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과 한국경총의 임금협상지침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주노총과 한국경총의 임금협상지침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임금인상을 둘러싼 경제 및 노동환경의 인식 및 차이

▷민주노총 입장
▷한국경총 입장

◎임금인상안 도출 근거상 차이 비교

▷민주노총 입장
▷한국경총 입장


◎ 양지침 중 보다 바람직한 안이 무엇인지 근거를 들어 평가하라

▷민주노총의 지침
▷한국경총의 지침

<분석>

본문내용

하지만 현노동자의 임금을 올려주고 '고용 없는 성장'을 하는 것보다는 한국경총의 지침처럼 고용확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주 5일 근무제의 체제가 확립되면 기업의 생산성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 생각한다.
상황이 이런 만큼 월급을 올려 받기보다는 여유자금으로 실업자를 취업시켜야 내수의 수익률도 높아질 것이고 신용불량자도 빚을 갚을 수 있게되는 경제회생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300인 이하)의 임금차가 많이 나는 것도 한국 경총의 의견대로 대기업 위주의 노동운동이 문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민
주노총은 전체적인 10.5% -산업별 기업별 차이로 2%의 차이를 둔다고는 하였지만 한국경총에서 제시한 수익성지표나 성장성 지표에서 살펴보면 적자업체의 비중이나 감소업체의 비중이 늘었는데 이는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더 많은 피해를 봤을 것이다.
그렇다면 임금을 인상하는데 있어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를 줄일 수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볼 때 한국경총이 이익이 난 부분에 대해서 관리자의 배를 불리지 않고 고용창출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힘쓴다면 현재로써는 한국경총의 지침이 더 합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5.16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0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