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지역사회간호학 실습_가족간호과정 후회XXX 꼼꼼하게 작성함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지역사회간호학 실습_가족간호과정 후회XXX 꼼꼼하게 작성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1-

Ⅱ. 본론0-0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0-0

Ⅳ. 참고문헌16

본문내용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 운동요법
혈당농도가 최고에 이르는 시간에 규칙적으로 시행한다.
운동 후 저혈당증 예방을 위해 운동 직후 간식을 섭취한다.
운동 전 식사나 간식을 섭취한다.
장기간 운동 시 운동 전, 중, 후 혈당 체크를 하고, 탄수화물 간식을 섭취한다.
강도가 낮은 장기간의 유산소 운동(에어로빅, 보행, 수영) 권장, 주 3회 이상 시행한다.
강도가 높은 단기간의 무산소 운동은 급작스러운 탈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구체적인 운동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8. 대상자에게 당뇨 관리를 위한 생활습관에 대해 교육하였다.
정기적인 혈당 모니터링
“적절한 혈당 측정 방법을 따라 혈당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혈당 수준을 파악하셔야 해요.”
담배와 알코올 제한
“흡연은 당뇨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금연하셔야 하고, 알코올은 적절한 양 으로 제한하셔야 합니다.”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혈당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방법을 찾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 완화요법으로는 신체활동, 명상, 요가, 호흡 운동 등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의료진 방문
“당뇨 관리를 위해 혈압, 콜레스테롤, 신장 기능 등을 포함한 건강 상태의 정기적인 검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9. 대상자에게 당뇨병 합병증 교육 및 대상자 교육을 하였다.
▶ 저혈당증(hypoglycemia)
: 혈당치가 50-60mg/dL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
원인: 인슐린, 경구용 혈당하강제 과량 투여, 소량의 음식 섭취, 과도한 신체활동
임상증상
자율신경계 증상(교감신경계 활동 증가): 창백, 발한, 빈맥, 심계항진, 냉감, 안절부절못 함, 신경질적, 전신허약, 떨림, 공복감, 식은땀
신경계 증상(중추신경계 포도당 공급 부족): 두통, 혼돈, 입 주위 무감각, 피로, 언어 표 현 장애, 복시, 정서적 불안정, 경련, 혼수
치료 및 간호중재
의식이 있는 경우
단당류(오렌지주스 등 과일주스나 탄산수 1/2컵, 사탕 2-3개) 섭취
당질 10-15mg이 함유된 응급식품 섭취(2-3스푼의 꿀물)
혈당검사 시행
의식이 없는 경우
포도당 정맥주사: 50% 포도당 20-50mL 서서히 주입(효과적)
글루카곤 1mg 근육 내, 피하주사
예방간호
규칙적인 식사와 혈당 측정
인슐린 최고 작용 시간의 운동 피하기, 식사 제공, 취침 시 간식 제공
신체활동량 증가 시 간식과 음식 추가 섭취
당뇨병 인식표지 지참
저혈당증과, 발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발 간호의 교육
미지근한 물로 매일 발을 씻고, 특히 발가락 사이를 신경 써서 말린다.
발가락사이, 발바닥 등 발을 매일 검사한다.
발가락 사이를 피해 보습제를 바른다.
발톱을 일자로 자른다.
잘못하여 상처가 나면 감염되기 쉬우므로 티눈이나 굳은살은 병원에 가서 제거한다.
발에 물집이나 상처가 생기면 즉시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는다.
발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가열기나 온수병을 사용하지 않는다. 4-
온도가 올라가도 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화상 입을 위험이 있다.
매일 양말을 갈아 신는다.
맨발 또는 양말만 신은 채 걷거나, 바닥이 얇은 슬리퍼를 신은 채 걷는 것은 피한다.
너무 꽉 끼거나 큰 신발은 피하고 발보다 1~2cm 큰 신발은 신는다.
평가
(Evaluation)
<일반적 목표>
1. 대상자는 1년 이내에 적절한 혈당 관리방법을 알고 이를 실천할 것이다. <달성>
대상자는 교육 이후 처방받은 약물을 가지고 다니며 챙겨 먹는 모습을 관찰함
대상자가 약물 복용을 잊은 경우 함께 사는 아들이 약물 복용을 챙기는 모습을 관찰함
대상자는 잡곡밥 섭취, 적절한 시간에 끼니를 거르지 않겠다고 말함
<구체적 목표>
1. 대상자는 1개월 이내에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달성>
대상자는 6/25(화)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만성질환(당뇨, 고혈압) 건강교실에 참여함
2. 대상자는 3개월 이내에 처방에 따른 적절하게 약물을 복용하고 이를 기록한다. <달성>
다음 방문간호 시 당뇨병 관리 수첩에 약물 복용 여부, 식이 등이 기록된 것을 확인하였다.
식후에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며 약을 복용하는 모습을 관찰함
Ⅵ. 결론 및 제언
본 실습과 과제를 하며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오마하 간호진단, 지역사회간호과정, 보건교육 계획 등을 좀 더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던 계기였던 것 같다. 지역사회의 의료서비스가 낙후된 지역에서 거주하시는 대상자들을 만나보기도 하고 그 대상자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어 더욱 의미 있었다.
의료서비스가 많이 발전한 것에 비해 아직 그 혜택을 모두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대상자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대상자들이 적어도 교통이나 거리, 신체의 문제 등의 이유로 의료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있음 안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사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후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에 질이 나아지길 바라며 보다 질 높은 치료와 간호를 제공받길 기대한다.
Ⅶ. 참고문헌
1. 지역사회간호학Ⅰ, 안옥희 외, 현문사(2021)
2. 지역사회간호학Ⅱ, 안옥희 외, 현문사(2021)
3. 양평군보건소 https://www.yp21.go.kr/health/index.do
4. 원주시 보건소 (노인 우울 척도) https://www.wonju.go.kr/health/contents.do?key=3219
5. 질병관리청 (당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305
6.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7. 서울아산벼원(당뇨)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6
8. 병원간호사회(당뇨)
https://www.khna.or.kr/homecare/07_endoc/diabetes02.php
  • 가격4,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