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학습 장애에 대한 고찰
1. 학습장애의 개념
2. 학습장애의 원인과 학습장애 아동의 특성
3. 학습장애 유형 및 교육(치료) 방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학습 장애에 대한 고찰
1. 학습장애의 개념
2. 학습장애의 원인과 학습장애 아동의 특성
3. 학습장애 유형 및 교육(치료) 방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
이 아동의 경우 발음장애와 읽기, 쓰기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아동이다. 보통 쓰기 장애의 경우 심리학적 처리과정에서 음운처리의 문제로도 볼 수 있지만 읽기 이해(단순히 음운적으로 읽기를 못하는 것이 아니라)에서도 문제를 함께 가질 수 있다. 발음장애가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아 어릴 때부터 언어문제를 동반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단지 조음장애 치료나 쓰기 연습을 하는 것보다는 언어전반에 걸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다. 쓰기 장애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언어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이 아동은 언어 전반에 걸친 치료를 해주어야 하겠다. 우선적으로 이 아동의 정확한 양육환경과 부모와의 상호작용 태도 등을 알아보고, 부모와 상담을 통해 부모, 아동, 교사 모두 정학이의 언어치료에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부모나 교사는 정학이가 쓰기를 하는 면에서 정확한 맞춤법을 익히도록 사전을 활용하는 것을 돕는 일, 매일의 활동에서 일기 쓰기, 친구에게 짧은 편지 쓰기 등의 작문 활동을 하도록 돕는 일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정학이에 대한 부모나 선생님이 가져야할 태도는 정학이가 잘못된 발음과 잘못된 쓰기를 한다고 해서 무조건 야단을 치고 다그쳐서는 안 되고 정학이에게 무엇이 잘 못되었고 어떻게 발음하고 쓰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알려주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정학이의 쓰기 문제는 발음에서 오는 것이므로 가정에서 학교에서 정학이가 잘못된 발음을 할 때 정확한 발음으로 교정해주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부모가 해야 할 일
a. 교과목을 가르치지 말아라.
b. 자녀가 잘 하는 것을 찾아내라.
c. 아이가 할 수 없는 것을 강요하지 말아라.
d. 선생님의 협조를 구하라.
e. 학습 장애에 대해 더 배워라.
f. 겸손한 탐정이 되어라.
g. 자녀의 강점인 부분을 가르쳐라.
h. 자녀의 머리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믿어라.
i. 실수는 실패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여라.
j. 창조적으로 TV나 컴퓨터를 활용하라.
k. 자녀의 독서 수준에 적합한 책을 골라 주어라.
Ⅲ. 결론
학습장애라는 용어는 1963년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1960년대 이전에는 학습장애아를 위한 특수교육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았고, 행동·정서장애 또는 정신지체, 인지장애, 뇌 손상아, 신경학적 장애아등 여러 가지 용어로 불리어 왔다. 학습장애라는 용어는 학습장애자 협회(Association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Leaning Disabilities : ACLD)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어 사용되어 있지만 학습장애아를 정의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로서 지금까지 그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비록 많은 정의가 생겨나 수년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각 정의는 각 장·단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발표 즉시 주목을 끌어 받아 들여졌지만, 학습장애의 정의를 발전시키기 위해선 꾸준한 노력이 요구되었다. 사실 학습장애를 정의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라 어떤 이는 "학습장애의 정의를 내리기는 불가능하지만, 여러분들이 그들과 부딪힌다면 학습장애가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라고 말한다. 장애아동을 일반학교나 학급에 통합시키려는 주류화(mainstreaming)는 학습장애아동에게는 더욱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이유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관점에서도 찾을 수 있다.
첫째, 장애아들이 분리되었을 때 더 빨리 발전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있 다.
둘째, 특수학급 배치에 따르는 낙인이 정규학급에 있는 장애아동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장애아동은 또래 아동들과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넷째, 많은 장애 학부모들이 분리를 원하지 않는다.
다섯째, 주류화의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정규학급 교사들은 일시적 혹은 상황적인 문제 를 가진 학생들의 특수교육적 요구에 잘 반응하고 있는 결과들이 많이 있다.
여섯째, 법정의 판결들은 정규학급 배치가 더 좋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 막으로 장애아동들이 자라서 살아야 할 곳은 일반학급과 같은 실제 사회환경이기 때문에 교육도 실제생활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정리를 하자면 학습장애의 정의를 살펴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는 면과 학습장애를 판별하는 주요한 요소 즉, 학습장애를 진단하는 능력모형과 기능모형, 학습장애의 원인, 학습장애의 주요한 교육적인 특성, 학습장애아동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지, 학습장애의 주요한 교육적인 특성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학습장애를 교육환경에 배치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어떠한 것이 효율적일 수 있는지, 학습장애아동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장애를 지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할 때, 교사들이 유념하여야 할 것은 한 학습자에게 어떠한 교수내용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학습자의 특성 및 요구를 잘 파악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학습장애 학생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또 교수 지침을 매일 매일의 교수 실제에 적용시키고자 노력할 때 비로소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김윤옥,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2)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승국 외 15명, 서울: 교육과학사, 1999
3) 현장특수교육, 국립특수교육원, 1998년 여름호.
4) http://www.edunet4u.net/edunetWebApp/html/special/spMenu_021_ sub1.jsp
5) http://www.specialeducation-kang.com/consult_2_4.htm
6) http://www.child-mom.co.kr/menu5/menu5_1_2.htm
7) http://rose0.kyungpook.ac.kr/~home/webzine/hot/study.html
8) http://my.netian.com/~sinrap/110.htm
9) http://www.sh-sc.co.kr/l_menu2/l_menu2_08.asp
이 아동의 경우 발음장애와 읽기, 쓰기 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아동이다. 보통 쓰기 장애의 경우 심리학적 처리과정에서 음운처리의 문제로도 볼 수 있지만 읽기 이해(단순히 음운적으로 읽기를 못하는 것이 아니라)에서도 문제를 함께 가질 수 있다. 발음장애가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아 어릴 때부터 언어문제를 동반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단지 조음장애 치료나 쓰기 연습을 하는 것보다는 언어전반에 걸친 평가와 치료가 필요하다. 쓰기 장애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언어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이 아동은 언어 전반에 걸친 치료를 해주어야 하겠다. 우선적으로 이 아동의 정확한 양육환경과 부모와의 상호작용 태도 등을 알아보고, 부모와 상담을 통해 부모, 아동, 교사 모두 정학이의 언어치료에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부모나 교사는 정학이가 쓰기를 하는 면에서 정확한 맞춤법을 익히도록 사전을 활용하는 것을 돕는 일, 매일의 활동에서 일기 쓰기, 친구에게 짧은 편지 쓰기 등의 작문 활동을 하도록 돕는 일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정학이에 대한 부모나 선생님이 가져야할 태도는 정학이가 잘못된 발음과 잘못된 쓰기를 한다고 해서 무조건 야단을 치고 다그쳐서는 안 되고 정학이에게 무엇이 잘 못되었고 어떻게 발음하고 쓰는 것이 정확한 것인지 알려주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정학이의 쓰기 문제는 발음에서 오는 것이므로 가정에서 학교에서 정학이가 잘못된 발음을 할 때 정확한 발음으로 교정해주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부모가 해야 할 일
a. 교과목을 가르치지 말아라.
b. 자녀가 잘 하는 것을 찾아내라.
c. 아이가 할 수 없는 것을 강요하지 말아라.
d. 선생님의 협조를 구하라.
e. 학습 장애에 대해 더 배워라.
f. 겸손한 탐정이 되어라.
g. 자녀의 강점인 부분을 가르쳐라.
h. 자녀의 머리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믿어라.
i. 실수는 실패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여라.
j. 창조적으로 TV나 컴퓨터를 활용하라.
k. 자녀의 독서 수준에 적합한 책을 골라 주어라.
Ⅲ. 결론
학습장애라는 용어는 1963년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1960년대 이전에는 학습장애아를 위한 특수교육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았고, 행동·정서장애 또는 정신지체, 인지장애, 뇌 손상아, 신경학적 장애아등 여러 가지 용어로 불리어 왔다. 학습장애라는 용어는 학습장애자 협회(Association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Leaning Disabilities : ACLD)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어 사용되어 있지만 학습장애아를 정의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로서 지금까지 그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비록 많은 정의가 생겨나 수년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각 정의는 각 장·단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발표 즉시 주목을 끌어 받아 들여졌지만, 학습장애의 정의를 발전시키기 위해선 꾸준한 노력이 요구되었다. 사실 학습장애를 정의하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라 어떤 이는 "학습장애의 정의를 내리기는 불가능하지만, 여러분들이 그들과 부딪힌다면 학습장애가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라고 말한다. 장애아동을 일반학교나 학급에 통합시키려는 주류화(mainstreaming)는 학습장애아동에게는 더욱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이유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관점에서도 찾을 수 있다.
첫째, 장애아들이 분리되었을 때 더 빨리 발전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지 못하고 있 다.
둘째, 특수학급 배치에 따르는 낙인이 정규학급에 있는 장애아동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장애아동은 또래 아동들과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가 있다.
넷째, 많은 장애 학부모들이 분리를 원하지 않는다.
다섯째, 주류화의 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정규학급 교사들은 일시적 혹은 상황적인 문제 를 가진 학생들의 특수교육적 요구에 잘 반응하고 있는 결과들이 많이 있다.
여섯째, 법정의 판결들은 정규학급 배치가 더 좋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 막으로 장애아동들이 자라서 살아야 할 곳은 일반학급과 같은 실제 사회환경이기 때문에 교육도 실제생활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정리를 하자면 학습장애의 정의를 살펴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는 면과 학습장애를 판별하는 주요한 요소 즉, 학습장애를 진단하는 능력모형과 기능모형, 학습장애의 원인, 학습장애의 주요한 교육적인 특성, 학습장애아동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지, 학습장애의 주요한 교육적인 특성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학습장애를 교육환경에 배치하는데 있어서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어떠한 것이 효율적일 수 있는지, 학습장애아동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장애를 지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할 때, 교사들이 유념하여야 할 것은 한 학습자에게 어떠한 교수내용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학습자의 특성 및 요구를 잘 파악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교사가 학습장애 학생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또 교수 지침을 매일 매일의 교수 실제에 적용시키고자 노력할 때 비로소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학습전략, 김윤옥,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2) 학습장애 아동 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승국 외 15명, 서울: 교육과학사, 1999
3) 현장특수교육, 국립특수교육원, 1998년 여름호.
4) http://www.edunet4u.net/edunetWebApp/html/special/spMenu_021_ sub1.jsp
5) http://www.specialeducation-kang.com/consult_2_4.htm
6) http://www.child-mom.co.kr/menu5/menu5_1_2.htm
7) http://rose0.kyungpook.ac.kr/~home/webzine/hot/study.html
8) http://my.netian.com/~sinrap/110.htm
9) http://www.sh-sc.co.kr/l_menu2/l_menu2_08.asp
추천자료
장애아동의 통합교육
장애아동 복지
아동정서및행동장애_음악,약물치료방법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의의와 현황 및 과제와 전망
장애아동의 현실
장애아동 가족 내 부모의 양육태도로 인한 비장애 형제가 받는 스트레스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에 대해 서술
발달장애아동의 특성에 대하여
장애아동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 서비스 현황,소득보장서비스
장애아동 통합교육
한국 장애아동 복지사업이나 정책이 향후 반드시 달성해야 할 가치를 공공성 혹은 효율성 중 ...
본인이 초등장애아동을 둔 가족이라면 아이의 교육을 위해서 어떻게 애쓸지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