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을 존중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 교육은 아동의 심리적 발달 단계에 따라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생각, 교육은 천성을 발달을 돕는 것이라는 생각, 교육은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에서부터 노작교육이나 자연과 직접 대면하는 교육이라는 생각 이외에도 조금 전에 언급된 놀이를 통한 교육이나 발견학습 등이 그러한 예들이다. 그러나 그런 측면들에만 주목할 경우「에밀」은 그다지 읽어 볼만한 가치를 가진 책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가 강조했듯이 「에밀」은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는 논의의 일환으로 기획된 것이며 부르주아라는 저급한 인간형의 극복이라는 과제를 플라톤의 철인왕에 비견되는 새로운 이상적 인간형 곧 시민의 창출을 통해 해결하려고 한 저작이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하지 않는다면 아동을 가족을 포함한 일체의 사회와 책으로부터 격리하여 자연과 직접 대면하게 하고 일인의 가정교사가 소극적 역할만을 수행해야 한다는 식의 교육 방안이 허황된 이야기로 들릴 것이다. 물론 거기에 실제적인 교육적 처방으로서의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만 받아들일 경우「에밀」이라는 고전이 가지는 의의는 희미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추천자료
에밀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사상과 생애 및 에밀의 1부를 읽고 시사점과 비판점 그리고 토론거리에 관해
<에밀>을 통해 본 루소의 교육론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루소의 교육론 ‘에밀’
'에밀'을 통해 살펴본 루소의 교육사상
2010.05.20 아동학 - (독서감상문 ) 루소 '에밀(emil)'을 읽고
루소의 교육론(에밀)
[교육 독후감] 에밀(Emile) _ 루소(Jean-Jacques Rousseau) 저
루소의 완전한제자 ‘에밀’ 과의 만남
[독후감,감상문] 장 자크 루소 - ‘에밀’을 읽고
에밀의 결혼을 통해 보는 루소의 반여권주의
루소, '에밀' 감상문
계몽주의 작가와 작품에 대하여 (장자크 루소 『에밀』 이광수 무정 해풍 심훈 계몽주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