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방송시대에 지역방송의 활성화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성방송시대에 지역방송의 활성화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위성방송시대의 개막
가. 위성방송 사업의 개시
나. 위성방송사업자의 지상파방송 동시재송신 주장

3. 지역방송의 현실
가. 지역방송의 열악한 실태
나. 지역방송사업자의 동시재송신 불가론
다. 정부의 정책문제와 해결방안

4. 지역방송 활성화 방안
가. 재정적 차원의 방안
나. 지역방송의 자구 노력
1) 공동제작 및 공동판매망 구축
2) 방송의 권역화, 광역화 추진
3) 프로그램의 품질향상
4)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체계 확립
다. 지역 시청자 문제

5. 결론

본문내용

것이며, 동시에 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논리적인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물론 그러한 프로그램이 해당 권역을 벗어난 전국적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면 판매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부수적인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경직된 제작관행을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그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적절한 편성정책을 펼쳐서 시청자들이 지속적으로 지역방송의 자체제작 프로그램에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4)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체계 확립
위성방송사업의 시작은 기존의 방송계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데 무엇보다도 방송전문인력 시장의 문제가 그것이다. 케이블텔레비전 방송국과 지역민영방송의 개국에서 볼 수 있었던 것과 같이 방송분야의 전문인력은 그 공급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 질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왜냐하면 방송인력은 단순한 교육을 이수한 인원으로 충당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업무경험과 재교육에 의해서 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방송은 이미 시작된 무한경쟁의 시대에 슬기롭게 대처하여 그 경쟁력을 배양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인적자원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지역방송이 대학의 방송관련학과에 대한 지원을 하고, 교육과정에서 산학협동(産學協同) 체제를 이루어 현장실무에 강한 인력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턴쉽제도를 활성화하고 기존의 방송인력에 대해서는 연수나 재교육의 기회를 부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재원의 확충은 지역방송간의 효율적인 권역화, 광역화를 통해 불필요하고 중첩되는 부분의 인력을 감축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지역 시청자문제
마지막으로 지역방송의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시청자들의 관심과 애정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고 하겠다. 지역방송과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청자가 방송을 외면했을 경우 그 방송은 존재의 의미가 없는 것이다. 특히 위성방송의 지상파방송 동시재송신이 지역방송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견하는 가장 큰 이유가 우리나라 지역 시청자들의 시청형태에서 야기된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 시청자들이 네트워크의 프로그램을 지역방송의 제작물보다 선호하는 만큼 지역방송의 입지는 좁아지는 것이다. 물론 방송을 자본주의의 사회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보았을 경우 소비자의 선택은 냉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방송은 사람을 위해 존재하며 사회라는 삶의 터전을 위해 이바지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촉매(觸媒)로서 작용해야 한다는 방송의 이념을 다시 한 번 새겨 보았을 때,
) 김우룡, 《현대 방송학》(나남출판, 2002), p.62∼64.
시청자들의 관심과 애정은 지역방송의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도 큰 힘을 줄 수 있다.
5. 결론
우리나라의 방송은 케이블텔레비전 방송에 이어 위성방송시대에 접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의 지역방송은 재정, 인력, 장비, 시설 등에서 매우 열악한 현실이며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이 기존의 지상파방송을 동시재송신할 수 있게 되자 그 존립기반(存立基盤)이 흔들리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얻어 추진되었던 위성방송사업은 빈약한 기반과 미흡한 준비로 인해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는데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은 임시적 해결방안으로서 지상파방송의 동시재송신을 확대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MBC의 지역계열사와 지역민영방송사의 협의체인 지역방송 협의회는 이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문화관광부와 방송위원회의 갈등속에서 아직까지 확실한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회는 지역방송의 보호를 위해서 위성방송의 지상파방송 동시재송신을 제한하는 법안을 마련했으나 한시적인 방책(防柵)에 불과하여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방송이 지역의 구심체로 존재하면서 방송의 이념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역방송에 대한 정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한 지원은 기존의 광고시장 체계를 변화시킴으로서 가능할 것이며 이는 한국방송광고공사의 체질 개선이 수반되어야만 한다. 물론 정부의 재정적 지원 및 보호정책도 매우 중요하지만, 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지역방송사가 다양한 방면에서 자구적 해결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는 지역방송국간의 공동제작 및 공동판매망의 구축, 방송영역의 권역화와 광대화 추진, 프로그램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제반노력 그리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체계를 확립함으로서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바로 지역시청자의 관심과 애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모든 요소들이 적절하게 작용했을 때, 위성방송사업 등을 필두로 한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개막에도 지역방송이 그 경쟁력을 갖추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고, 보다 발전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우룡. 2002, 『현대 방송학』, 나남출판
김우룡, 정인숙. 2001, 『현대 매스미디어의 이해』, 나남출판
김석환. 1999,「지역민방 광역화와 지역방송 활성화 방안」,《韓國放送學報》
김응숙. 1999,「지역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및 편성과 활성화 방안」,《韓國放送學報》
전규찬. 1997,「지역방송의 제작과 편성 전략」,《放送文化》, 통권 194 호
정상윤. 2000,「지역방송 송신자 분석」,《지역방송발전정책연구 토론회 발제집》
임영호. 2002,「텔레비전 오락물에 나타난 내부 오리엔탈리즘과 지역 정체성 구성」, 《韓國言論學報》
지역방송협의회. 2002,《지역방송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특보》, 제 84 호
방송위원회. 1994,《지역방송 발전방안 연구보고서》
─────. 2001,《방송채널정책공청회 자료집》
─────. 2001,《放送委員會報》, 제 20 호
─────. 2002,「방송질서 재편과 지상파방송의 생존전략」, 《방송 21》, 제 23 호
한국방송개발원. 1998,《지역민방의 생존전략 연구》
http://www.kpf.or.kr/db/db_frame.html 「한국언론재단 매스컴 용어 대사전」
http://www.skylifecyber.co.kr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스카이 라이프 사이버센터」
http://kwanhun.com/x/report/contents.htm 「관훈클럽 2000년도 한국언론 보고서」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5.1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6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