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월 관찰일지 (만3세 15명 분량)
1. 유아 1 관찰일지 + 종합평가
2. 유아 2 관찰일지 + 종합평가
3. 유아 3 관찰일지 + 종합평가
4. 유아 4 관찰일지 + 종합평가
5. 유아 5 관찰일지 + 종합평가
6. 유아 6 관찰일지 + 종합평가
7. 유아 7 관찰일지 + 종합평가
8. 유아 8 관찰일지 + 종합평가
9. 유아 9 관찰일지 + 종합평가
10. 유아 10 관찰일지 + 종합평가
11. 유아 11 관찰일지 + 종합평가
12. 유아 12 관찰일지 + 종합평가
13. 유아 13 관찰일지 + 종합평가
14. 유아 14 관찰일지 + 종합평가
15. 유아 15 관찰일지 + 종합평가
1. 유아 1 관찰일지 + 종합평가
2. 유아 2 관찰일지 + 종합평가
3. 유아 3 관찰일지 + 종합평가
4. 유아 4 관찰일지 + 종합평가
5. 유아 5 관찰일지 + 종합평가
6. 유아 6 관찰일지 + 종합평가
7. 유아 7 관찰일지 + 종합평가
8. 유아 8 관찰일지 + 종합평가
9. 유아 9 관찰일지 + 종합평가
10. 유아 10 관찰일지 + 종합평가
11. 유아 11 관찰일지 + 종합평가
12. 유아 12 관찰일지 + 종합평가
13. 유아 13 관찰일지 + 종합평가
14. 유아 14 관찰일지 + 종합평가
15. 유아 15 관찰일지 + 종합평가
본문내용
자연 탐구에 대한 흥미는 높지만, 행동 조절 능력은 미숙하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꾸미기 활동에서 스티커를 한꺼번에 여러 장 떼어 붙이며 “이거 다 내 거야!”라고 외친다. 결과보다는 즉흥적인 즐거움을 우선시하며, 계획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즉흥성과 충동성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높은 에너지와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였다. 기본생활에서는 활동 전환이 어려워 반복적인 지도가 필요했으며, 신체활동에서도 자신의 욕구를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경향이 강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함께하려는 의지는 높지만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데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의사소통에서는 자유롭게 자신의 상상을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대화 흐름을 유지하는 것은 미숙했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흥미는 높았으나 행동을 조절하는 데에 지속적인 안내가 필요했다. 예술경험에서는 즉흥적인 표현이 강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기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앞으로는 충동적 행동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규칙 설명과 감정 조절 지원이 필요하다.
유아관찰일지
담 임
원 장
이 름
XXX
성 별
생년월일
XXXX년 XX월 XX일
관 찰 자
교사
구 분
날짜 / 관찰내용
기본생활
4월 2일 (화요일)
등원 후 가방을 사물함에 가지런히 넣고 신발도 정확하게 정리한다. 교사가 “아주 잘했어요”라고 칭찬하자 미소를 지으며 뿌듯해한다. 기본생활에서도 질서와 정리 정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습이 보인다.
신체운동
4월 8일 (월요일)
야외놀이 시간, 평균대를 천천히 걸으며 중심을 잡는 데 신중하다. 미끄럼틀 차례를 정확히 지키며, 다른 친구에게 “기다려야 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규칙을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신체활동에서도 조심스럽다.
사회관계
ㅊ4월 10일 (수요일)
블록 놀이 중 친구가 블록을 엉뚱하게 쌓자 “이렇게 해야 해”라며 바로잡아주려 한다. 자신의 방식에 대한 고집이 강하지만, 교사가 조정하면 친구 의견을 수용하려 노력한다. 질서와 규칙을 중시하는 관계 형성 방식이 나타난다.
의사소통
4월 15일 (월요일)
동화책을 읽던 중 “이건 처음에 나왔던 거랑 똑같아요”라며 이야기의 연결고리를 짚어낸다. 문장은 짧지만 정확하고 논리적이며, 자신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자연탐구
4월 18일 (목요일)
텃밭에서 식물을 관찰하며 “이건 꽃 먼저 피고 열매가 돼요”라고 말한다. 관찰 결과를 질서 있게 연결하며 정확히 설명하려는 모습이 보인다. 자연탐구에서도 세밀하고 체계적인 사고가 드러난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색칠하기 활동에서 선 밖으로 색이 번지지 않도록 천천히 칠한다. 조금 삐져나가면 지우개를 찾아 고치려 한다. 예술활동에서도 완성도와 정확성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난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모든 활동에서 질서, 규칙, 정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를 꾸준히 보여주었다. 기본생활에서는 스스로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신체활동에서도 신중하고 규칙을 잘 지키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관계에서는 자신의 방식을 고집하려는 경향이 있었지만, 교사의 중재로 친구의 의견을 수용하려는 태도도 점차 나타났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나 상황의 연결을 논리적으로 짚어내며 짧지만 정확한 표현을 하였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세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사고가 드러났다. 예술경험에서는 완성도를 중시하며 꼼꼼히 작업하였다. 앞으로는 질서를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과 유연성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유아관찰일지
담 임
원 장
이 름
XXX
성 별
생년월일
XXXX년 XX월 XX일
관 찰 자
교사
구 분
날짜 / 관찰내용
기본생활
4월 3일 (수요일)
손 씻기 시간, 찬물에 손을 넣자 놀란 듯 손을 재빨리 뺀다. 교사가 “따뜻한 물로 해줄게요”라고 말하자 다시 조심스럽게 손을 담근다. 감각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환경이 조정되면 안정적으로 기본생활에 참여한다.
신체운동
4월 9일 (화요일)
운동장 활동에서 친구들이 모래를 밟으며 노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본다. 교사가 “모래에 발자국 남길까?”라고 부드럽게 제안하자 살짝 모래 위를 걸어본다. 큰 움직임보다는 섬세한 감각 탐색을 선호한다.
사회관계
4월 11일 (목요일)
블록 놀이 중 친구들이 다가와 “같이 놀자”고 하자 망설이다가 조심스럽게 블록 하나를 건네며 놀이에 참여한다. 직접적인 신체 접촉이나 빠른 상호작용은 부담스러워하지만, 조용한 방식으로 관계를 이어가려 한다.
의사소통
4월 15일 (월요일)
동화책을 보며 교사가 “이거 무슨 색이에요?”라고 묻자 “연두색이에요”라고 또박또박 대답한다. 말을 먼저 꺼내는 일은 적지만, 질문에는 정확하고 신중하게 답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연탐구
4월 18일 (목요일)
텃밭 옆에서 작은 새싹을 발견하고 손끝으로 살짝 만져본다. “부드러워요”라고 조심스럽게 말하며 질감을 세밀하게 느낀다. 관찰할 때는 깊게 몰입하고 세밀한 감각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색종이 꾸미기 활동에서 매끄러운 재질을 선호하며 신중하게 색을 고른다. 거칠거나 끈적한 재질은 피하며, 자신이 편안함을 느끼는 소재를 선택해 꾸준히 작업한다. 감각을 존중하며 집중하는 태도가 인상적이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감각에 민감하고 새로운 자극에는 신중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기본생활에서는 환경적 요소에 따라 참여 의지가 크게 달라졌으며, 신체활동에서는 큰 움직임보다 섬세한 탐색을 선호하였다. 사회관계에서는 빠른 상호작용보다는 조용한 접근을 통해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려 하였고, 의사소통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차분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려는 태도가 나타났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감각을 섬세하게 느끼며 깊게 몰입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예술경험에서도 선호하는 감각적 특성을 존중하며 꾸준히 작업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는 유아의 감각적 특성과 속도를 존중하면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점진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지원하는 환경 구성이 필요하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꾸미기 활동에서 스티커를 한꺼번에 여러 장 떼어 붙이며 “이거 다 내 거야!”라고 외친다. 결과보다는 즉흥적인 즐거움을 우선시하며, 계획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즉흥성과 충동성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높은 에너지와 적극적인 참여 태도를 보였다. 기본생활에서는 활동 전환이 어려워 반복적인 지도가 필요했으며, 신체활동에서도 자신의 욕구를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경향이 강했다. 사회관계에서는 또래와 함께하려는 의지는 높지만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데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의사소통에서는 자유롭게 자신의 상상을 표현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대화 흐름을 유지하는 것은 미숙했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흥미는 높았으나 행동을 조절하는 데에 지속적인 안내가 필요했다. 예술경험에서는 즉흥적인 표현이 강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기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앞으로는 충동적 행동을 긍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규칙 설명과 감정 조절 지원이 필요하다.
유아관찰일지
담 임
원 장
이 름
XXX
성 별
생년월일
XXXX년 XX월 XX일
관 찰 자
교사
구 분
날짜 / 관찰내용
기본생활
4월 2일 (화요일)
등원 후 가방을 사물함에 가지런히 넣고 신발도 정확하게 정리한다. 교사가 “아주 잘했어요”라고 칭찬하자 미소를 지으며 뿌듯해한다. 기본생활에서도 질서와 정리 정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습이 보인다.
신체운동
4월 8일 (월요일)
야외놀이 시간, 평균대를 천천히 걸으며 중심을 잡는 데 신중하다. 미끄럼틀 차례를 정확히 지키며, 다른 친구에게 “기다려야 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규칙을 지키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며 신체활동에서도 조심스럽다.
사회관계
ㅊ4월 10일 (수요일)
블록 놀이 중 친구가 블록을 엉뚱하게 쌓자 “이렇게 해야 해”라며 바로잡아주려 한다. 자신의 방식에 대한 고집이 강하지만, 교사가 조정하면 친구 의견을 수용하려 노력한다. 질서와 규칙을 중시하는 관계 형성 방식이 나타난다.
의사소통
4월 15일 (월요일)
동화책을 읽던 중 “이건 처음에 나왔던 거랑 똑같아요”라며 이야기의 연결고리를 짚어낸다. 문장은 짧지만 정확하고 논리적이며, 자신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자연탐구
4월 18일 (목요일)
텃밭에서 식물을 관찰하며 “이건 꽃 먼저 피고 열매가 돼요”라고 말한다. 관찰 결과를 질서 있게 연결하며 정확히 설명하려는 모습이 보인다. 자연탐구에서도 세밀하고 체계적인 사고가 드러난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색칠하기 활동에서 선 밖으로 색이 번지지 않도록 천천히 칠한다. 조금 삐져나가면 지우개를 찾아 고치려 한다. 예술활동에서도 완성도와 정확성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난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모든 활동에서 질서, 규칙, 정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를 꾸준히 보여주었다. 기본생활에서는 스스로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지가 강했으며, 신체활동에서도 신중하고 규칙을 잘 지키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관계에서는 자신의 방식을 고집하려는 경향이 있었지만, 교사의 중재로 친구의 의견을 수용하려는 태도도 점차 나타났다. 의사소통에서는 이야기나 상황의 연결을 논리적으로 짚어내며 짧지만 정확한 표현을 하였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세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사고가 드러났다. 예술경험에서는 완성도를 중시하며 꼼꼼히 작업하였다. 앞으로는 질서를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과 유연성을 함께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유아관찰일지
담 임
원 장
이 름
XXX
성 별
생년월일
XXXX년 XX월 XX일
관 찰 자
교사
구 분
날짜 / 관찰내용
기본생활
4월 3일 (수요일)
손 씻기 시간, 찬물에 손을 넣자 놀란 듯 손을 재빨리 뺀다. 교사가 “따뜻한 물로 해줄게요”라고 말하자 다시 조심스럽게 손을 담근다. 감각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환경이 조정되면 안정적으로 기본생활에 참여한다.
신체운동
4월 9일 (화요일)
운동장 활동에서 친구들이 모래를 밟으며 노는 모습을 멀리서 지켜본다. 교사가 “모래에 발자국 남길까?”라고 부드럽게 제안하자 살짝 모래 위를 걸어본다. 큰 움직임보다는 섬세한 감각 탐색을 선호한다.
사회관계
4월 11일 (목요일)
블록 놀이 중 친구들이 다가와 “같이 놀자”고 하자 망설이다가 조심스럽게 블록 하나를 건네며 놀이에 참여한다. 직접적인 신체 접촉이나 빠른 상호작용은 부담스러워하지만, 조용한 방식으로 관계를 이어가려 한다.
의사소통
4월 15일 (월요일)
동화책을 보며 교사가 “이거 무슨 색이에요?”라고 묻자 “연두색이에요”라고 또박또박 대답한다. 말을 먼저 꺼내는 일은 적지만, 질문에는 정확하고 신중하게 답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연탐구
4월 18일 (목요일)
텃밭 옆에서 작은 새싹을 발견하고 손끝으로 살짝 만져본다. “부드러워요”라고 조심스럽게 말하며 질감을 세밀하게 느낀다. 관찰할 때는 깊게 몰입하고 세밀한 감각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예술경험
4월 25일 (목요일)
색종이 꾸미기 활동에서 매끄러운 재질을 선호하며 신중하게 색을 고른다. 거칠거나 끈적한 재질은 피하며, 자신이 편안함을 느끼는 소재를 선택해 꾸준히 작업한다. 감각을 존중하며 집중하는 태도가 인상적이다.
종합평가
해당 유아는 4월 한 달 동안 감각에 민감하고 새로운 자극에는 신중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기본생활에서는 환경적 요소에 따라 참여 의지가 크게 달라졌으며, 신체활동에서는 큰 움직임보다 섬세한 탐색을 선호하였다. 사회관계에서는 빠른 상호작용보다는 조용한 접근을 통해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려 하였고, 의사소통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차분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려는 태도가 나타났다. 자연탐구 활동에서는 감각을 섬세하게 느끼며 깊게 몰입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예술경험에서도 선호하는 감각적 특성을 존중하며 꾸준히 작업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는 유아의 감각적 특성과 속도를 존중하면서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점진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지원하는 환경 구성이 필요하다.
소개글