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아동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뇌성마비) 문헌고찰부터 꼼꼼하게 작성!!! 강력추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아동간호학실습_사례보고서(뇌성마비) 문헌고찰부터 꼼꼼하게 작성!!! 강력추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뇌성마비의 정의
2. 뇌성마비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뇌성마비 분류
4. 뇌성마비 증상
5. 뇌성마비 진단검사
6. 뇌성마비 치료
7. 뇌성마비 간호

Ⅲ. 사례보고서
1. 입원아동 기본정보
1) 일반정보
2) 욕창위험도 사정
3) 진단검사
4) 약물
2. 간호과정
1) #1. 흡인, 삼킴곤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 신체 요구량 보다 적음
2) #2.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기도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환아는 3일 이내에 SpO2가 95%이상 유지한다.
환아는 5일 이내에 객담 배출을 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환아의 기도개방을 사정한다.
비정상 폐음이 있는지 폐를 청진한다.
호흡음을 사정한다.
(음질, 속도, 리듬, 깊이, 콧구멍 벌렁거림, 호흡곤란, 보조근 사용, 호흡 자세 등)
의식 수준 변화와 V/S 변화를 사정한다.
분비물 양상을 사정한다.(색, 점도, 양 등)
건조상태를 사정한다.(피부 탄력, 점막, 혀)
<치료적 계획>
필요한 경우 suction을 실시한다.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대상자 침상머리를 올려준다.
<교육적 계획>
돌봄제공자에게 가습과 적절한 수화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돌봄제공자에게 흡인 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기도 유지는 항상 첫 번째 우선순위다.
액체와 점액이 축적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숨소리가 들릴 수 있으며, 그것은 기도가 막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호흡수와 리듬의 증가는 기도막힘에 대한 보상반응일 수 있다.
혼돈, 불안정, 안절부절못함의 증가는 뇌 저산소증의 신속한 신호이다. 기면과 졸음은 늦게 나타나는 신호이다. 열은 죽적된 분비물, 감염이나 염증과정의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변색된 객담은 감염의 신호이다. 딱딱하고 끈끈한 분비물은 기도 저항과 호흡을 증가 시킬 수 있다.
기도청결은 불충분한 수화와 진해진 분비물에 의해 방해 받는다.
흡인법은 기침으로 기도의 부비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대상자에게 사용한다.
약물은 객담을 묽게 만들어주고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해준다.
좌위는 호흡을 용이하게 해주고 폐의 분비물 배출에 도움이 된다.
폐의 분비물 액화를 향상시키고 점막의 가래를 뱉어 내는데 적절한 흡입이 도움된다.
교육은 안전과 효과적인 약물관리를 촉진시킨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환아의 기도개방을 사정하였다.
“가끔 숨을 3초정도 참았다가 몰아쉬어요” (보호자)
“어제보다 가래량이 늘었어요”(보호자)
“스스로 가래를 못 뱉으니까 제가 suction을 자주 해주고있어요”(보호자)
2. 비정상 폐음이 있는지 폐를 청진하였다.
폐음 청진 결과 천명음이 들리고 호흡음이 얕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청진 시 천명음과 호흡음이 얕아진 것을 관찰하였다.
숨을 참았다 몰아쉬는 모습이 보였다.
숨 쉴 때 객담 고인 듯한 숨소리가 들렸다.
4. 의식 수준 변화와 체온의 변화를 사정하였다.
일자
시간
체온
SpO2
11/19
19:00
37.8
93
20:00
37.7
93
21:15
37.4
94
22:00
37.1
95
11/20
08:00
38.0
93
19:00
38.1
92
08:00
37.5
95
19:00
37.1
96
의식은 명료한 상태를 관찰하였다.일자
시간
체온
SpO2
11/14
08:00
36.6
94
19:00
37.1
95
11/15
08:00
36.9
95
19:00
36.7
94
11/16
08:00
36.9
95
19:00
37.1
96
11/17
08:00
36.5
95
19:00
5. 분비물 양상을 사정하였다.(색, 점도, 양 등)
분비물양상 (맑은 다량의 객담)이 흡인되었다. (보호자)
6. 피부상태를 사정하였다. (피부 탄력, 점막, 혀)
피부는 붉고 건조하며 입술이 갈라져 있는 상태를 관찰하였다.
7. 필요한 경우 suction을 실시하였다.
침이 많이 생기고, 객담이 많을 때 suction을 실시하였다.
8.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였다.
처방에 따라 Synatura Syrup을 하루 세 번 5ml씩 투여하였다.
9. 대상자 침상머리를 올려 상체가 올라가 있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체를 올려 반좌위 자세를 취해주었다.
몸을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대상자임으로 주기적으로 자세를 확인하였다.
10. 돌봄제공자에게 가습과 적절한 수화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적절한 수화는 객담을 묽게해 배출에 용이함을 설명하였다.
11. 돌봄제공자에게 흡인 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였다.
흡인 시에는 무균술을 준수한다.
카테터 삽입부터 흡인 시간은 10-15초를 넘지 않도록 한다.
흡인 전.후로 생리식염수를 통과시킨다.
흡인 압력: 성인: 110~150mmHg / 아동 95~100mmHg / 영아: 50~95mmHg
평가(Evaluation)
<장기목표>
1. 환아는 재원 기간 동안 효과적인 기도청결 상태를 유지한다. <달성>
환아는 11.28기준 객담이 줄어 복용중인 약(Synatura)도 중단하였다.
<단기목표>
1. 환아는 3일 이내에 SpO2가 95%이상 유지한다. <달성>
11/20 12:00 이후로 SpO2가 95%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2. 환아는 5일 이내에 객담 배출을 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달성>
11.21일 이후 호흡음 청진 시 마다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렸다.
11.30 현재 스스로 객담 배출이 어려워 suction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Ⅳ 참고문헌
김영해 외 14명, 최신 아동간호건강간호학. p317-322, 수문사
2. 퍼시픽도도, 2024대비 퍼시픽 핵심요약집, p373-376, 퍼시픽북스
3. 이은희 외(2022), 제2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38, 105, 고문사
4. 유혜정, 필통 2022대비 간호학 핵심요약집(아동간호학), p245-259 에듀팩토리
5. 강지순 외 3명, 재활과 건강, p253-260, 수문사
6. 병원간호사회
https://www.khna.or.kr/homecare_new/11_child/rearing01.php
7. 질병관리청(뇌성마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51
8. 아산병원(뇌성마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68
  • 가격4,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