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설
2. 위임의 근거
3. 위임의 상대방
4. 위임사항
5. 위임의 효과
6. 위임의 종료
2. 위임의 근거
3. 위임의 상대방
4. 위임사항
5. 위임의 효과
6. 위임의 종료
본문내용
된다.
_ (2) 委任의 效果와 관련하여 특히 문제되는 바는 委任官廳이 그 委任事務의 처리에 관하여 受任機關을 指揮監督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 견해는 受任機關이 委任官廳의 補助機關이나 指揮監督下에 있는 下級機關이 아닌 경우에는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指揮監督權이 없다고 본다(城田賴明 등 行政法講義 (上) p.113) 「행정권한의위임및위탁에관한규정」도 이런 입장에서 前者의 경우에는 委任機關은 그 사무처리에 대하여 一般的인 基準에 따라 指揮監督하고, 그 處分이 違法 또는 不當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取消 中止할 수 있게 하고 事後에 處理結果의 보고를 받게 하였으나(同규정 3條), 後者의 경우에는 事前의 指揮監督을 인정하지 않고, 事後에 處理結果의 報告만 받게 하였다(同규정 4條).
6. 委任의 終了
_ 委任은 委任의 解除에 의하여 終了된다. 委任의 解除는 委任을 행할 때와 마찬가지로 직접 法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委任된 경우에는 法令의 形式으로 法令에 根據하여 委任官廳의 意思에 의하여 委任된 경우에는 그 意思로 행하여야 하며, 意思에 의하여 解除하는 경우에는 一般에게 公示함을 요한다. 委任의 終了에 의하여 그 事項은 다시 委任官廳의 權限에 歸屬하게 된다.
_ (2) 委任의 效果와 관련하여 특히 문제되는 바는 委任官廳이 그 委任事務의 처리에 관하여 受任機關을 指揮監督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 견해는 受任機關이 委任官廳의 補助機關이나 指揮監督下에 있는 下級機關이 아닌 경우에는 특별한 정함이 없는 한 指揮監督權이 없다고 본다(城田賴明 등 行政法講義 (上) p.113) 「행정권한의위임및위탁에관한규정」도 이런 입장에서 前者의 경우에는 委任機關은 그 사무처리에 대하여 一般的인 基準에 따라 指揮監督하고, 그 處分이 違法 또는 不當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取消 中止할 수 있게 하고 事後에 處理結果의 보고를 받게 하였으나(同규정 3條), 後者의 경우에는 事前의 指揮監督을 인정하지 않고, 事後에 處理結果의 報告만 받게 하였다(同규정 4條).
6. 委任의 終了
_ 委任은 委任의 解除에 의하여 終了된다. 委任의 解除는 委任을 행할 때와 마찬가지로 직접 法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委任된 경우에는 法令의 形式으로 法令에 根據하여 委任官廳의 意思에 의하여 委任된 경우에는 그 意思로 행하여야 하며, 意思에 의하여 解除하는 경우에는 一般에게 公示함을 요한다. 委任의 終了에 의하여 그 事項은 다시 委任官廳의 權限에 歸屬하게 된다.
추천자료
[인사행정][학교인사행정][교원인사관리][교원인사행정]학교인사행정, 교원인사관리, 교원인...
[행정개혁][행정혁신][행정개혁의 개념][행정개혁의 등장배경][행정개혁의 실태][행정개혁의 ...
[행정][행정환경][행정모형][행정절차][행정체제][영국 행정체제 사례][영국][영국 행정]행정...
[행정][행정학][행정개혁][행정혁신][행정환경][행정학 문제점][행정학 과제][행정학 미래]행...
[행정법][행정법 일반원칙][행정법 효력][행정법 특질][다양한 행정법관련 소송 사례]행정법...
[행정조직][행정]소방행정조직, 노동행정조직, 체육행정조직, 농업행정조직, 해양환경행정조...
[문화행정]문화행정(문화정책)의 의미, 문화행정(문화정책)의 종류, 문화행정(문화정책)의 특...
[환경행정][환경정책][환경문제]환경행정의 개념, 환경행정의 필요성, 환경행정의 역할분담과...
봉건제도하의 행정체계(행정체제), 미국의 행정체계(행정체제), 싱가포르의 행정체계(행정체...
[행정체계][행정체제][선진국][러시아][대만 중소기업지원][중국]선진국의 행정체계(행정체제...
[행정소송, 행정심판, 행정규칙, 행정쟁송]행정소송과 행정심판, 행정소송과 행정규칙, 행정...
[행정구조, 연성적 행정구조, 문화행정구조]행정구조와 연성적 행정구조, 행정구조와 권위주...
[능률행정, 능률행정과 세대, 능률행정과 전자정부, 능률행정과 행정개혁, 능률행정과 행정정...
[비교행정론 D형] 영국과 프랑스 행정체제를 비교 설명 - (관료제의 수립과정,행정체제의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