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차자표기법
Ⅲ.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국어표기법
1. 중세국어 표기법
2. 근대국어 표기법
Ⅲ. 현대국어 표기법
1. 개화기 표기법
2. 한글맞춤법 통일안
3. 한글맞춤법
Ⅳ. 결 론
Ⅱ.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차자표기법
Ⅲ.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국어표기법
1. 중세국어 표기법
2. 근대국어 표기법
Ⅲ. 현대국어 표기법
1. 개화기 표기법
2. 한글맞춤법 통일안
3. 한글맞춤법
Ⅳ. 결 론
본문내용
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표의주의\'이다.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원리는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데, 여기서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또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쓰되, 토는 그 웃말에 붙여쓴다는 것이다.
3. 한글 맞춤법
현행 「한글맞춤법」은 1933년 10월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내용에 있어서 크게 달라진 것은 없고 통일안이 제정ㆍ공포된 지 50여 년이 지나는 동안에 일어난 변화와 그것을 사용하면서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수용하여 약간의 수정을 한 것이다. 이 맞춤법은 교육부에서 심의ㆍ제정하여 1989년 3월1일부터 쓰기로 한 것이다.
Ⅴ. 結 論
우리말 표기법은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크게 훈민정음 창제이전의 借字表記法, 훈민정음 이후의 중세국어 표기법과 근대국어 표기법, 현대국어 표기법으로 구분하여 변천되어왔다.
한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이래로 그 한자를 이용하여 국어를 문자로 기록하려는 노력은 차자표기법의 고유명사 표기, 서기체, 이두, 구결, 향찰 등의 순서로 계속되어왔지만 이것은 결코 완전한 국어 표기로는 성립될 수 없었다. 특히 지배계층에서는 중국에 대한 지식이 보편화됨에 따라 차자 표기법보다는 한문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입으로는 국어를 말하면서도 글을 쓸 때는 한문을 쓰는 기형적인 이중언어생활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言文二致의 기형적 언어생활은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까지 계속되어졌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창제로 국어표기법은 비로소 완전하고도 전면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어 文言二致의 생활을 청산하고 말을 그대로 글로 옮길 수 있는 文言一致가 가능해졌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의 창제로 15세기의 표기법은 음소적ㆍ음절적인 원리를 갖음으로써 상당히 규칙적이였으나, 16세기에 오면서 이러한 중세국어 표기법은 음소적, 음절적 원리에 어긋나게 되었고, 어두합용병서와 종성\'ㅅ, ㄷ\'의 혼란이 야기되었으며, 모음과 모음 사이의 \'ㄹ-ㄹ\'과 \'ㄹ-ㄴ\'의 혼란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국어표기법은 현대국어의 개화기로 접어들게 되는데, 개화기 표기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국한문체와 국문체의 갈등, 문자와 표기의 극단적인 혼란, 국문연구의 10의제, 현대국어 정서법의 이론체계의 기반 확립, 언문철자법의 등장 등을 들 수 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통해 현대국어 정서법이 정확한 규정 아래 완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표준말을 어법에 맞도록 소리나는 대로 적고,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쓰기를 하며, 토는 웃말에 붙여쓴다는 원칙을 갖고 표의주의를 내세웠다.
다음으로 제정된 「한글맞춤법」은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사용해 오면서 야기된 문제점을 보완ㆍ수정한 현대의 국어 표기법의 근거를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살펴 본 국어표기법의 변천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 선조들은 끊임없이 우리 나라 고유의 언어를 표기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마침내 한글을 창조하게 되었다.
요즘 우리 나라의 언어생활은 국한영문체의 혼합과 외래어의 지나친 사용으로 다소 한글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우리 글을 널리 사용하며, 나아가 전세계에 알리는 노력과 연구를 거듭하여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ㆍ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ㆍ장소운외(1999), 「국어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ㆍ이기문(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ㆍ _ (1963), 「국어표기법의 변천사 연구」, 한국연구원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원리는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데, 여기서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또한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쓰되, 토는 그 웃말에 붙여쓴다는 것이다.
3. 한글 맞춤법
현행 「한글맞춤법」은 1933년 10월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과 내용에 있어서 크게 달라진 것은 없고 통일안이 제정ㆍ공포된 지 50여 년이 지나는 동안에 일어난 변화와 그것을 사용하면서 제기되었던 문제점들을 수용하여 약간의 수정을 한 것이다. 이 맞춤법은 교육부에서 심의ㆍ제정하여 1989년 3월1일부터 쓰기로 한 것이다.
Ⅴ. 結 論
우리말 표기법은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크게 훈민정음 창제이전의 借字表記法, 훈민정음 이후의 중세국어 표기법과 근대국어 표기법, 현대국어 표기법으로 구분하여 변천되어왔다.
한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이래로 그 한자를 이용하여 국어를 문자로 기록하려는 노력은 차자표기법의 고유명사 표기, 서기체, 이두, 구결, 향찰 등의 순서로 계속되어왔지만 이것은 결코 완전한 국어 표기로는 성립될 수 없었다. 특히 지배계층에서는 중국에 대한 지식이 보편화됨에 따라 차자 표기법보다는 한문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입으로는 국어를 말하면서도 글을 쓸 때는 한문을 쓰는 기형적인 이중언어생활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言文二致의 기형적 언어생활은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까지 계속되어졌다.
그러나 훈민정음의 창제로 국어표기법은 비로소 완전하고도 전면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어 文言二致의 생활을 청산하고 말을 그대로 글로 옮길 수 있는 文言一致가 가능해졌다.
이와 같이 훈민정음의 창제로 15세기의 표기법은 음소적ㆍ음절적인 원리를 갖음으로써 상당히 규칙적이였으나, 16세기에 오면서 이러한 중세국어 표기법은 음소적, 음절적 원리에 어긋나게 되었고, 어두합용병서와 종성\'ㅅ, ㄷ\'의 혼란이 야기되었으며, 모음과 모음 사이의 \'ㄹ-ㄹ\'과 \'ㄹ-ㄴ\'의 혼란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국어표기법은 현대국어의 개화기로 접어들게 되는데, 개화기 표기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국한문체와 국문체의 갈등, 문자와 표기의 극단적인 혼란, 국문연구의 10의제, 현대국어 정서법의 이론체계의 기반 확립, 언문철자법의 등장 등을 들 수 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통해 현대국어 정서법이 정확한 규정 아래 완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표준말을 어법에 맞도록 소리나는 대로 적고,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쓰기를 하며, 토는 웃말에 붙여쓴다는 원칙을 갖고 표의주의를 내세웠다.
다음으로 제정된 「한글맞춤법」은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사용해 오면서 야기된 문제점을 보완ㆍ수정한 현대의 국어 표기법의 근거를 제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살펴 본 국어표기법의 변천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 선조들은 끊임없이 우리 나라 고유의 언어를 표기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마침내 한글을 창조하게 되었다.
요즘 우리 나라의 언어생활은 국한영문체의 혼합과 외래어의 지나친 사용으로 다소 한글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우리의 과제는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우리 글을 널리 사용하며, 나아가 전세계에 알리는 노력과 연구를 거듭하여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ㆍ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ㆍ장소운외(1999), 「국어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ㆍ이기문(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ㆍ _ (1963), 「국어표기법의 변천사 연구」, 한국연구원
추천자료
향찰과 향가
남북언어차이 과연 어떻게 볼것인가?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
개화기 어문정리 운동
한국어와 어문 규정
현대 한국의 문자생활에 대해
不規則用言(불규칙용언)에 關한 考察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E형(한글맞춤법)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특성과 음성문자체계,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 로마자표...
『용비어천가』연구- 서지학적·언어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훈민정음의 이해
『번역노걸대』의 16세기 음운체계
우리말의 어문실태 보고서
[국문학개론] 한국, 베트남어 대비를 통한 문법 교육,한국어 문법 교육 현황, 한국어,베트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