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4용지의 비밀
2. 보온병은 왜 원기둥 모양인가?
3.바코드의 비밀
4.소주7잔
........
11.화투의 원리
2. 보온병은 왜 원기둥 모양인가?
3.바코드의 비밀
4.소주7잔
........
11.화투의 원리
본문내용
사원의 아이디어 때문이다. 7은 소수이기 때문에 2, 3, 4, 5, 6의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고 나머지가 남게 된다. 즉, 소주 1병을 두 사람이 나눠 마실 경우에는 한 사람 당 3잔씩 마시면 1잔이 남게 되고, 세 사람이 마시면 2잔씩 마시고 1잔이 남는다. 네 사람이 마시게 되면 2잔씩 마시기에 1잔이 부족하게 된다. 바로 이렇게 조금 남고 조금 부족해서 술을 마시는 사람들은 1병의 소주라도 더 시키게 된다. 7잔의 소주는 소주의 판매량을 늘릴 수 있었던 것이다. 소수의 성질은 술의 마케팅에까지 이용된다.
11. 화투의 수학적원리
만약 세사람이 고스톱을 한다면.....
고스톱의 나눠갖는 장수를 x 라 하고, 까는 장수를 y 라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세사람이 하므로 총 내는 장수를 3x, 뒤집는 장수를 3x 라하면 모두 6x가 되고
그리고 원래 깔려있는 장수는 y 이므로,
6x+y = 48
여기서 x, y 는 정수이므로
(1,42) (2,36) (3,30) (4,24) (5,18) (6,12) (7,6) 이다.
이중에서 x, y의 차가 가장 작은 것은? (7,6) 이다.
그런데 왜 (7,6)이여야 할까요?
(1,42)일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그럼 한장씩 치고 한장씩 가게 되니깐 바닥에서 최대 6장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럼 바닥에 36장이 남게 되지여....
(2,36)은 최소 24장이 남게 되지여...
(3,30)은 최소 12장이 남게되고....
(4,24)는 최소 하나도 안남겠지요...
6x + y = 48 x와 y는 자연수이기 때문에
(1, 42) (2, 36), (3,30), (4,24), (5,18), (6,12), (7,6) 라고 까지 설명했는데...
(7, 6)이 무슨 말이냐면요...
6장을깔고 7장을 낸다는말입니다.(세 사람이 각각 7장을 내면
각각 7장을 뒤집게 되므로 총 42장 이고, 애초에 깔려있던 6장을 합하면 48)
화투를 쳐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화투를 마지막까지 치면
한장의 여분도 남지 않습니다. 결국은 세 사람이 나눠가지게 되지요.
그렇게 하려면, 최소한 24장을 깔고 4장을 내야할것 같네여
그리고 (1, 42) 42장을 깔고 1장을 들고 있다가 낸다는 말이구요
(2, 36) 36장을 깔고 2장을 들고 있다가 낸다는 말이구요
그런데...이렇게 해도 게임은 되지만 아마도..
무지 재미가 없을 것입니다!!! (아무거나 내도 하나는 맞을테니까요...)
처음엔 이렇게도 해봤을지도 모르겠네여...
즉, 48장을 이용해서 게임을 가장 재밌게 하려다 보니
6장을 깔고 7장을 내는것을 선택했을 것입니다.
재미가 있어야지 하겠지요...^^
어떤일이든 흥미를 가지면 관심을 보이게 되고 이로인해 호감을 갖고 접근할 수 있듯이 흥미를 보이는 첫걸음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 첫단계를 활동수업이나 생활수학 이야기등으로 학생들이 조금이나마 수학에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수학 시간을 기다려지게 할수 있도록...저희조는 이런 점에 초점을 맞춰서 발표를 하였습니다.
11. 화투의 수학적원리
만약 세사람이 고스톱을 한다면.....
고스톱의 나눠갖는 장수를 x 라 하고, 까는 장수를 y 라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세사람이 하므로 총 내는 장수를 3x, 뒤집는 장수를 3x 라하면 모두 6x가 되고
그리고 원래 깔려있는 장수는 y 이므로,
6x+y = 48
여기서 x, y 는 정수이므로
(1,42) (2,36) (3,30) (4,24) (5,18) (6,12) (7,6) 이다.
이중에서 x, y의 차가 가장 작은 것은? (7,6) 이다.
그런데 왜 (7,6)이여야 할까요?
(1,42)일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그럼 한장씩 치고 한장씩 가게 되니깐 바닥에서 최대 6장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럼 바닥에 36장이 남게 되지여....
(2,36)은 최소 24장이 남게 되지여...
(3,30)은 최소 12장이 남게되고....
(4,24)는 최소 하나도 안남겠지요...
6x + y = 48 x와 y는 자연수이기 때문에
(1, 42) (2, 36), (3,30), (4,24), (5,18), (6,12), (7,6) 라고 까지 설명했는데...
(7, 6)이 무슨 말이냐면요...
6장을깔고 7장을 낸다는말입니다.(세 사람이 각각 7장을 내면
각각 7장을 뒤집게 되므로 총 42장 이고, 애초에 깔려있던 6장을 합하면 48)
화투를 쳐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화투를 마지막까지 치면
한장의 여분도 남지 않습니다. 결국은 세 사람이 나눠가지게 되지요.
그렇게 하려면, 최소한 24장을 깔고 4장을 내야할것 같네여
그리고 (1, 42) 42장을 깔고 1장을 들고 있다가 낸다는 말이구요
(2, 36) 36장을 깔고 2장을 들고 있다가 낸다는 말이구요
그런데...이렇게 해도 게임은 되지만 아마도..
무지 재미가 없을 것입니다!!! (아무거나 내도 하나는 맞을테니까요...)
처음엔 이렇게도 해봤을지도 모르겠네여...
즉, 48장을 이용해서 게임을 가장 재밌게 하려다 보니
6장을 깔고 7장을 내는것을 선택했을 것입니다.
재미가 있어야지 하겠지요...^^
어떤일이든 흥미를 가지면 관심을 보이게 되고 이로인해 호감을 갖고 접근할 수 있듯이 흥미를 보이는 첫걸음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 첫단계를 활동수업이나 생활수학 이야기등으로 학생들이 조금이나마 수학에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수학 시간을 기다려지게 할수 있도록...저희조는 이런 점에 초점을 맞춰서 발표를 하였습니다.
추천자료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업)의 정의,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수업)...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의미와 취지, 수학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뉴...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유형,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교...
수학교육(수학학습) 목표와 문제점, 수학교육(수학학습) 게임(놀이)활용 교육적 가치, 수학교...
수학학습(수학교육) 게임(놀이)활용의 필요성, 수학학습(수학교육) 게임(놀이)활용의 장점, ...
수학과교육(수학교육)의 목표, 수학과교육(수학교육)의 성격, 수학과 문제해결력신장 ICT활용...
수학과교육(수업) 수준별학습지도, 문제해결학습지도, 수학과교육(수업) 개념형성학습지도, ...
수학교육(수학과교육) 수개념형성학습과 수준별학습, 수학교육(수학과교육) 원리발견학습과 ...
수학(수학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수학(수학과)교육과정의 수업환경, 수학(수학과)교육과...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목표와 내용,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좋은수업, 수학과...
수학과(수학수업, 수학학습)의 목적과 관점, 수학과(수학수업, 수학학습) 수업환경과 수학적...
수학과교육과정(수학교육과정)의 개관, 수학과교육과정(수학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배경, 수...
수학교육(수업, 수학지도) 특성,원칙, 수학교육(수업, 수학지도) 활동주의, 수학교육(수업, ...
수학과교육 팀보조개별학습과 수준별학습자료(수업자료), 수학과교육 도형학습과 놀이학습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