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연구목적
2. 본론
`문헌고찰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간호진단및 중재
3. 결론
(실습소감)
`연구목적
2. 본론
`문헌고찰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간호진단및 중재
3. 결론
(실습소감)
본문내용
을 호소한다.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일까지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통증이 없다.
대상자는 더 이상 좌 안면부 마비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안면근육 강직을 완화하기 위해 마사지를 적용한다.
- 좌 안면부를 부드럽게 문질러 드리고 ,
당신 스스로 하실 수 있게끔 격려하였다.
2. 안면 근육강화를 위해 안면근육 운동을 실시한다.
- 3-4시간 간격으로 껍씹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 '아' '에' '이' '오' '우' 운동을 아침에 일어나서 한번, 식하하고 양치후 한번(3회)
주무시기 전 1회 하도록 격혀하였다.
3. 통증완화와 마비증상 완화를 위해 전침을 적용한다.
- 오전, 오후 30분간 적용하였다.
4. 통증완화를 위해 I-R(근 적외선 등)을 적용한다.
- 10-11 ; 1회 (20분간)
15-16 ; 1회 (20분간)
5. 통증완화를 위해 hot bag을 적용한다.
- prn으로 bag에 1/3정도 채워서 수건으로 덮은다음 얼굴부위에 적용한다.
6. 통증완화를 위해 기분전환 활동을 적용한다.
-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같이 들으며 이야기 한다.
'꽃바람 여인' 노래를 같이 듣고 음악에 대해 대화 나누었다.
- 기분전환을 위해 간단한 체조를 같이 하였다.
팔들어올리기 같은 맨손체조
- 기분전환을 위해 따뜻한 hot bag을 등 밑이나 다리밑에 적용하였다.
7. 통증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통증이 있으면 알리라고 말씀드렸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4/14 4pm)
#2.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양쪽눈이 따가워요 "
" 자고나면 눈이 뻑뻑한 것 같애, 아후-눈이야 "
객관적 : 대상자는 눈이 따갑다고 표현하고 자고일어나면 눈이 뻑뻑하다고 말한다.
낮잠을 주무실 때 눈이 완벽하게 감기지 않고 띄어져있다. (문제발견일 : 4.12)
안구가 충혈되어 있었다.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눈 뻑뻑함이 낳아졌다고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눈 뻑뻑한 증상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눈 움직임을 예전과 같이 회복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각막보호를 위해 잠을 잘 때 안대를 적용한다.
- 좌안면부 마비로 인해 눈이 완벽히 감기지 않으시기 때문에 건조함으로 인한 각막보호와
이물로인한 염증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안대를 적용한다.
2. 안구건조를 위해 필요시 인공눈물을 적용한다.
-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해 깜빡거리지 못하므로 prn으로 인공눈물을 1-2방울 적용하였다.
3. 충혈증상과 분비물여부 증상을 계속해서 관찰한다.
- 감염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증상 발현유무를 관찰한다.
4. 계속해서 pain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눈의 뻑뻑함이 완화되었다고 말씀하셨다. (4/14)
#3.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2)
주관적 : " 볼 것 없어, 뭘 이런걸 봐 - 보지말어 "
" 난 이게 큰 근심거리야, 물도 못마시고 줄줄 흘리고.."
객관적 : 대상자는 남에게 얼굴 보이길 꺼려하며
질환의 증상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한다.
<간호진단>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신체장애에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신체장애(안면마비)에 대한 stress가 없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대상자에게 안면마비증상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말로 표현하도록 했다.
- 처음에 증상에 대해 말씀하시기 꺼려했으나
나중에 " 남에게 보이기 싫고,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말씀하셨다
2. 대상자가 생각하는 모습과 직접 거울을 보여주며 차이점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 " 물 마실 때 물 흐르고 눈도 안감기고 보기도 싫었는데, 많이 낳아진 것 같네?"
라는 말씀을 하셨다.
3. 7-10일간 꾸준히 치료받으면 안면근 마비가 많이 완화 될 수 있을것이라는 설명을 해 드렸다.
- 조금씩 더 좋아지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시며 긍정적인 표현을 하셨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불편한거야 뭐- 인제이렇게 마시면 조금흐르지만 괜찮아"라고 하시며
신체장애에 대해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하셨다. (4.14)
#4.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내가 매일 변을 보는데, 여기있으면서 3일동안 변을 못봤어 "
" 계속 침대에만 있으니 소화도 안되는 것 같고 "
" 화장실 가기 귀찮아서 물도 잘 안맛게 된단말야.."
객관적 : 대상자는 3일동안 변을 보지 못했다.
대상자는 보하기 위해서 바깥바람을 쐬지 못하고 계속 병실 내에 있다.
날짜
치료
12
13
14
16
S-G
대상자는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고 침대위에 앉아 tv를 시청하거나 독서를 한다.
<간호진단>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적어도 2일 이내에는 변을 볼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는 예전처럼 하루에 한 번씩 변을 본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은 멀리해야 하므로 고구마 같은 연하되기 쉬운 섬유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과일을 많이 먹도록 격려하였다.
2.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 대상자는 적어도 하루에 수분을 1.8L이상은 섭취한다.
; 식사시 국을 많이 먹도록 하고 , 중간중간 물을 한컵씩 마시게 했다.
3. 간단한 체조를 하도록 격려했다.
-대상자는 침상안정 상태로 움직이기 꺼려하셨다.
따라서 침대위에 앉아 다리 들어 올리거나 몸 비틀기 같은 운동&체조를 같이 하였다.
4. 되도록 자연적 요법을 써 보도록 하고 불편할 시 하제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Dr.판단하에)
<간호평가>
대상자는 15일 변을 보았다고 말씀하셨다 (4/16 1pm)
Ⅲ. 결론
실습을 끝내고...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일까지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통증이 없다.
대상자는 더 이상 좌 안면부 마비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안면근육 강직을 완화하기 위해 마사지를 적용한다.
- 좌 안면부를 부드럽게 문질러 드리고 ,
당신 스스로 하실 수 있게끔 격려하였다.
2. 안면 근육강화를 위해 안면근육 운동을 실시한다.
- 3-4시간 간격으로 껍씹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 '아' '에' '이' '오' '우' 운동을 아침에 일어나서 한번, 식하하고 양치후 한번(3회)
주무시기 전 1회 하도록 격혀하였다.
3. 통증완화와 마비증상 완화를 위해 전침을 적용한다.
- 오전, 오후 30분간 적용하였다.
4. 통증완화를 위해 I-R(근 적외선 등)을 적용한다.
- 10-11 ; 1회 (20분간)
15-16 ; 1회 (20분간)
5. 통증완화를 위해 hot bag을 적용한다.
- prn으로 bag에 1/3정도 채워서 수건으로 덮은다음 얼굴부위에 적용한다.
6. 통증완화를 위해 기분전환 활동을 적용한다.
-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같이 들으며 이야기 한다.
'꽃바람 여인' 노래를 같이 듣고 음악에 대해 대화 나누었다.
- 기분전환을 위해 간단한 체조를 같이 하였다.
팔들어올리기 같은 맨손체조
- 기분전환을 위해 따뜻한 hot bag을 등 밑이나 다리밑에 적용하였다.
7. 통증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통증이 있으면 알리라고 말씀드렸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이 없다고 말씀하셨다. (4/14 4pm)
#2.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양쪽눈이 따가워요 "
" 자고나면 눈이 뻑뻑한 것 같애, 아후-눈이야 "
객관적 : 대상자는 눈이 따갑다고 표현하고 자고일어나면 눈이 뻑뻑하다고 말한다.
낮잠을 주무실 때 눈이 완벽하게 감기지 않고 띄어져있다. (문제발견일 : 4.12)
안구가 충혈되어 있었다.
<간호진단>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한 눈 깜빡거리지 못함과 관련된 조직손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눈 뻑뻑함이 낳아졌다고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의 눈 뻑뻑한 증상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눈 움직임을 예전과 같이 회복한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각막보호를 위해 잠을 잘 때 안대를 적용한다.
- 좌안면부 마비로 인해 눈이 완벽히 감기지 않으시기 때문에 건조함으로 인한 각막보호와
이물로인한 염증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안대를 적용한다.
2. 안구건조를 위해 필요시 인공눈물을 적용한다.
- 좌 안면부 마비로 인해 깜빡거리지 못하므로 prn으로 인공눈물을 1-2방울 적용하였다.
3. 충혈증상과 분비물여부 증상을 계속해서 관찰한다.
- 감염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증상 발현유무를 관찰한다.
4. 계속해서 pain이 있을시 보고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눈의 뻑뻑함이 완화되었다고 말씀하셨다. (4/14)
#3.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2)
주관적 : " 볼 것 없어, 뭘 이런걸 봐 - 보지말어 "
" 난 이게 큰 근심거리야, 물도 못마시고 줄줄 흘리고.."
객관적 : 대상자는 남에게 얼굴 보이길 꺼려하며
질환의 증상에 대해 부정적인 표현을 한다.
<간호진단>
좌안면부 마비와 관련된 신체감저하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4/16까지 신체장애에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신체장애(안면마비)에 대한 stress가 없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대상자에게 안면마비증상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말로 표현하도록 했다.
- 처음에 증상에 대해 말씀하시기 꺼려했으나
나중에 " 남에게 보이기 싫고,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말씀하셨다
2. 대상자가 생각하는 모습과 직접 거울을 보여주며 차이점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 " 물 마실 때 물 흐르고 눈도 안감기고 보기도 싫었는데, 많이 낳아진 것 같네?"
라는 말씀을 하셨다.
3. 7-10일간 꾸준히 치료받으면 안면근 마비가 많이 완화 될 수 있을것이라는 설명을 해 드렸다.
- 조금씩 더 좋아지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시며 긍정적인 표현을 하셨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불편한거야 뭐- 인제이렇게 마시면 조금흐르지만 괜찮아"라고 하시며
신체장애에 대해 적응함을 말로 표현 하셨다. (4.14)
#4.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문제발견일 : 4/13)
주관적 : " 내가 매일 변을 보는데, 여기있으면서 3일동안 변을 못봤어 "
" 계속 침대에만 있으니 소화도 안되는 것 같고 "
" 화장실 가기 귀찮아서 물도 잘 안맛게 된단말야.."
객관적 : 대상자는 3일동안 변을 보지 못했다.
대상자는 보하기 위해서 바깥바람을 쐬지 못하고 계속 병실 내에 있다.
날짜
치료
12
13
14
16
S-G
대상자는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고 침대위에 앉아 tv를 시청하거나 독서를 한다.
<간호진단>
B·R와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적어도 2일 이내에는 변을 볼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는 예전처럼 하루에 한 번씩 변을 본다.
<간호계획 및 중재>
1.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은 멀리해야 하므로 고구마 같은 연하되기 쉬운 섬유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과일을 많이 먹도록 격려하였다.
2.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 대상자는 적어도 하루에 수분을 1.8L이상은 섭취한다.
; 식사시 국을 많이 먹도록 하고 , 중간중간 물을 한컵씩 마시게 했다.
3. 간단한 체조를 하도록 격려했다.
-대상자는 침상안정 상태로 움직이기 꺼려하셨다.
따라서 침대위에 앉아 다리 들어 올리거나 몸 비틀기 같은 운동&체조를 같이 하였다.
4. 되도록 자연적 요법을 써 보도록 하고 불편할 시 하제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Dr.판단하에)
<간호평가>
대상자는 15일 변을 보았다고 말씀하셨다 (4/16 1pm)
Ⅲ. 결론
실습을 끝내고...
추천자료
Intubation
핵 에너지의 실체 및 문제와 대책
본초강목서례 해울 穀部 과목 채과 목부
뇌경색증 case study
장애의 유형과 특성
뇌내출혈
다발신경병증 (신경과학) (길랑바레 증후군)
마취간호- 마취의 정의와 특징 및 마취의 종류와 방법, 마취간호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장애인 차별
장애인복지, 장애의 정의와 유형 (외부신체기능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정신적 장애)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케이스스터디
ER CASE, 응급실 케이스,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외모지상주의(취업성형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