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Ⅱ. 문헌고찰2-14
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2-8
2. 부비동염(Sinusitis)9-14
Ⅲ. 사례보고서15-40
1. 입원아동 간호 정보조사지15-25
1) 기본정보15-17
2) 통증, 낙창, 욕창 사정18-19
3) 약물19-20
4) 검사 및 특수치료21-25
2. 간호과정26-40
1) 간호진단26
2)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26-40
Ⅳ. 결론41
Ⅴ. 참고문헌4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Ⅱ. 문헌고찰2-14
1.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2-8
2. 부비동염(Sinusitis)9-14
Ⅲ. 사례보고서15-40
1. 입원아동 간호 정보조사지15-25
1) 기본정보15-17
2) 통증, 낙창, 욕창 사정18-19
3) 약물19-20
4) 검사 및 특수치료21-25
2. 간호과정26-40
1) 간호진단26
2)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26-40
Ⅳ. 결론41
Ⅴ. 참고문헌42
본문내용
봤어요.”
대상자 반응
(12/1116:00)
“퇴원하고 나서 엄마랑 공원에 산책 자주 갈거에요.”
대상자 반응
(12/1218:05)
복도를 걸어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교육내용
(12/5 13:20)
* 낙상 예방법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 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와 야간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침상안정 시 침상 난간을 올린 상태를 유지한다.
대상자 반응
(12/5 13:30)
대상자: (고개를 끄덕이며) 네!
보호자: 네, 이해했어요.
12/5 15:30 침상 난간을 올리는 모습 관찰함
대상자 반응
(12/6 14:3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 반응
(12/7 16:30)
딱 맞는 슬리퍼를 구매하여 착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 반응
(12/8 12:30)
“어제 자기 전에 화장실 다녀왔어요.”
대상자 반응
(12/9 13:30)
보호자: 침상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발생 후, 취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교육하였 다.
낙상이 발생했을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함을 설명하였다.
낙상으로 인해 부상(출혈, 골절, 두부 손상 등)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하였다.
=> 12/5 (13:35)
대상자와 보호자는 끄덕이며 호출벨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 달성
대상자는 입원일 12/4부터 퇴원일 12/12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 달성
일자
시간
대상자 반응
12/5
19:57
“침대 위에서 일어나 뛰지 않을 거예요.”
12/6
13:00
“자주 쓰는 물건을 침대 가까이에 두어요.”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법에 대해 질문하였다.
일자
시간
관찰사항
12/6
14:3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7
11:20
보호자: “OO아 이거 올리고 있어야해. 넘어질 수도 있어.”
12/8
10:30
보호자가 침상 난간을 올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9
08:1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핸드폰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침상난간을 올리고 안정을 취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 달성
Ⅳ. 결론
소아병동에서 실습을 하게 되면서 첫 날 소아 환자들의 주진단명과 부진단명을 파악해 보았다. 그 중에는 공부해본 질환들도 있었고, 조금은 생소한 질환도 있었다. 대부분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중에서 요로감염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해보고 싶어 사례보고서로 선정하였다.
요로감염을 사례보고서 주제로 선정하고 찾아보았을 때, 요로감염은 발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여성에게 발병되는 추세가 높아지고 있음과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여 재발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신이 요로감염인지 모르는 환자들도 많으며, 요로감염임을 알면서도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대상자에게 올바른 간호를 수행하고자 사례보고서를 진행하였다.
요로감염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보고서를 작성하며 당뇨병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예비 간호사로서 요로감염 환자에 대해 어떤 간호중재를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요로감염은 관리하는 것이 조금은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며, 의학의 발달로 치료법이 많이 개선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그럼에도 질병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소홀히 하는 대상자들이 있기에, 요로감염의 예방법과 관리 및 재발 방지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줄 수 있도록 더 자세히 공부하게 되었다.
이번 사례보고서를 준비하며 요로감염의 병태생리부터 증상, 검사, 치료 및 간호까지의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지식을 지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까지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어 의미 있고 뜻 깊은 시간이었다.
Ⅴ. 참고문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상), p.532~534,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176~p.182, 현문사
김영혜 외(14), 아동간호학Ⅱ, p.29, 249~251, 수문사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30, p.99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1), p.339, 에듀팩토리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272~p.274. 에듀팩토리
질병관리본부(2018),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https://www.uti.or.kr/include/pdf/antibiotic-use-2018.pdf
8. 위성헌(2014), 요로감염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
https://www.ekjm.org/upload/42848989.pdf
9. 주연희(2022), 비부비동염의 분류, 진단 및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65권 5호, 289~296
10. 홍영진(2002), 부비동염의 진단과 치료,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PIV) 9권 1호, 18~20
11. 이성준(2022), 비강이상과 부비동염의 관례, 대한이비인후-두부경부외과학회지(한이인지), 45권 11호, 1067-1072
12.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05
13.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145
대상자 반응
(12/1116:00)
“퇴원하고 나서 엄마랑 공원에 산책 자주 갈거에요.”
대상자 반응
(12/1218:05)
복도를 걸어다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교육내용
(12/5 13:20)
* 낙상 예방법
계단의 모서리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용한다.
물기가 없고 장애물이 없는 주변 환경을 유지한다.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한다.
발에 맞는 크기의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도록 한다.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와 야간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침상안정 시 침상 난간을 올린 상태를 유지한다.
대상자 반응
(12/5 13:30)
대상자: (고개를 끄덕이며) 네!
보호자: 네, 이해했어요.
12/5 15:30 침상 난간을 올리는 모습 관찰함
대상자 반응
(12/6 14:3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 반응
(12/7 16:30)
딱 맞는 슬리퍼를 구매하여 착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대상자 반응
(12/8 12:30)
“어제 자기 전에 화장실 다녀왔어요.”
대상자 반응
(12/9 13:30)
보호자: 침상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발생 후, 취해야 하는 행동에 대해 교육하였 다.
낙상이 발생했을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함을 설명하였다.
낙상으로 인해 부상(출혈, 골절, 두부 손상 등) 발생 시 의료진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하였다.
=> 12/5 (13:35)
대상자와 보호자는 끄덕이며 호출벨의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평가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 달성
대상자는 입원일 12/4부터 퇴원일 12/12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 예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것이다. => 달성
일자
시간
대상자 반응
12/5
19:57
“침대 위에서 일어나 뛰지 않을 거예요.”
12/6
13:00
“자주 쓰는 물건을 침대 가까이에 두어요.”
대상자에게 낙상 예방법에 대해 질문하였다.
일자
시간
관찰사항
12/6
14:3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7
11:20
보호자: “OO아 이거 올리고 있어야해. 넘어질 수도 있어.”
12/8
10:30
보호자가 침상 난간을 올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12/9
08:10
침상 난간을 올리고 핸드폰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침상난간을 올리고 안정을 취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다. => 달성
Ⅳ. 결론
소아병동에서 실습을 하게 되면서 첫 날 소아 환자들의 주진단명과 부진단명을 파악해 보았다. 그 중에는 공부해본 질환들도 있었고, 조금은 생소한 질환도 있었다. 대부분 호흡기계 질환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중에서 요로감염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해보고 싶어 사례보고서로 선정하였다.
요로감염을 사례보고서 주제로 선정하고 찾아보았을 때, 요로감염은 발병률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여성에게 발병되는 추세가 높아지고 있음과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여 재발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자신이 요로감염인지 모르는 환자들도 많으며, 요로감염임을 알면서도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대상자에게 올바른 간호를 수행하고자 사례보고서를 진행하였다.
요로감염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보고서를 작성하며 당뇨병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예비 간호사로서 요로감염 환자에 대해 어떤 간호중재를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요로감염은 관리하는 것이 조금은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며, 의학의 발달로 치료법이 많이 개선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그럼에도 질병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소홀히 하는 대상자들이 있기에, 요로감염의 예방법과 관리 및 재발 방지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줄 수 있도록 더 자세히 공부하게 되었다.
이번 사례보고서를 준비하며 요로감염의 병태생리부터 증상, 검사, 치료 및 간호까지의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지식을 지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까지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어 의미 있고 뜻 깊은 시간이었다.
Ⅴ. 참고문헌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상), p.532~534, 현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하), p.176~p.182, 현문사
김영혜 외(14), 아동간호학Ⅱ, p.29, 249~251, 수문사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별책, p.30, p.99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1), p.339, 에듀팩토리
유혜정(2021), 필통 간호학핵심요약집 성인간호학(2), p.272~p.274. 에듀팩토리
질병관리본부(2018), 요로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https://www.uti.or.kr/include/pdf/antibiotic-use-2018.pdf
8. 위성헌(2014), 요로감염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
https://www.ekjm.org/upload/42848989.pdf
9. 주연희(2022), 비부비동염의 분류, 진단 및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65권 5호, 289~296
10. 홍영진(2002), 부비동염의 진단과 치료,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PIV) 9권 1호, 18~20
11. 이성준(2022), 비강이상과 부비동염의 관례, 대한이비인후-두부경부외과학회지(한이인지), 45권 11호, 1067-1072
12.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05
13.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145
추천자료
아동case study(UTI)
[아동간호학]소아과 케이스 스터디, 요로감염(UTI), case study
아동 실습 일일 레포트
[아동간호학][UTI][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urinary tract infection]
아동 요로감염 케이스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아동간호학 요로감염 UTI urinary track infection 케이스스터디
UTI Case Final
급성중이염 케이스,급성중이염case, 중이염 case, 아동간호학
요로감염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