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속(巫俗)과 무가
2. 무가의 역사적 전개
3. 무가의 특성
4. 무가의 갈래
5. 무가의 전승원리와 구연방식
6.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2. 무가의 역사적 전개
3. 무가의 특성
4. 무가의 갈래
5. 무가의 전승원리와 구연방식
6.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1. 무속(巫俗)과 무가
-무가의 정의 : 무당이 무속 의례를 진행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당이 굿이나 독경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가의 복합적인 성격: 실제로는 노래가 아닌 말로 구연되는 부분, 행위와 대사로 표현되는 부분도 있음
-무당: 무가의 가창자. 무속의례를 주재(主宰)하는 사람. 원래는 여자만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며 남자에 대해서는 격(覡)이라는 말이 사용. 오늘날에도 여자무당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1)무당의 유형
무속의례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문학적 성격을 고려 강신무(降神巫), 세습무(世襲巫). 독경무(讀經巫)로 분류.
(1)강신무
-중략-
2. 무가의 역사적 전개
①외래종교 유입되기 전 제정일치 사회
;나라 단위의 굿을 주재, 역사를 구비시로 노래
②신라 남해왕 때 제정분리(삼국사기)
;제사는 시조묘에서,
왕가의 여인이 사제가 되어 행한 국가적 공식제전인 나라굿이었음
③불교의 유입(무·불습합기)
;불교로 인해 나라굿, 무당의 신분 격하
개인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개인 중심으로 제화초복 제의로 전환(신라말,8세기경)
처용가가 대표적인 무가 자료
④성리학의 유입
;무속이 한층 더 기층화, 무당 신분 격하
악함궤범의 고려 처용가는 한글로 된 최초의 무가자료
⑤1920년대
;학술적 가치로 인식하고 무가자료를 본격적으로 수집, 조사하기 시작
-중략
-무가의 정의 : 무당이 무속 의례를 진행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당이 굿이나 독경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무가의 복합적인 성격: 실제로는 노래가 아닌 말로 구연되는 부분, 행위와 대사로 표현되는 부분도 있음
-무당: 무가의 가창자. 무속의례를 주재(主宰)하는 사람. 원래는 여자만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며 남자에 대해서는 격(覡)이라는 말이 사용. 오늘날에도 여자무당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1)무당의 유형
무속의례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문학적 성격을 고려 강신무(降神巫), 세습무(世襲巫). 독경무(讀經巫)로 분류.
(1)강신무
-중략-
2. 무가의 역사적 전개
①외래종교 유입되기 전 제정일치 사회
;나라 단위의 굿을 주재, 역사를 구비시로 노래
②신라 남해왕 때 제정분리(삼국사기)
;제사는 시조묘에서,
왕가의 여인이 사제가 되어 행한 국가적 공식제전인 나라굿이었음
③불교의 유입(무·불습합기)
;불교로 인해 나라굿, 무당의 신분 격하
개인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개인 중심으로 제화초복 제의로 전환(신라말,8세기경)
처용가가 대표적인 무가 자료
④성리학의 유입
;무속이 한층 더 기층화, 무당 신분 격하
악함궤범의 고려 처용가는 한글로 된 최초의 무가자료
⑤1920년대
;학술적 가치로 인식하고 무가자료를 본격적으로 수집, 조사하기 시작
-중략
키워드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한국문학의 이해, 민요와 무가 연구
한국의 전통문학, 무가 연구
중세문학(속악가사, 설화, 무가, 연극)에 대해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바리공주 -바리공주와 서사무가-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사적 전개, 민족문학론, 고전시가, 한국무가, 한국민요, 한국신화]민족문학론의 사적 전개, ...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문학] 신화와 무가의 합작 ‘천지개벽 (天地開闢)’
[고전 문학 작품과 재창조된 문학의 분석][바리데기 무가와 바리데기의 여행노래]
[고전문학개론] 무가(巫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