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네이스(NEIS)란?
◈ 네이스 시스템
◈ 네이스를 통하여...
◈ 네이스 개념도
◈ 네이스의 편리성
◈ 진정 NEIS가 필요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 네이스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 내가 생각하는 네이스 문제점 해결방안과 결론
★ 참고 사이트 ★
◈ 네이스 시스템
◈ 네이스를 통하여...
◈ 네이스 개념도
◈ 네이스의 편리성
◈ 진정 NEIS가 필요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 네이스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 내가 생각하는 네이스 문제점 해결방안과 결론
★ 참고 사이트 ★
본문내용
1년간의 시행만 거치고 문제점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했던 것이다.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보안부분에 대해서는 검증을 제대로 한 자료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지금도 네이스에서 각종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네이스 시스템의 게시판을 들여다보면 오류에 대해 문의하는 내용이 많다.
'일단 시행하고 오류나 생기면 고쳐나간다' 라는 발상이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시스템에서는 굉장히 위험한 발상일수도 있다.
* 정보인권의 문제
네이스 시스템은 일개 민간기업에서 개발하고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네이스에 등록된 정보는 상업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 단적인 예를 하나만 들면 그 정보를 이용하서 선별적인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 대해 유출가능성이나 위험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되지 않고 있다.
* 교육부의 대응방식과 부화뇌동하는 언론
네이스의 시스템의 구조상 한두명의 교사라도 인증받기를 거부하면 그 시스템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특히 성적 및 생활기록부 부분은 더욱 그렇다. 수시입학전형을 앞둔 고3에 대해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할 수 밖에 없지만(학생들에게 피해가 갈까봐)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돌아가는 학교는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교육부의 자료는 일부라도 네이스를 사용하는 학교들을 모두 포함시킨 것이라고 봐야 한다.
또한 학교현장의 혼란문제도 실상은 그리 심각하지 않다. 입시대란이 일어날 것처럼 떠들고 있지만 예전에 생활기록부를 손을 쓸 때도 1주일이면 다 썼다고 한다.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처리해도 시간은 충분하다.
◈ 내가 생각하는 네이스 문제점 해결방안과 결론
네이스 시행에 따른 동의절차를 확실히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학부모 동의를 받은 학생의 자료는 neis로 하고, 그 나머지 학생은 c/s나 수기 등에서 택일하여 시행한다. 방법은 학부모가 인증서 신청을 하도록 한다.
만약, 학부모가 인증서 신청을 하지 않으면 그 학생의 자료는 석차처리가 가능한 정도의 자료만 남기고 삭제한다. 그런 후, 그 학생의 자료는 담임이 c/s나 수기 중 선택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인증서 신청을 한 학생의 경우는 neis 에서 기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인증서 신청방법은 수시로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시행초기에는 가정통신문 등을 이용하여 의견을 물어 일괄적으로 인증서를 발급하고, 이후에는 학부모가 인터넷이나 학교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을 하면 발급하도록 한다. 인증서 발급업무는 담임이 맡는다. 이렇게 하면 학부모의 동의를 구하고 시행하는 셈이므로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교육에 대한 모든 행정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올바로, 제대로 가르치느냐’ 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편리할까’ 하는 방식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네이스가 학생의 건전한 인격함양과 지적능력향상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좀더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행정적인 편리성만 추구하다 보니 무리한 제도가 강행되는 것은 아닌지...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 참고 사이트 ★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www.edungo.or.kr
http://social.snu.ac.kr/study
/5/차원/4/03.htm
http://www.neis.go.kr
/
http://psymca.or.kr/source/source1/viewbody.html?code=source1&page=1&number=17&keyfield=&key
=
http://chamkw.ktu.or.kr/technote/read.cgi?board
http://kr.dailynews.yahoo.com/wk/on/2003024/on20030620002.html
'일단 시행하고 오류나 생기면 고쳐나간다' 라는 발상이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시스템에서는 굉장히 위험한 발상일수도 있다.
* 정보인권의 문제
네이스 시스템은 일개 민간기업에서 개발하고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네이스에 등록된 정보는 상업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 단적인 예를 하나만 들면 그 정보를 이용하서 선별적인 마케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 대해 유출가능성이나 위험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되지 않고 있다.
* 교육부의 대응방식과 부화뇌동하는 언론
네이스의 시스템의 구조상 한두명의 교사라도 인증받기를 거부하면 그 시스템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특히 성적 및 생활기록부 부분은 더욱 그렇다. 수시입학전형을 앞둔 고3에 대해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할 수 밖에 없지만(학생들에게 피해가 갈까봐)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돌아가는 학교는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교육부의 자료는 일부라도 네이스를 사용하는 학교들을 모두 포함시킨 것이라고 봐야 한다.
또한 학교현장의 혼란문제도 실상은 그리 심각하지 않다. 입시대란이 일어날 것처럼 떠들고 있지만 예전에 생활기록부를 손을 쓸 때도 1주일이면 다 썼다고 한다. 모든 것을 수작업으로 처리해도 시간은 충분하다.
◈ 내가 생각하는 네이스 문제점 해결방안과 결론
네이스 시행에 따른 동의절차를 확실히 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즉, 학부모 동의를 받은 학생의 자료는 neis로 하고, 그 나머지 학생은 c/s나 수기 등에서 택일하여 시행한다. 방법은 학부모가 인증서 신청을 하도록 한다.
만약, 학부모가 인증서 신청을 하지 않으면 그 학생의 자료는 석차처리가 가능한 정도의 자료만 남기고 삭제한다. 그런 후, 그 학생의 자료는 담임이 c/s나 수기 중 선택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인증서 신청을 한 학생의 경우는 neis 에서 기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인증서 신청방법은 수시로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시행초기에는 가정통신문 등을 이용하여 의견을 물어 일괄적으로 인증서를 발급하고, 이후에는 학부모가 인터넷이나 학교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을 하면 발급하도록 한다. 인증서 발급업무는 담임이 맡는다. 이렇게 하면 학부모의 동의를 구하고 시행하는 셈이므로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교육에 대한 모든 행정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올바로, 제대로 가르치느냐’ 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편리할까’ 하는 방식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네이스가 학생의 건전한 인격함양과 지적능력향상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좀더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행정적인 편리성만 추구하다 보니 무리한 제도가 강행되는 것은 아닌지...
♣그동안 수고 많으셨습니다^^.
★ 참고 사이트 ★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www.edungo.or.kr
http://social.snu.ac.kr/study
/5/차원/4/03.htm
http://www.neis.go.kr
/
http://psymca.or.kr/source/source1/viewbody.html?code=source1&page=1&number=17&keyfield=&key
=
http://chamkw.ktu.or.kr/technote/read.cgi?board
http://kr.dailynews.yahoo.com/wk/on/2003024/on20030620002.html
추천자료
네이스(NEIS), 무엇이 인권침해인가? NEIS도 CS도 아닌 제3의 방법을 찾아야...
네이스(NEIS)논쟁에 대한 찬성 반대
전자 민주주의
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교육 행정정보 시스템 구축사업(NEIS)
교육행정 정보 시스템(NEIS) 논란에 대하여
[정보사회][정보화사회][정보화정책][정보화]정보화사회(정보사회)의 개념, 정보화사회(정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정의, 배경, 필요성, 보안체제와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