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발생의 원인과 대책마련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사발생의 원인과 대책마련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황사의 정의

2) 황사의 발원지

3) 황사의 발생조건

4) 황사의 이동 및 침강

5) 황사의 영향

6) 황사의 발생현황 및 특성

7) 황사에 대한 대책

8) 황사 대처 방법

본문내용

포함된 양 정도는 약이 된다는 것이다.
6. 황사 발생현황 및 특성
한반도의 경우 주로 3~4월에 황사현상이 발생하는데, 예전에는 1년에 보통 3~6일 정도 관측되던 것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해 2001년에는 서울에서 황사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25일의 발생일수를 기록하였다. 또 겨울철 황사는 1961년에 처음 관측된 이래 1991년까지 4회가 관측되었고, 이후 관측되지 않다가 10년 만인 2001년에 다시 관측되었다.
<연도별 발생현황(서울지역)>
-1971년 이후 2001년까지 169일 발생
-'91~'01년간 105일('71년 이후 60%)로서, 1990년대 이후 황사발생 일수가 증가하는 추세
년도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일수
3
11
8
14
0
13
1
1
13
6
10
25
횟수
1
3
3
5
0
4
1
1
3
3
6
4
7. 황사에 대한 대책
황사의 발원지인 중국이나 몽골뿐 아니라 황사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는 한국·일본 등에서도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각종 대책이 수립되고 있지만, 아직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는 상태이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방풍림 조성이다. 중국에서는 황사의 발원지인 사막지역에 꾸준히 방풍림을 조성해 왔는데, 연구 결과 2m 높이의 방풍림을 조성할 경우 방풍림 뒤쪽 20m 이내의 황사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의 전체면적 가운데 15%가 넘는 1억 5000만㏊가 사막지역이기 때문에 이 방대한 지역에 방풍림을 조성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한국·중국·일본·몽골 등 관련국들이 공동으로 황사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학술적인 논의는 물론, 중국 서부지역의 사막화를 줄이고 나아가 사막화 지역 주민의 사회 경제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1년 2월 베이징[北京]에서 제1차 한·중·일환경장관 회의가 열렸고, 같은 해 12월에는 서울에서 제2차 전문가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본원적인 해결책 외에 기상위성 영상자료를 통한 황사의 수평분포 조사, 황사의 진로와 강도 예측, 레이저 레이더를 이용한 황사의 연직분포도 조사, 황사와 대기오염 물질의 관계,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등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그 예로 한 중 일 LTP 프로젝트(Joint research project on Long-range Transportation of Air Pollutants) 단계별 추진계획을 세우고 국가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 또는 증가에 따른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영향 예측하는 등의 연구를 추진중이다
8. 황사 대처 방법
1) 콘택트 렌즈를 빼고 안경을 쓴다.
2) 출입문.창문을 닫아 먼지 유입을 막는다.
3) 외출 후 돌아와 손발을 씻고 양치질을 한다.
4) 운동.등산 같은 격렬한 실외 활동을 피한다.
5) 실외 활동시 마스크.안경 등을 착용한다.
6) 강풍이 부니 시설물 관리에 신경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5.24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