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은 모두 타자에 대한 긍정이자, 타자와 자신의 합일 사상이라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군대는 기본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부정을 실천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군대에서 훈련하는 주된 내용은 적을 효율적으로 죽이는 방법, 즉 부정하는 것이고, 궁극적인 목적은 전쟁 수행을 통한 승리일 것이다. 평시 작전권은 한국에 있음에도 전시 작전권이 미국에 있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군대는 기본적으로 전쟁이 일어났을 때 의미가 있는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위의 군승의 말처럼 살상훈련을 하는 군인들에게 수계를 내리며 포교를 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겠는가? 그들은 불살생계를 맹세함과 동시에 살생을 위한 훈련을 해야하는 사람들이기에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즉, 불교는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군대를 인정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질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나오기 까지는 불교내부가 권력과 친밀함을 가졌기 때문이고 종교의 친사회적인 성격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불과 몇 년전까지 만해도 많은 사찰들에서는 호국법회가 심심치 않게 벌어졌었고, 독재자가 몸을 피했던 곳도 국내 유명 사찰이었다. 이는 불교가 세속과의 관계를 권력친화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세속적인 생각을 담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권력의 최고 보위대인 군대를 부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심재룡은 이러한 원인으로 수행의 부족을 들었다.
) 심재룡, 「한국선, 무엇이 문제인가」『불교평론 2000년 봄호』
수행이 부족하므로 세속과의 인연을 끊기 힘들고 결국에는 권력과 돈과 같은 세속적인 문제에 빠져들고 만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조계종 사태와 같은 것들이다.
5. 나오며
"한국 불자들의 반전, 반군부 운동은 과연 존재하는가? 한국의 불자들은 군승의 역할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군승과 경승은 기독교의 공격적인 개종활동을 상쇄하기 위해 존재하는가 아니면 폭력과 전쟁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있는가? 한국 불자들은 다른 불교국가의 평화운동 주창자들과 대화를 한 적이 있는가?"
) 프랭크 테데스코 「새천년 한국불교의 도전과 비전」『불교비평 2000년 봄호』
위와 같은 질문을 2000년 한국불교는 분명히 들었을 것이다. 한국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달리 불교적 전통을 소중하게 잘 보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속적인 모습, 친 권력적인 모습이 한국불교 현실에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불교, 선은 타자에 대한 긍정, 곧 타자를 내몸과 같이 여기는 것이고 함께 깨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여기에 민족, 국가는 그 어디에도 위치를 차지할 수 없다. 다만 좀 더 좋은 곳을 향해가는 찾아가는 의미에서 불국토, 정법 등만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모두가 부처이고 부처가 될 수 있는 자질이 있는데 누가 누구를 부정할 수 있을 것인가? 불살생계는 자비의 실천임과 동시에 불교 혹은 선불교라는 틀을 지탱하는 하나의 큰 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외국 불자가 하는 말을 한국불교는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성배, 『깨침과 깨달음』, 예문서원, 2002
야나기다 세이쟌, 『선과 일본문화』,불광출판부 1995
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 2002
심재룡, 「한국선, 무엇이 문제인가」『불교평론 2000년 봄호』
프랭크 테데스코 「새천년 한국불교의 도전과 비전」『불교비평 2000년 봄호』
이재수 「불교의 불살생계 입장에서 본 국방의 문제」『불교평론 2002년 10호』,재인용
오태양·박노자 「폭력을 거부하는 마음은 인간의 동심이자 본심이다」『당대비평 2002년 여름호』
기타 인터넷 자료
이러한 문제가 나오기 까지는 불교내부가 권력과 친밀함을 가졌기 때문이고 종교의 친사회적인 성격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불과 몇 년전까지 만해도 많은 사찰들에서는 호국법회가 심심치 않게 벌어졌었고, 독재자가 몸을 피했던 곳도 국내 유명 사찰이었다. 이는 불교가 세속과의 관계를 권력친화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세속적인 생각을 담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권력의 최고 보위대인 군대를 부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심재룡은 이러한 원인으로 수행의 부족을 들었다.
) 심재룡, 「한국선, 무엇이 문제인가」『불교평론 2000년 봄호』
수행이 부족하므로 세속과의 인연을 끊기 힘들고 결국에는 권력과 돈과 같은 세속적인 문제에 빠져들고 만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조계종 사태와 같은 것들이다.
5. 나오며
"한국 불자들의 반전, 반군부 운동은 과연 존재하는가? 한국의 불자들은 군승의 역할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군승과 경승은 기독교의 공격적인 개종활동을 상쇄하기 위해 존재하는가 아니면 폭력과 전쟁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있는가? 한국 불자들은 다른 불교국가의 평화운동 주창자들과 대화를 한 적이 있는가?"
) 프랭크 테데스코 「새천년 한국불교의 도전과 비전」『불교비평 2000년 봄호』
위와 같은 질문을 2000년 한국불교는 분명히 들었을 것이다. 한국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달리 불교적 전통을 소중하게 잘 보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속적인 모습, 친 권력적인 모습이 한국불교 현실에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불교, 선은 타자에 대한 긍정, 곧 타자를 내몸과 같이 여기는 것이고 함께 깨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여기에 민족, 국가는 그 어디에도 위치를 차지할 수 없다. 다만 좀 더 좋은 곳을 향해가는 찾아가는 의미에서 불국토, 정법 등만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모두가 부처이고 부처가 될 수 있는 자질이 있는데 누가 누구를 부정할 수 있을 것인가? 불살생계는 자비의 실천임과 동시에 불교 혹은 선불교라는 틀을 지탱하는 하나의 큰 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외국 불자가 하는 말을 한국불교는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성배, 『깨침과 깨달음』, 예문서원, 2002
야나기다 세이쟌, 『선과 일본문화』,불광출판부 1995
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 2002
심재룡, 「한국선, 무엇이 문제인가」『불교평론 2000년 봄호』
프랭크 테데스코 「새천년 한국불교의 도전과 비전」『불교비평 2000년 봄호』
이재수 「불교의 불살생계 입장에서 본 국방의 문제」『불교평론 2002년 10호』,재인용
오태양·박노자 「폭력을 거부하는 마음은 인간의 동심이자 본심이다」『당대비평 2002년 여름호』
기타 인터넷 자료
추천자료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불교의 민간전승 - 민간신앙의 불교 토착화를 중심으로
불교 이론의 발전,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
[불교학]대승불교-대승기신론-대승불교의 특징
[진리][붓다(부처) 진리][선불교 진리][원불교 일원상진리][소태산 대종사 일원상 진리]붓다(...
[윤리][불교 윤리][기독교 윤리][유교 윤리][유대교 윤리][이슬람교 윤리]불교 윤리, 기독교 ...
[불교][미술][조각][공예][건축][불교미술][불교조각][불교공예][불교건축]불교미술, 불교조...
[불교미술][불교미술의 분류][불교미술의 특징][불교미술의 전개][불교미술의 기능][불교미술...
[고려사원][불교사원][고려사원의 경제][고려사원의 촌락][고려사원의 건축][고구려 백제 신...
[불교, 불교와 선종, 불교와 힌두교, 불교와 향가, 불교와 불구, 삼국시대, 청소년비행, 노인...
[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 개념, 불교불상 종류, 불교불상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 표...
[불교용어, 보시, 열반, 여래십호, 종송, 석등, 도솔천, 간단예불]불교용어와 보시, 불교용어...
[한국불교][한국불교 역사][한국불교 인물][한국불교 종파난립][한국불교 예불]한국불교의 특...
불교佛敎와 인간 기말고사 과제-불교 관련 도서를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