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서론
B. 비고스키의 주요 개념과 사상
( 발달에 대한 비고스키의 접근 )
1.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인지
2. 언어의 중요성
3. 근접 발달 지역
4. 어린이들의 혼잣말
C. 아동의 인지 발달을 위한 교육상황에의 적용
1. 교사와 아동의 의견 나누기
○교사 역할의 중요성
○토론식 수업방식
○아동의 흥미유발
○학습의 일원으로서의 교사
○구체적인 교사의 역할
2. 아동과 아동간의 협력
○협동학습의 중요성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촉진하는 요인들
○협동학습을 위한 외적 보상의 필요 여부
○혼합 연령 집단
3. 평가의 중요성
○유아의 학습 잠재력 예측 평가
○사회적 비계를 설정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의 구성
○장기적 비계 설정
4. 장애아 교육
○<참고> 교사-아동 나누기 지도를 위한 비고스키 이론에 기초한 원칙들
D. 결론
B. 비고스키의 주요 개념과 사상
( 발달에 대한 비고스키의 접근 )
1.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인지
2. 언어의 중요성
3. 근접 발달 지역
4. 어린이들의 혼잣말
C. 아동의 인지 발달을 위한 교육상황에의 적용
1. 교사와 아동의 의견 나누기
○교사 역할의 중요성
○토론식 수업방식
○아동의 흥미유발
○학습의 일원으로서의 교사
○구체적인 교사의 역할
2. 아동과 아동간의 협력
○협동학습의 중요성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촉진하는 요인들
○협동학습을 위한 외적 보상의 필요 여부
○혼합 연령 집단
3. 평가의 중요성
○유아의 학습 잠재력 예측 평가
○사회적 비계를 설정
○협동학습을 위한 소집단의 구성
○장기적 비계 설정
4. 장애아 교육
○<참고> 교사-아동 나누기 지도를 위한 비고스키 이론에 기초한 원칙들
D. 결론
본문내용
, 이는 언어숙달이 안되고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을 못하기 때문이다.
그는 결함있는 감각을 대신할 다른 감각기능을 개발할 것이 아니라-장님에게 청각훈련을 시키듯이-다른 의사소통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보상될 수 있다고 믿었다. 가령 장님은 점자를, 청각장애인에게는 독순법을, 벙어리는 수화법을 사용하여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는 정신기능 발달에 필수인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을 그들에게도 보장할 수 있도록 특별한 심리적 도구(예를 들어 점자법, 독순법, 수화법)의 개발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들어 마비된 사람을 위해서 호흡을 이용하여 컴퓨터 자판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그러한 도구개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참고> 교사-아동 나누기 지도를 위한 비고스키 이론에 기초한 원칙들
1. 학습 상황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지식, 능력, 흥미, 태도, 문화적 가치와 관습 등에 민감하라.
2. 상호작용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진하는 영역에 기초한(center-based) 활동들을 제공하라.
3. 다른 해결 방안이나 전략들을 인정해 주고 증진시켜라.
4. 유아들이 현재 기술들에 도전하고 발전시키는 그들의 근접 발달 지역 내에서 과제를 시도하도록 격려하라.
5. 고등 수준의 사고에 참여하고 모델링하기 위한 기회를 많이 제공하라.
6. 의사 소통을 풍부히 하라- 유아들에게 학급 활동과 경험들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들에게도 그들의 생각을 설명하고 정당화하게 하라.
7. 교수를 계획하고 관찰하기 위해 유아들의 근접 발달 지역들에 대한 현장 평가를 활용하라.
(Jones & Thornton 1993, 27에서 인용)
D. 결론
비고스키의 사상은 교육에 관여하는 아동,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국가 등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큰 시사점을 안겨 준다. 우리는 아동의 적극적인 학습에의 참여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발판을 마련해야 할 교사 또는 부모의 중요성, 또한 그러한 안내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해야 할 지역사회와 국가의 중요성들을 깨달아야만 한다.
그의 사상이 완벽한 교육적 체계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비고스키가 우리에게 이야기하는 바는 명백하다. 아동과 교사, 부모, 아동과 아동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있을 때에 아동의 학습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아동의 학습을 극대화 될 수 있는 상황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계획을 꾸준히 연구해야 할 것이다. 위의 본론에서 언급하였던 토론식, 상호 교수식 수업 방식이나 아동의 흥미유발을 위한 교수 계획의 수립, 또한 아동의 학습에의 안내자, 지지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진정한 평가자로서의 역할도 감당해 내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들 간의 상호 협력관계를 통한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혼합 연령 집단과 같은 아동끼리의 상호 작용을 통한 학습의 극대화를 꾀할 수도 있어야 겠다. 아동과 아동은 서로 경쟁하는 사이가 아니라 서로의 학습에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는 또 하나의 훌륭한 비계 설정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효과적인 비계 설정을 위해 교사는 조금 수고스럽더라도 단순한 고전적 평가 방식을 벗어나 아동의 진정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일회적 비계 설정이 아닌 아동의 인지적 성장을 위한 장기적인 비계설정도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다.
사실, 비고스키의 여러 가지 이론들이 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에는 한계점들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효과적인 비계설정과 협동학습 등을 위해서는 소규모의 학급 편성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현실성이 없다고 해서 모든 교육적 시사점들이 쓸모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본론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교육적 방향들을 참고하여 진정으로 아동의 학습-learning이 아닌 acquisition-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사회 속의 정신 :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 L. S. Vygotsky 지음 ; M. Cole 외 엮음 ; 조희숙 외 옮김, 서울 : 星苑社, 1994
2.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scaffolding) :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 Laura E. Berk, Adam Winsler 著 ; 홍용희 譯. 서울 : 창지사, 1995.
報告書
그는 결함있는 감각을 대신할 다른 감각기능을 개발할 것이 아니라-장님에게 청각훈련을 시키듯이-다른 의사소통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보상될 수 있다고 믿었다. 가령 장님은 점자를, 청각장애인에게는 독순법을, 벙어리는 수화법을 사용하여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는 정신기능 발달에 필수인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을 그들에게도 보장할 수 있도록 특별한 심리적 도구(예를 들어 점자법, 독순법, 수화법)의 개발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들어 마비된 사람을 위해서 호흡을 이용하여 컴퓨터 자판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그러한 도구개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참고> 교사-아동 나누기 지도를 위한 비고스키 이론에 기초한 원칙들
1. 학습 상황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지식, 능력, 흥미, 태도, 문화적 가치와 관습 등에 민감하라.
2. 상호작용적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진하는 영역에 기초한(center-based) 활동들을 제공하라.
3. 다른 해결 방안이나 전략들을 인정해 주고 증진시켜라.
4. 유아들이 현재 기술들에 도전하고 발전시키는 그들의 근접 발달 지역 내에서 과제를 시도하도록 격려하라.
5. 고등 수준의 사고에 참여하고 모델링하기 위한 기회를 많이 제공하라.
6. 의사 소통을 풍부히 하라- 유아들에게 학급 활동과 경험들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들에게도 그들의 생각을 설명하고 정당화하게 하라.
7. 교수를 계획하고 관찰하기 위해 유아들의 근접 발달 지역들에 대한 현장 평가를 활용하라.
(Jones & Thornton 1993, 27에서 인용)
D. 결론
비고스키의 사상은 교육에 관여하는 아동,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 국가 등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큰 시사점을 안겨 준다. 우리는 아동의 적극적인 학습에의 참여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발판을 마련해야 할 교사 또는 부모의 중요성, 또한 그러한 안내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해야 할 지역사회와 국가의 중요성들을 깨달아야만 한다.
그의 사상이 완벽한 교육적 체계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비고스키가 우리에게 이야기하는 바는 명백하다. 아동과 교사, 부모, 아동과 아동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이 있을 때에 아동의 학습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아동의 학습을 극대화 될 수 있는 상황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계획을 꾸준히 연구해야 할 것이다. 위의 본론에서 언급하였던 토론식, 상호 교수식 수업 방식이나 아동의 흥미유발을 위한 교수 계획의 수립, 또한 아동의 학습에의 안내자, 지지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진정한 평가자로서의 역할도 감당해 내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들 간의 상호 협력관계를 통한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혼합 연령 집단과 같은 아동끼리의 상호 작용을 통한 학습의 극대화를 꾀할 수도 있어야 겠다. 아동과 아동은 서로 경쟁하는 사이가 아니라 서로의 학습에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는 또 하나의 훌륭한 비계 설정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하여, 효과적인 비계 설정을 위해 교사는 조금 수고스럽더라도 단순한 고전적 평가 방식을 벗어나 아동의 진정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한 일회적 비계 설정이 아닌 아동의 인지적 성장을 위한 장기적인 비계설정도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다.
사실, 비고스키의 여러 가지 이론들이 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에는 한계점들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효과적인 비계설정과 협동학습 등을 위해서는 소규모의 학급 편성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현실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현실성이 없다고 해서 모든 교육적 시사점들이 쓸모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본론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교육적 방향들을 참고하여 진정으로 아동의 학습-learning이 아닌 acquisition-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사회 속의 정신 :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 L. S. Vygotsky 지음 ; M. Cole 외 엮음 ; 조희숙 외 옮김, 서울 : 星苑社, 1994
2.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scaffolding) : 비고스키와 유아교육 / Laura E. Berk, Adam Winsler 著 ; 홍용희 譯. 서울 : 창지사, 1995.
報告書
추천자료
피아제와 비고스키의 구성주의적 인식론 비교
비고스키(Vygotsky)의 이론에 대한 자료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심리학 키워드 정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설명 및 두이론의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영유아 교육에 미친 시...
피아제, 비고츠키 이론 비교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설명 및 두이론의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영유아 교육에 미친 시사점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개념)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 구성주의와 문화맥락주의
영유아교육프로그램- 구성주의호원대부속유치원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 이론 비교 분석(방...
아동수학교육에 대한 각 학자들의 이론을 정리해 보고 한 가지 이론에 근거한 실제 아동수학...
유아의 긁적거리기 행동의 중요성을 유아의 쓰기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논의하시오.
[교육과정 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