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원문
현대어역
시어 및 시구풀이
가시리 배경설화에 대한 견해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뜻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기능
가시리를 고려가요로 보는 이유
고려 속요로서「가시리」의 전승과정
현대어역
시어 및 시구풀이
가시리 배경설화에 대한 견해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뜻
가시리의 후렴구 '위 증즐가 대평성대'의 기능
가시리를 고려가요로 보는 이유
고려 속요로서「가시리」의 전승과정
본문내용
한다. 민요로서의 이 작품은 남녀간의 이별의 정한(情恨)을 노래한 것이 주제가 된다. 그러나 이 노래를 궁중의 속악가사로 이해하면 작품의 주제는 임금의 총애를 잃지 않으려는 신하의 애틋한 충정을 표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여기서 서정 자아는 여염의 여인에서 궁중의 신하로 바뀌고,「님」의 상징적 의미도 여염의 남정네에서 임금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하여 태평성대를 노래하는 후렴구의 반복과 조화되어 작품 자체의 비극적 정조는 소멸된다. 동시에, 궁중의 호화로운 잔치 분위기에서 임금과 그를 둘러싼 간신들의 유락적·퇴폐적인 성조( 聲調 )로 바뀌면서, 고려 후기의 궁중 음악으로 채택된 뒤 조선 중기까지 연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민요로서의 이 노래의 원 모습은 후렴구와 투식어를 제외하면 그것의 대체적인 형태가 드러난다. 이로써 볼 때 이 노래는 4구를 1연으로 하는 2연 형태의 민요격 향가인 〈 처용가 〉 와 맥이 닿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의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① 연장체로 된 점, ② 연마다 후렴구가 붙는 점, ③ 3음보격의 율격구조로 짜여 있는 점 등을 갖춤으로써 전형적인 속요의 양식을 보이게 되었다. 결국 이 노래도 다른 속요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승민요 사설을 새로 들여온 궁중음악의 가락에 맞추어 재구성함으로써 현재 전하는 형태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광순- 국문학 개론 2003
·박병채-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1994
·정혜원- 한국 고전시가의 내면 미학 2001
·최철-고려국어가요의 해석 1996
·양태순-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1997
민요로서의 이 노래의 원 모습은 후렴구와 투식어를 제외하면 그것의 대체적인 형태가 드러난다. 이로써 볼 때 이 노래는 4구를 1연으로 하는 2연 형태의 민요격 향가인 〈 처용가 〉 와 맥이 닿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의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① 연장체로 된 점, ② 연마다 후렴구가 붙는 점, ③ 3음보격의 율격구조로 짜여 있는 점 등을 갖춤으로써 전형적인 속요의 양식을 보이게 되었다. 결국 이 노래도 다른 속요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승민요 사설을 새로 들여온 궁중음악의 가락에 맞추어 재구성함으로써 현재 전하는 형태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광순- 국문학 개론 2003
·박병채- 새로고친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1994
·정혜원- 한국 고전시가의 내면 미학 2001
·최철-고려국어가요의 해석 1996
·양태순-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1997
추천자료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
남북한고려가요
고려가요 <가시리>의 민요로서의 ‘한’과 궁중 속악가사로서의 ‘한’의 변화 양상 연구
고려가요의 주요작품 소개 및 논의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유래와 배경설화,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원문, 고려가요...
[고려속요][고려가요][처용가]고려속요(고려가요) 처용가의 배경설화, 고려속요(고려가요) 처...
[향가계 고려가요][정과정][향가][고려가요][정과정 해석]향가계 고려가요 정과정의 원문과 ...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작품해제,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원문과 해독, 향가계 고...
처용가(고려가요, 고려속요)의 성격, 처용가(고려가요, 고려속요)의 형성과정과 처용가(고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