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학기 글과생각 출석수업대체시험 핵심체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2부 옛글과의 교유

제6강 사람을 평(評)하다
제7강 죽은 이를 그리다
제8강 묻고 답하다
제9강 빗대어 말하다
제10강 시(詩)에 실어 말하다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2부 옛글과의 교유

제6장 사람을 평하다

1. 최칠칠전/남공철
1) 최칠칠전에 관하여
① 조선후기의 화가 최북에 대한 전임
② 전은 사관이 역사편찬을 위해 지은 것인가, 또는 문인이 창작 동기에 의해 지은 것인가에 따라 사전(史傳)과 사전(私傳)으로 나뉨
③ 김부식의 온달전이 사전이라면 남공철의 이글은 사전에 해당함
④ 역사서에 수록할 것이 아니었으므로 표현기교라든가 작품을 구상하는 일화 선택의 폭이 더 넓음
⑤ 최북은 예술적 자의식이 강하여 자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림을 그리지 않았을뿐더러 그림 청탁자에게 목욕을 주는 일도 서슴지 않은 이로 유명함
⑥ 최북의 출생과 일생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시간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최북과 관련한 유명한 일화 몇 가지를 들어 최북의 면모를 확연히 드러내도록 한 글임

2. 온달전/김부식
1) 온달전에 관하여
① 온달의 일생을 서술한 전임
② 전은 한 인물의 행적이 사라져 버려 세상에서 그가 잊힐 것을 대비해 짓는 글임
③ 사람의 일생을 기술하는 문체에는 전장류와 비지류가 있는데, 전은 이 가운데 전장류에 속함
④ 전장류는 전과 행장을 아울러 칭하는 말임
⑤ 전이 어떤 인물의 생애에 대해 특징적인 면모에 주목하여 기술하는 것이라면, 행장은 한 인물의 생애를 자세하면서도 평면적으로 기술하는 것임
⑥ 비지류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묘지명인데 모두 사람의 일생을 서술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작가 스스로의 창작 동기에 의해 짓는 전과 달리 묘지명은 주로 청탁에 의해 지어졌음
⑦ 이 글은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되어 있는데, 본래 사관이 짓는 사서의 전은 공업을 중심으로 하여 인물에 대한 포폄이 이루어지는데, 이글은 사서에 수록되어 있으면서도 객관적인 공업을 기술하지 않고 설화적인 모티프에 기대지었다는 점이 주목됨
⑧ 바보 온달과 장군 온달을 대비적으로 제시하고, 그 사이에 평강공주를 매개로 한 서사를 전개하였을 뿐 문장을 꾸미는데 힘쓰지 않아 오히려 장중한 느낌을 줌


< 6장 출제예상문제 >

1. 다음 중 온달전의 분류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① 전장류
② 비지류
③ 묘비류
④ 서사류

[해설] 사람의 일생을 기술하는 문체에는 전장류와 비지류가 있는데, 온달전은 이 가운데 전장류에 속한다.
[정답] 1



- 중략 -
  • 가격10,400
  • 페이지수13페이지
  • 학년/학기1학년/1학기
  • 해당자료학과국어국문학과
  • 자료출간일2025.04.25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2474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