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실습 보고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실 실습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수술환자 감염관리

2.수술실 소개

3.수술실 관리

4.마취간호

5.수술전 환자 준비

6.회복실 간호

본문내용

gowning과 gloving을 돕는다.
⑩ 순환간호사와 함께 pad, gauze, needle, instrument count를 한다.
2) 수술 중
① 직접 또는 의사와 함께 수술환자의 수술부위를 draping한다.
② 수술과정 동안 수술집도의 에게 필요한 기구를 적절하게 제공한다.
③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한다.
④ 수술 과정동안 무균술을 철저히 지킨다.
⑤ sponge, needle, instrument의 count를 순환간호사와 함께 3회(수술시작 전, 수술 부위 봉합 전, 수술부위 봉합 후)실시한다.
⑥ 검사물(specimen)을 잘 보관하였다가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며 필요한 경우 처리 절차를 알려준다.
⑦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실의 청결을 유지한다.
3) 수술 후
① 환자가 수술실을 떠나 회복실로 이송될 때까지 수술실에서 수술환자와 함께 머문다.
② 수술이 끝난 후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③ 사용한 기구는 간호조무사에게 인계하고 cleansing한 후 함께 set up한다.
④ 수술기록지의 소모품 및 수술명 등을 확인 한 후 sign한다.
2. 순환간호사
1) 수술 전
- 수술계획표에 따라 수술방과 기구를 준비함
- 모든 장비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
- 멸균포로 포장된 물품들을 공급
- 수술 전 과정에 대해 환자 안심시킴
- 챠트검사
- 수술체위 도와줌
2) 수술 중
- 수술과정동안 무균술이 잘 지켜지는지 감독
- 수술기록지 씀
- 필요물품 계속 공급
- 집도팀과 다른 사람들과의 연락을 취해줌
- 소독간호사와 거즈확인
3) 수술 후
- 환자 편안하게 회복실로 옮김
- 대상자 상태나 사용물품등 필요한 사항 기록
8. 회복실 환자간호
1)기간
환자가 수술실에서 회복실로 이송되면서부터 의과 병동이나 병원에서 환자가 퇴원하기까지.
2)목적
① 환자가 가능한 빠르게 최적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② 상처 치유를 보다 향상시키고 수술 후 합병증 예방하기 위함
3)수술직후 환자관리
① 기도 유지 상태
:기도를 확보하고 분비물이 있을 때는 흡인 또는 거즈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호흡의 횟수, 깊이, 특성을 사정하여 쉰 목소리, croup, 코코는 소리, 천식음, 호흡음의 감소 등을 확 인한다.
② 산소 공급 유무
:다른 처방이 없는 한 안면 마스크나 비강 케뉼라를 통하여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요법을 실시할 때는 원칙적으로 분무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기도가 건조해지거나 객담으로 인한 폐합병 증을 예방한다.
③ 활력징후 : TPR, BP, 산소포화도, 피부색깔
:혈압과 맥박의 횟수, 강도, 규칙성, 산소포화도 그리고 체온을 사정한다. 피부색깔은 손톱, 입술, 구강점막, 손바닥, 발바닥 등에서 사정하여 만일 창백하며 차고 축축한 상태이면 금기 (눈과 뇌수술)가 아닌 한 쇽체위를 취한다.
④ 의식상태 및 반응정도
:환자의 의식회복 단계를 사정하고 환자의 이름을 불러 반응을 본다. 필요시 빛에 대한 반응(대광반사), 감각반응을 확인하고 단순한 지시에 대한 반응과 근력을 사정한다. 특히 추궁절제술 환자와 부위마취를 받은 환자는 다리 감각 및 운동기능을 사정한다. 환자의 회복정도를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지의 운동 정도, 호흡, 순환, 각성 및 피부 색 깔에 의한 평가의 PAR score를 이용하기도 한다.
⑤ 인두, 기침, 연하반사 확인
:인두, 기침, 연하반사가 없는 상태의 환자는 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환자의 머리를 옆으로 돌려 토물 흡인을 예방한다. 금기 사항이 아닌 경우 반좌위를 취해주며 반좌위는 폐확장을 용이 하게 하고 점액, 흡인, 토물 흡인으로 생기는 기도폐색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특히 소아환아일 경우 성인에 비해 혀가 크기 때문에 lateral Sim's position은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을 방지하고 분비물이나 점액을 배출하기 쉽게 해준다.
⑥ 배뇨상태
: 유치도뇨관이 중력 배액병에 연결되어 있으면 연결부위와 배액여부 그리고 튜브가 꼬이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배액병은 방광아래에 놓이도록 한다. 소변의 색깔과 양 및 농도를 사정한다.
⑦ 배액상태
:수술부위로부터 장액성, 혈성 분비물 제거나 화농성 분비물의 체류로 인한 수술 창상의 감염예방, 그리고 공기나 사강을 제거하기 위해 배액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모든 배액관은 꼬이지 않도록 하고, 배액량, 색깔, 냄새 등의 특성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⑧ 수액 및 수혈 공급 상태
:정맥선의 개존 여부와 처방된 수액의 종류와 주입속도, 주사부위의 침윤 상태를 사정한다. 환자가 수혈중이라면 주입속도와 수혈로 인한 부작용을 사정하고 혈액형도 확인한다.
⑨ 수술부위 드레싱 관찰
: 환의 및 드레싱을 관찰하여 젖어있는지 그리고 색깔과 양, 냄새, 특성을 사정한다. 드레싱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분비물이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아래로 손을 넣어 출혈유무를 관찰한다. 봉합의파열이나 혈관의 불안정한 결찰은 출혈의 원인이 된다.
⑩ 특수기구 및 장치 관찰
: 석고붕대를 한 경우 수술부위를 높여 주며 석고붕대의 종류, 말단부위의 감각, 운동, 혈액순환 상태를 사정하여 기록한다.
3) 마취로부터 회복
- 연하반사가 나타나고 스스로 호흡하게 되면 인공기도를 즉시 제거한다.
- 기관내관을 조기에 제거할 경우, 혀나 분비물에 의해 호흡기도의 폐쇄를 초래하는 수가 있다.
- 회복실 들어온 후 15분 동안 매 5분마다 그후는 매 15분마다 활력징후 측정
4) 가스교환 증진
- 산소요법
- 심호흡
5) 체위
- 인두반사가 회복될 때까지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측위 혹은 머리를 비스듬하게 자세를취하여 질식방지
6) 적절한 순환기능 유지
- 말초순환상태를 사정하여 말초조직의 적절한 관류를 확인하고 말초혈관에 과도한 압력 상태를 예방한다.
7) 수분과 전해질 균형유지
8) 통증관리
9) 수술상처 관리
- 수술부위 배액량과 출혈이 증가하는지를 자세히 관찰한다.
10) 체온변화 관찰
11) 불안감소
12) 사회 심리적인지지 제공
13) 병실이송
- 전신마취 수술 시 보통2시간정도 회복실에 머무른다.
  • 가격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4.05.2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