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인에 대한 조사
2. 장애인의 정의
3. 장애의 분류
4. 장애인 유형과 등급
5. 2003년에 새롭게 추가된 장애유형
2. 장애인의 정의
3. 장애의 분류
4. 장애인 유형과 등급
5. 2003년에 새롭게 추가된 장애유형
본문내용
. 재가장애인 중 61%는 타인의 도움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나 나머지 39%는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표 2> 2000년도 장애 유형별 장애인 현황
장애유형
등록현황
실태조사 현황
비고
지체
606,422
605,127
왜소증, 척추측만, 척추후만 첨가
뇌병변
33,126
223,246
노인인구 증가
시각
90,997
181,881
기준 0.01에서 0.02로 상승함
청각.언어
87,387
175,578
복합 장애를 가짐
정신지체
86,793
108,678
발달지체
1,514
13,481
학계에서 추정하는 출현율 인구10,000명당 2-3명
정신
23,559
71,797
신장
23,427
25,284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포함
심장
4,971
44,424
심장질환자중 중증만 인정
계
958,196
1,449,496
2. 2000년 유형별 장애출현율
장애인 출현율(인구 100명당 장애인 수)은 3.09%로 이중 남자장애인 출현율은 3.86%, 여자장애인 출현율은 2,34%로서 남자 장애인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장애 출현율은 10세 미만 아동이 0.6%, 40세 이상 장애인의 비율이 72.8%로 전체 장애인의 약 3/4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장애유형의 장애 원인은 90%이상이 후천적 요인이었다(표 3참조).
<표 3> 2000년 유형별 장애인 출혈율 (단위 : %)
구분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발달지체
정신
신장
심장
출현율
1.35
0.52
0.47
0.42
0.44
0.31
0.05
0.17
0.06
0.13
<표 2> 2000년도 장애 유형별 장애인 현황
장애유형
등록현황
실태조사 현황
비고
지체
606,422
605,127
왜소증, 척추측만, 척추후만 첨가
뇌병변
33,126
223,246
노인인구 증가
시각
90,997
181,881
기준 0.01에서 0.02로 상승함
청각.언어
87,387
175,578
복합 장애를 가짐
정신지체
86,793
108,678
발달지체
1,514
13,481
학계에서 추정하는 출현율 인구10,000명당 2-3명
정신
23,559
71,797
신장
23,427
25,284
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포함
심장
4,971
44,424
심장질환자중 중증만 인정
계
958,196
1,449,496
2. 2000년 유형별 장애출현율
장애인 출현율(인구 100명당 장애인 수)은 3.09%로 이중 남자장애인 출현율은 3.86%, 여자장애인 출현율은 2,34%로서 남자 장애인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장애 출현율은 10세 미만 아동이 0.6%, 40세 이상 장애인의 비율이 72.8%로 전체 장애인의 약 3/4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장애유형의 장애 원인은 90%이상이 후천적 요인이었다(표 3참조).
<표 3> 2000년 유형별 장애인 출혈율 (단위 : %)
구분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발달지체
정신
신장
심장
출현율
1.35
0.52
0.47
0.42
0.44
0.31
0.05
0.17
0.06
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