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요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1) 정의
(2) 호탄력도(arc elasticity)와 점탄력도(point elasticity)
(3) 수요의 탄력도와 가계지출액
(4) 수요의 가격탄력도의 결정요인
2. 수요의 소득탄력도와 교차탄력도
(1) 수요의 소득탄력도(income elasticity of demand)
(2) 수요의 교차탄력도 (cross elasticity of demand)
=============================================================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1) 정의
(2) 호탄력도(arc elasticity)와 점탄력도(point elasticity)
(3) 수요의 탄력도와 가계지출액
(4) 수요의 가격탄력도의 결정요인
2. 수요의 소득탄력도와 교차탄력도
(1) 수요의 소득탄력도(income elasticity of demand)
(2) 수요의 교차탄력도 (cross elasticity of demand)
=============================================================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본문내용
r {Z재의~수요량의~ 변화율 } = { { TRIANGLE Q_X^D} over {Q_X^D }} over { { TRIANGLE P_Z} over {P_Z } } = { { TRIANGLE Q_Z^D} over { TRIANGLE P_Z}} cdot { P_Z} over {Q_Z^D }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대체재.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보완재.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독립재.
제2절 공급의 탄력도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 정의
가격의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의 정도를 측정.
epsilon_s= LEFT | { 공급량의~변화율} over {가격의~ 변화율 } RIGHT |= LEFT | { { TRIANGLE Q^S} over {Q^S }} over { { TRIANGLE P} over {P } } RIGHT | =LEFT |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RIGHT |cdot { P} over {Q^S }
가격의 1%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를 의미.
호탄력도와 점탄력도.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1) 탄력적인 공급함수
P
S
C
P_2
B
P_1
D
A prime
A
O
M
T
Q_S
epsilon_s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cdot { P} over {Q^S } = { BD} over {CD } { BM} over {OM } = { AM} over {BM } { BM} over {OM } ={ AM} over {OM } >1
2) 비탄력적인 공급함수
P
S
C
P_2
B
P_1
D
O
A
M
T
Q_S
epsilon_s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cdot { P} over {Q^S } = { BD} over {CD } { BM} over {OM } = { AM} over {BM } { BM} over {OM } ={ AM} over {OM } <1
*예외적인 경우
epsilon_S =0
P
epsilon_S =1
P_0
epsilon_s =inf
O
Q^S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각점에서 접선을 그어서 구한다.
P
S
E
E^ prime
O
Q^S
E
: 비탄력적,
E^prime
:탄력적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대체재.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보완재.
epsilon_d,XZ =0
이면,
X와~Z
는 독립재.
제2절 공급의 탄력도
1. 공급의 가격탄력도(price elasticity of demand)
* 정의
가격의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의 정도를 측정.
epsilon_s= LEFT | { 공급량의~변화율} over {가격의~ 변화율 } RIGHT |= LEFT | { { TRIANGLE Q^S} over {Q^S }} over { { TRIANGLE P} over {P } } RIGHT | =LEFT |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RIGHT |cdot { P} over {Q^S }
가격의 1%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를 의미.
호탄력도와 점탄력도.
2. 공급의 탄력도의 크기
(1) 선형 공급함수의 경우.
1) 탄력적인 공급함수
P
S
C
P_2
B
P_1
D
A prime
A
O
M
T
Q_S
epsilon_s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cdot { P} over {Q^S } = { BD} over {CD } { BM} over {OM } = { AM} over {BM } { BM} over {OM } ={ AM} over {OM } >1
2) 비탄력적인 공급함수
P
S
C
P_2
B
P_1
D
O
A
M
T
Q_S
epsilon_s =
{ TRIANGLE Q^S} over { TRIANGLE P}} cdot { P} over {Q^S } = { BD} over {CD } { BM} over {OM } = { AM} over {BM } { BM} over {OM } ={ AM} over {OM } <1
*예외적인 경우
epsilon_S =0
P
epsilon_S =1
P_0
epsilon_s =inf
O
Q^S
(2) 비선형 공급함수의 탄력도
각점에서 접선을 그어서 구한다.
P
S
E
E^ prime
O
Q^S
E
: 비탄력적,
E^prime
:탄력적
추천자료
강남지역 집중화현상에 관하여(아파트 수요를 통하여)
<조세가 수요자. 생산자에게 미치는 효과>
[교육정책론] 수요자 중심교육에 대해서
SCM(공급사슬관리) 개념,발달과정, SCM(공급사슬관리) 중요성, SCM(공급사슬관리) 프로젝트 ...
[SCM]SCM(공급사슬관리)의 정의, SCM(공급사슬관리)의 필요성, SCM(공급사슬관리)의 구축단계...
4년제 대학의 교육수요 전망
총공곱, 총수요함수, IS-LM모형
[주택계획][주택공급]주택계획의 목표, 주택계획의 기본방향, 주택계획의 수립방향, 주택공급...
주택법 상의 주택의 분류를 설명하고 197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에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급이 ...
Managing Capacity and Demand (수요관리 전략 조사)
국내 전력 수급량 수요예측
공급사슬관리의 최신 경향에 대해 조사
사회복지행정론_우리나라는 복지체감도를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전달체계를 구축하...
(물류관리 공통) 수요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의 재고관리 방식에 대해 간략히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