듀팩토리
3.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Ⅱ, p.52~79 80~99, 현문사
4. 이은희 외(2020),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20, 34, 105, 고문사
추천자료
당뇨+망막병증case+study+A+
(aneurysm)+컨퍼런스+-+사례보고서
호흡기내과 실습지침서 (인플루엔자 및 폐렴 ) 간호사정, 진단, 문헌고찰,약물,검사실 등 포함
A+성인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경막하출혈) 문헌고찰 포함 꼼꼼하게 작성함!!!!
A+성인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당뇨병) 문헌고찰부터 꼼꼼하게 작성했어요!!
A+성인간호학실습_위장염_사례보고서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포함!!
A+아동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뇌성마비) 문헌고찰부터 꼼꼼하게 작성!!! 강력추천!!!
A+ 여성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자궁근종) 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까지 완벽!!!
A+정신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_적응장애 문헌고찰부터 MSE 포함 모두 꼼꼼하게 작성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